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대구. (1990). 교양농업 교육의 성격 정립. 한국농업교육학회지, 22(3), 65-76.
- 강대구. (2002). 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농업계 고등학교 직업교육의 방향.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4(2), 1-16.
- 강대구, 정철영, 이종상, & 이성식. (2005). 농업인력 구조변화에 따른 정예농업인력 육성방안 연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7(1), 105-130.
- 강재태, 배종훈, & 강대구. (2003). 진로지도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 공나형. (2013). 근거이론적 접근을 통한 지방 거주 결혼이주여성 대상의 한국어 교육 정책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 군산시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숙종. (2017). 질적분석을 이용한 지역축제의 참여농가 영향모델: 청원생명축제를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영락. (2018). 근거이론 접근법을 이용한 교육 공급자관점 농식품 분야 창업교육 현상의 탐색연구.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창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영천, & 김진희. (2008). 질적 연구에서의 자료분석: 소프트웨어 접근의 이해. 교육인류학연구, 11(1), 1-35. doi:10.17318/jae.2008.11.1.001
- 김은자, 안삼영, 김영, 이상영, & 이정원. (2009). 초.중.고 과학교과서에 나타난 농업.농촌 다원적 기능 교육내용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16(4), 869-912.
- 김진모, 이택선, 이경숙, 김경란, 길대환, 김효철, et al. (2007). ISD 모델에 기초한 농업인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3), 69-95. doi:10.23840/agehrd.2007.39.3.69
- 김진호. (2013). 4-H청소년 서울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청소년인증수련활동 효과성 측정도구를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20(3), 729-753. doi:10.12653/jecd.2013.20.3.0729
- 김현진, & 서정원. (2016). 산촌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산림치유 적용방안. 농업생명과학연구, 50(4), 45-57. doi:10.14397/jals.2016.50.4.45
- 나승일. (1996). 21세기를 대비한 학교 교양농업교육의 모형. 한국농업교육학회지, 28(3), 83-102.
- 나승일, 김강호, 민상기, 이민욱, & 장현진. (2007). 농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29(3), 97-123.
- 나승일, 정철영, 김진모, 안강현, 김강호, 전승환, et al. (2006a). 맞춤형 농업인 교육프로그램의 모델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3), 29-48.
- 나승일, 정쳘엉, 김진모, 안강현, 김강호, 전승환, et al. (2006b). 농업인 교육프로그램의 평가지표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3), 113-135.
- 마상진, & 김남훈. (2019). 청년 창업농의 성공적 정착에 미치는 요인 분석. 농촌경제, 42(1), 27-49.
- 마상진, & 김영생. (2006). 농업인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8(1), 1-26.
- 박동규, 노수정, & 이연옥. (2017). 농업.농촌경제동향.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박명식, & 방기혁. (2017). 초.중학교 학생들의 교양농업교육에 대한 인식과 관련 변인.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0(1), 141-162. doi:10.24062/kapae.30.1.141
- 박미경. (2012). 근거이론에 의한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효능감 형성과정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방기혁. (2008). 초등학교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개발 방안.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1(2), 241-263.
- 부혜진, 손호기, 김상범, & 채혜성. (2018). 자유학기제와 연계한 농업.농촌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참여현황,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8(1), 43-62.
- 설병문, & 박종복. (2016). 근거이론 접근법을 이용한 축산업분야 기술이전현상에 관한 탐색연구: 후방연관산업을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1(1), 97-108.
- 설병문, 박종복, & 전영걸. (2018). 근거이론 접근법을 이용한 농식품 분야 기술사업화 현상에 관한 탐색연구. 한국혁신학회지, 13(3), 147-174.
- 송재기, 김미리, & Anol B. (2014). Social science research: Principles, methods, and practices. KOCW Open Access Textbooks.
- 송해균. (1987). 농업교육학.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 신경림 역. (2001). 근거이론의 단계. 서울: 현문사.
- 신경림, & 김미영 공역. (2003). 근거이론 연구방법론. 서울: 현문사.
- 신영재. (2011). 주민자치센터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과정과 영향요인 탐색: 근거이론적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신현탁, 안종빈, & 하성근. (2013). 한국 산림박물관의 효과적 운영관리를 위한 체험 및 교육프로그램 분석. 농업생명과학연구, 47(4), 29-37.
- 안은아. (2017). 아동기 통합예술교육의 구성 모형과 교사의 역할 설계: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한 음악.미술 통합예술교육 전문가의 의견 고찰.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연미자. (2010).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교육 유형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에 기초하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오해섭, & 김정주. (2002). 농업후계인력 육성을 위한 농촌청소년교육 및 지원방향. 한국농촌지도학회지, 9(2), 185-197.
- 유병민, 김정주, 최영창, 박혜진, & 김선희. (2010). 농업인 교육 프로그램 문제점 및 개선방안. 농촌지도와 개발, 17(1), 45-74.
- 이윤조, & 마상진. (2014). 농업.농촌의 가치에 관한 대국민 인식변화와 농업문해의 교육적 함의. 실과교육연구, 20(4), 219-235. doi:10.17055/jpaer.2014.20.4.219
- 이찬. (2007).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국제 표준화 실태 및 요구: ISO 10015를 중심으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3), 155-181.
- 이현선. (2008). 환경변화에 대응한 농업협동조합의 조직과 운영의 개선 방안 연구: 근거이론(Grounded Theory) 에 의한 의미분석을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현정. (2013).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인권교육의 유형화: 근거이론에 기초하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장우환, 정호찬, & 이순석. (2011). 농업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율성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3(3), 95-117. doi:10.23840/agehrd.2011.43.3.95
- 전경원. (2015). 초등학생들의 농업문해 수준 및 관련 변인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남식, 최은희, & 김용근. (2019). 농촌 디베이트 교육이 농업.농촌 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을 대상으로. 농촌계획, 25(3), 103-114. doi:10.7851/Ksrp.2019.25.3.103
- 정남용. (2012). 실과교과 농업생명과학영역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실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실과교육연구, 18(1), 69-100. doi:10.17055/jpaer.2012.18.1.69
- 정명채, 민상기, & 이영대. (1991). 농업 전문인력의 확보와 교육훈련에 관한 연구.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정연순, 유병민, 진성미, & 남영옥. (2010). 계열별 고등학교 진로교육 실태 분석을 통한 농업계 고등학교 진로교육 개선방안. 농촌지도와 개발, 17(2), 185-212.
- 정호찬, & 장우환. (2012). 경북 농민사관학교 농업인 교육의 효율성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4(4), 1-23. doi:10.23840/agehrd.2012.44.4.1
- 진혜련, & 채혜성. (2019). 농업인 브랜드 디자인 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시범적용 평가.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56, 93-106. doi:10.18555/kicpd.2019.56.09
- 최수정, 박자경, & 하재영. (2016).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의 산학협력 네트워크 형성, 강화 및 소멸과정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8(4), 81-112. doi:10.23840/agehrd.2016.48.4.81
- 최영창, 이채식, 이은영, & 김영애. (2013). 농심함양 프로그램 참여 청소년의 농업.농촌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20(1), 205-233. doi:10.0000/jecd/2013.20.1.0205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4). 농업은 미래성장산업이다.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황동국. (2019). 실과 농업생명과학영역에 기반 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9), 809-828. doi:10.22251/jlcci.2019.19.9.809
- Beecher, M., Gorman, M., Kelly, P., & Horan, B. (2019). Career in dairy: Adolesc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Extension, 25(5), 415-430. https://doi.org/10.1080/1389224X.2019.1643745
- Bergin, M. (2011). Nvivo 8 and consistency in data analysis: Reflecting in the use of a qualitative data analysis program. Nurse Researcher, 18(3), 6-12. https://doi.org/10.7748/nr2011.04.18.3.6.c8457
- Brien, B. O. (2017). How to Nvivo can support social change. Retrieved from www.qsrinternational.com/what-is-nvivo.
- Hawking, M. K. D., Lecky, D. M., Verlander, N. Q., & McNulty, C. A. M. (2013). Fun on the farm: Evaluation of a lesson to tech students about the spread of infection on school farm visits. PLoS One, 8(10), e75641, Open Access.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75641
- Hemmelgarn, H., Gold, M., Ball, A., & Stelzer, H. (2019). Agroforestry education for high school agriculture science. Agroforestry Systems, 93(5), 1659-1671. https://doi.org/10.1007/s10457-018-0278-7
- Jean, P., & Christian, C. (2018). Agricutlrual education in today's schools system: An evaluation of agricultural and related science courses among high schools in Alabama. Social Sciences, 7(11), 218. doi:10.3390/socsci7110218
- Kotrlik, J. W., Williams, H. A., & Jabor, M. K. (2011). Reporting and interpreting effect size in quantitative agricultural education research.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52(1), 132-142. doi:10.5032/jae.2011.01132
- Parker, J. E., & Wagner, D. J. (2016). From the USDA: Educating the next generation: Funding opportunities in food, agricultural, natural resources, and social sciences education. CBE Life Sciences Education, 15(3), 1-4. doi:10.1187/cbe.16-01-0052
- Stern, P. N. (1980). Grounded theory methodology: Its uses and process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12(1), 20-23. doi.org/10.1111/j.1547-5069.tb01455.x
- Strauss, A. L., & Corbin, J. M.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피인용 문헌
- The Effects of Agricultural Experience Program on Agricultural Literacy and Hand Function Improvement of Adolescents Living in Self-reliance Residence Hall vol.24, pp.3, 2019, https://doi.org/10.11628/ksppe.2021.24.3.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