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ploratory Study on Awareness Change of Participants in Agricultural Education - Focused on the Agricultural Career Program for Adolescents -

농업교육 참여자의 인식변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청소년 농생명산업 진로체험 프로그램 -

  • Park, Soo-Ji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Chae, Hye-Sung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Hwang, Dae-Yong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박수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채혜성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황대용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Received : 2019.11.15
  • Accepted : 2019.12.15
  • Published : 2019.12.30

Abstract

It is more important than ever to have talent with innovative capacities for sustainable agriculture and rural areas, but adolescents's interest in and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is very low.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in the Agriculture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Program. and suggests strategies to improve and revitalize agr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First, Institutions and facilities that run agricultural education programs need opportunities for self-check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contents and its distribution channels to enable the experience related to it in daily life. Third, it is important to provide experience i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which requires the use of a system such as the Free Semester System. Fourth, education and promotion to parents and teachers is also important, as it has a direct impact on youth's perception of it.

Keywords

References

  1. 강대구. (1990). 교양농업 교육의 성격 정립. 한국농업교육학회지, 22(3), 65-76.
  2. 강대구. (2002). 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농업계 고등학교 직업교육의 방향.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4(2), 1-16.
  3. 강대구, 정철영, 이종상, & 이성식. (2005). 농업인력 구조변화에 따른 정예농업인력 육성방안 연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7(1), 105-130.
  4. 강재태, 배종훈, & 강대구. (2003). 진로지도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5. 공나형. (2013). 근거이론적 접근을 통한 지방 거주 결혼이주여성 대상의 한국어 교육 정책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 군산시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숙종. (2017). 질적분석을 이용한 지역축제의 참여농가 영향모델: 청원생명축제를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영락. (2018). 근거이론 접근법을 이용한 교육 공급자관점 농식품 분야 창업교육 현상의 탐색연구.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창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영천, & 김진희. (2008). 질적 연구에서의 자료분석: 소프트웨어 접근의 이해. 교육인류학연구, 11(1), 1-35. doi:10.17318/jae.2008.11.1.001
  9. 김은자, 안삼영, 김영, 이상영, & 이정원. (2009). 초.중.고 과학교과서에 나타난 농업.농촌 다원적 기능 교육내용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16(4), 869-912.
  10. 김진모, 이택선, 이경숙, 김경란, 길대환, 김효철, et al. (2007). ISD 모델에 기초한 농업인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3), 69-95. doi:10.23840/agehrd.2007.39.3.69
  11. 김진호. (2013). 4-H청소년 서울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청소년인증수련활동 효과성 측정도구를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20(3), 729-753. doi:10.12653/jecd.2013.20.3.0729
  12. 김현진, & 서정원. (2016). 산촌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산림치유 적용방안. 농업생명과학연구, 50(4), 45-57. doi:10.14397/jals.2016.50.4.45
  13. 나승일. (1996). 21세기를 대비한 학교 교양농업교육의 모형. 한국농업교육학회지, 28(3), 83-102.
  14. 나승일, 김강호, 민상기, 이민욱, & 장현진. (2007). 농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29(3), 97-123.
  15. 나승일, 정철영, 김진모, 안강현, 김강호, 전승환, et al. (2006a). 맞춤형 농업인 교육프로그램의 모델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3), 29-48.
  16. 나승일, 정쳘엉, 김진모, 안강현, 김강호, 전승환, et al. (2006b). 농업인 교육프로그램의 평가지표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3), 113-135.
  17. 마상진, & 김남훈. (2019). 청년 창업농의 성공적 정착에 미치는 요인 분석. 농촌경제, 42(1), 27-49.
  18. 마상진, & 김영생. (2006). 농업인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8(1), 1-26.
  19. 박동규, 노수정, & 이연옥. (2017). 농업.농촌경제동향.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 박명식, & 방기혁. (2017). 초.중학교 학생들의 교양농업교육에 대한 인식과 관련 변인.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0(1), 141-162. doi:10.24062/kapae.30.1.141
  21. 박미경. (2012). 근거이론에 의한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효능감 형성과정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방기혁. (2008). 초등학교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개발 방안.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1(2), 241-263.
  23. 부혜진, 손호기, 김상범, & 채혜성. (2018). 자유학기제와 연계한 농업.농촌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참여현황,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8(1), 43-62.
  24. 설병문, & 박종복. (2016). 근거이론 접근법을 이용한 축산업분야 기술이전현상에 관한 탐색연구: 후방연관산업을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1(1), 97-108.
  25. 설병문, 박종복, & 전영걸. (2018). 근거이론 접근법을 이용한 농식품 분야 기술사업화 현상에 관한 탐색연구. 한국혁신학회지, 13(3), 147-174.
  26. 송재기, 김미리, & Anol B. (2014). Social science research: Principles, methods, and practices. KOCW Open Access Textbooks.
  27. 송해균. (1987). 농업교육학.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8. 신경림 역. (2001). 근거이론의 단계. 서울: 현문사.
  29. 신경림, & 김미영 공역. (2003). 근거이론 연구방법론. 서울: 현문사.
  30. 신영재. (2011). 주민자치센터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과정과 영향요인 탐색: 근거이론적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신현탁, 안종빈, & 하성근. (2013). 한국 산림박물관의 효과적 운영관리를 위한 체험 및 교육프로그램 분석. 농업생명과학연구, 47(4), 29-37.
  32. 안은아. (2017). 아동기 통합예술교육의 구성 모형과 교사의 역할 설계: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한 음악.미술 통합예술교육 전문가의 의견 고찰.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연미자. (2010).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교육 유형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에 기초하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오해섭, & 김정주. (2002). 농업후계인력 육성을 위한 농촌청소년교육 및 지원방향. 한국농촌지도학회지, 9(2), 185-197.
  35. 유병민, 김정주, 최영창, 박혜진, & 김선희. (2010). 농업인 교육 프로그램 문제점 및 개선방안. 농촌지도와 개발, 17(1), 45-74.
  36. 이윤조, & 마상진. (2014). 농업.농촌의 가치에 관한 대국민 인식변화와 농업문해의 교육적 함의. 실과교육연구, 20(4), 219-235. doi:10.17055/jpaer.2014.20.4.219
  37. 이찬. (2007).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국제 표준화 실태 및 요구: ISO 10015를 중심으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3), 155-181.
  38. 이현선. (2008). 환경변화에 대응한 농업협동조합의 조직과 운영의 개선 방안 연구: 근거이론(Grounded Theory) 에 의한 의미분석을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이현정. (2013).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인권교육의 유형화: 근거이론에 기초하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장우환, 정호찬, & 이순석. (2011). 농업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율성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3(3), 95-117. doi:10.23840/agehrd.2011.43.3.95
  41. 전경원. (2015). 초등학생들의 농업문해 수준 및 관련 변인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정남식, 최은희, & 김용근. (2019). 농촌 디베이트 교육이 농업.농촌 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을 대상으로. 농촌계획, 25(3), 103-114. doi:10.7851/Ksrp.2019.25.3.103
  43. 정남용. (2012). 실과교과 농업생명과학영역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실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실과교육연구, 18(1), 69-100. doi:10.17055/jpaer.2012.18.1.69
  44. 정명채, 민상기, & 이영대. (1991). 농업 전문인력의 확보와 교육훈련에 관한 연구.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5. 정연순, 유병민, 진성미, & 남영옥. (2010). 계열별 고등학교 진로교육 실태 분석을 통한 농업계 고등학교 진로교육 개선방안. 농촌지도와 개발, 17(2), 185-212.
  46. 정호찬, & 장우환. (2012). 경북 농민사관학교 농업인 교육의 효율성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4(4), 1-23. doi:10.23840/agehrd.2012.44.4.1
  47. 진혜련, & 채혜성. (2019). 농업인 브랜드 디자인 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시범적용 평가.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56, 93-106. doi:10.18555/kicpd.2019.56.09
  48. 최수정, 박자경, & 하재영. (2016).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의 산학협력 네트워크 형성, 강화 및 소멸과정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8(4), 81-112. doi:10.23840/agehrd.2016.48.4.81
  49. 최영창, 이채식, 이은영, & 김영애. (2013). 농심함양 프로그램 참여 청소년의 농업.농촌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20(1), 205-233. doi:10.0000/jecd/2013.20.1.0205
  5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4). 농업은 미래성장산업이다.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51. 황동국. (2019). 실과 농업생명과학영역에 기반 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9), 809-828. doi:10.22251/jlcci.2019.19.9.809
  52. Beecher, M., Gorman, M., Kelly, P., & Horan, B. (2019). Career in dairy: Adolesc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Extension, 25(5), 415-430. https://doi.org/10.1080/1389224X.2019.1643745
  53. Bergin, M. (2011). Nvivo 8 and consistency in data analysis: Reflecting in the use of a qualitative data analysis program. Nurse Researcher, 18(3), 6-12. https://doi.org/10.7748/nr2011.04.18.3.6.c8457
  54. Brien, B. O. (2017). How to Nvivo can support social change. Retrieved from www.qsrinternational.com/what-is-nvivo.
  55. Hawking, M. K. D., Lecky, D. M., Verlander, N. Q., & McNulty, C. A. M. (2013). Fun on the farm: Evaluation of a lesson to tech students about the spread of infection on school farm visits. PLoS One, 8(10), e75641, Open Access.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75641
  56. Hemmelgarn, H., Gold, M., Ball, A., & Stelzer, H. (2019). Agroforestry education for high school agriculture science. Agroforestry Systems, 93(5), 1659-1671. https://doi.org/10.1007/s10457-018-0278-7
  57. Jean, P., & Christian, C. (2018). Agricutlrual education in today's schools system: An evaluation of agricultural and related science courses among high schools in Alabama. Social Sciences, 7(11), 218. doi:10.3390/socsci7110218
  58. Kotrlik, J. W., Williams, H. A., & Jabor, M. K. (2011). Reporting and interpreting effect size in quantitative agricultural education research.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52(1), 132-142. doi:10.5032/jae.2011.01132
  59. Parker, J. E., & Wagner, D. J. (2016). From the USDA: Educating the next generation: Funding opportunities in food, agricultural, natural resources, and social sciences education. CBE Life Sciences Education, 15(3), 1-4. doi:10.1187/cbe.16-01-0052
  60. Stern, P. N. (1980). Grounded theory methodology: Its uses and process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12(1), 20-23. doi.org/10.1111/j.1547-5069.tb01455.x
  61. Strauss, A. L., & Corbin, J. M.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Cited by

  1. The Effects of Agricultural Experience Program on Agricultural Literacy and Hand Function Improvement of Adolescents Living in Self-reliance Residence Hall vol.24, pp.3, 2019, https://doi.org/10.11628/ksppe.2021.24.3.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