DOI QR코드

DOI QR Code

Entry Types and Locational Determinants of North Korean Workers in Cross-border Regions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중국 대북 접경지역의 북한 노동력 진입 유형과 요인

  • Lee, Sung-Cheol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Dongguk University-Seoul campus) ;
  • Lee, Yong-Hee (Graduate School of Geography, Dongguk University-Seoul campus) ;
  • Kim, Boo-Heon (Graduate School of Geography, Dongguk University-Seoul campus)
  • 이승철 (동국대학교(서울캠퍼스)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 이용희 (동국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
  • 김부헌 (동국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 Received : 2019.12.24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entry types and locational determinants of North Korean workers in cross-border regions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More specifically, the paper has attempted to divide the entry type of them in the regions into two; 1) entry via transactions between Chinese traders with North Korea and North Korea trade companies, and 2) entry via transactions between Korean-Chinese middlemen and North Korean trade companies. Also, it has analyzed main factors of their locational determinants in the spatial contexts of the regions. There have been changes in two perspectives in terms of the entry paths and types of them in accordance with the transformation of characteristics of United Nations sanction against North Korea from 'call-upon' to 'decide' after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2094 in 2013. Firstly, main agents who have dealing with North Korean trade companies which have right to dispatch North Korean workers have been changed from Chinese traders into Korean-Chinese brokers who are specialized in the introduction of North Korean workers with one-stop service from visa administrative to labor managements. Secondly, there has been a transfer of North Korean workers in the regions from formal to informal workers who has been admitted into China with a short stay or a tourist visa, and then remained illegally to be employed in China. Therefore, as demands on service which is able to guarantee the security of North Korean informal workers and their managements have increased, Korean-Chinese brokers have been stimulated in the regions after the operation of real international sanctions against overseas North Korean workers. In addition, the main factors of their locational determinants in cross-border regions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are could be analyzed in three perspectives; 1) an increase in real wages in accordance with the reform of the Chinese social insurance system after 2011, 2) the structural vulnerability of labor markets in the regions, 3) the utilization of stable and manageable workers.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북한 노동력의 대북 접경지역 진출 유형과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논문은 북한 노동력의 대북 접경지역 진출 경로 및 유형을 1) 대북 무역 상인과 북한 대방의 거래를 통한 진입과 2) 조선족 중개업체와 북한 대방의 거래를 통한 진입으로 구분하였으며, 대북 접경지역의 공간적 맥락에서 북한 노동력의 진출 요인을 분석하고자 했다. 우선 북한 노동력의 대북 접경지역 진입 경로 및 유형은 유엔 결의 2094호 이후 대북제재의 성격이 '촉구(call-upon)'에서 '의무화 및 강제화(decide)'로 전환되면서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변화가 나타났다. 첫째, 중국 기업에게 북한 노동력을 파견할 수 있는 북한 대방과의 거래 주체가 대북 거래 상인에서 전문화된 조선족 중개업체로 전환되었다. 둘째, 중국으로 파견되는 북한 노동력의 성격이 '중화인민공화국입경출경관리법'과 '외국인재중국취업관리규정'에 따라 공식적인 취업 허가증과 취업 거류증을 취득한 공식 노동자에서 북·중 간 '무역비자협정'과 '국경 주민에 대한 통행증 제도'를 이용하거나 단기 방문 및 관광 비자를 취득하여 편법으로 대북 접경지역에 장기 체류하는 비공식 노동자(informal workers)로 전환되었다. 따라서 북한 노동자에 대한 실질적인 제재가 가해진 이후에 이러한 비공식 노동자들의 안정적인 체류와 관리 및 통제를 위한 전문적인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대북 접경지역에 북한 노동자 중개업체가 활성화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북한 노동력의 대북 접경지역 진입 요인은 세 가지 측면 - 1) 중국 사회보험제도의 개혁에 따른 실질 임금 상승, 2) 대북 접경지역의 취약한 노동시장 구조, 3) 안정적이고 관리 용이한 노동력 활용 -에서 분석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율, 2014, "중국 사회복지제도의 변천: 다원적 분리형 복지체계에서 사회화된 통합적 보장체계로," 사회복지정책 41(1), pp.65-94. https://doi.org/10.15855/SWP.2014.41.1.65
  2. 김기호, 2016, "중국의 사회보험제도 개혁과 과제," 성균차이나브리프 4(3), pp.52-57.
  3. 김병연.정승호, 2015, 중국의 대북 무역과 투자: 단둥시현지 기업 조사, 서울대학교통일학연구총서 27,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4. 김부헌.이승철, 2017, "예외공간으로서 접경지역의 위치성 전환,"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3), pp.267-286. https://doi.org/10.23841/EGSK.2017.20.3.267
  5. 김상호, 2016, "중국 사회보장제도의 변천과 최근 이슈," 글로벌 사회정책 브리프, pp.1-4.
  6. 김화섭, 2011, "중국의 호구제도 개혁 동형과 시사점," e-KiET 산업경제정보, 513호(2011-05), 산업연구원.
  7. 뉴스1, 2017.11.22., '북 우방국 앙골라, 북한 노동자 154명 돌려보내' http://news1.kr/articles/?3159736 (최종 접근일 2019년 12월 1일).
  8. 류정희, 2015, "중국 복지제도의 현황과 문제점," 보건복지포럼, pp.22-34.
  9. 심의섭, 1999, "북한의 대 러시아 인력협력: 벌목공을 중심으로," 경영연구 18(1), pp.41-59.
  10. 이상신.오경섭.임예준, 2017, 북한 해외노동자 실태 연구, KINU 정책연구시리즈 16-04, 통일연구원.
  11. 이승철.김부헌.정수열.김민호.지상현, 2017, "북중 접경지역 단둥의 대북 생산 네트워크의 예외적 성격,"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3), pp.331-354.
  12. 이 석 편, 2013, 북중무역의 결정요인: 무역통계와 서베이데이터의 분석, KDI 연구보고서, 한국개발연구원.
  13. 이용희, 2016, "북한 노동자 외국 파견 정책의 추이와 전망," 국제통상연구 21(4), pp.111-138.
  14. 이용희, 2018, 예외 공간으로서 북중 접경지역 북한 노동력의 포섭과 배제: 중국 단둥시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15. 이종운, 2017, "중국 경제의 변화와 대북 노동력 활용의 특성," 국가전략 23(3), pp.95-125.
  16. 임민경, 2011, "중국의 노동력 부족 현황과 전망: 랴오닝성 사례를 중심으로," 중국 성별 동향 브리핑 2(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7. 염승철, 2017, 중국 내 북한 해외 노동자 실태 보고, 해외 북한 노동자 인권실태, 중국을 가다, 국민통일방소 북한 노동자 인권실태 세미나, 2017년 6월 21일, (사)통일미디어.
  18. 자유아시아방송, 2017.07.11., '착취당하는 해외 북한노동자' https://www.rfa.org/korean/commentary/greg/cu-gs-07102017153110.html(최종 접근일: 2019년 12월 1일).
  19. 최영윤, 2017, "북한 해외 노동자 현황: 통계데이터 중심으로," KDI 북한경제리뷰 2017년 2월호, pp.101-121.
  20. 최영진, 2016, "동북아 접경지역의 경제기술개발구, 소지역협력 그리고 일대일로: 환황해권과 환동해권 비교," 세계지역연구논총 34(3), pp.97-124.
  21. 한국무역협회 북경지부, 2014, 중국내 북한 노동자의 입국 현황과 시사점, 내부자료, 한국무역협회.
  22. 한국무역협회, 2014, 중국, '호구제도 폐지'로 다시 한걸음 내딛는 중국 경제, 해외시장뉴스, 2014-08-07, 한국무역협회.
  23. 허핑턴포스트코리아, 2017.11.27., '북한이 느닷없이 김일 성 시대 아프리카 지원 역사를 구구절절 읊은 사연', https://www.huffingtonpost.kr/2017/11/27/story_n_18660964.html(최종 접근일: 2019년 12월 1일).
  24. Arnold, D. and Pickles, J., 2011, "Global Work, Surplus Labour, and the Precarious Economies of the Border," Antipode 43(5), pp.1598-1624. https://doi.org/10.1111/j.1467-8330.2011.00899.x
  25. Kim, C. H. and Kang, J., 2015, "Reworking the Frame: Analysis of Current Discourses on North Korea and a Case Study of North Korean Labour in Dandong, China," Asia Pacific Viewpoint 56(3), pp.392-402. https://doi.org/10.1111/apv.12107
  26. North Korea in the World, 2018, www.northkoreainthe world.org/economic/north-korean-overseas-workers, (최종 접근일: 2019년 8월 9일).
  27. Rogaly, B., 2009, "Spaces of Work and Everyday Life: Labour Geographies and the Agency of Unorganised Temporary Migrant Workers," Geography Compass 3(6), pp.1975-1987. https://doi.org/10.1111/j.1749-8198.2009.00290.x
  28. VOA, 2019.04.17., '가속도 붙는 북한 노동자 송환..."외화 급감으로 제재 효과 극대화"', https://www.voakorea.com/a/4878734.html (최종 접근일: 2019년 11월 10일).
  29. 丹东统计局, 2012, 2013, 2014, 2015, 2016, 丹东统计年鉴.
  30. 辽宁统计局, 2017, 辽宁统计年鑑.

Cited by

  1. North Korea, Apparel Production Networks and UN Sanctions: Resilience through Informality vol.23, pp.4, 2019, https://doi.org/10.23841/egsk.2020.23.4.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