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thers' work-family reconciliation type and its characteristics

아버지의 일·가정양립 유형과 일·가정양립 양상

  • Lee, Hyun Ah (Research Institute for Multi-cultural Society and Policy, Daegu University) ;
  • Kim, Seon-Mi (Dept. of Family Welfare, Gwangju Univ.)
  • 이현아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
  • 김선미 (광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가족복지전공)
  • Received : 2019.06.15
  • Accepted : 2019.08.13
  • Published : 2019.08.31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changes in a father's role from one that is work-centered to a work-family balance, analyzing the type of father's work-family reconciliation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among the typ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1,037 fathers of school-aged children. The survey subjects were assigned to a ratio of 1:2:1:1 for fathers who have a child in kindergarten,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e fathers' work-family reconciliation type was a variable composed of three categories: work-centered, family-centered, and work-family centered. In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the fathers' work-family reconciliation type was influenced by family characteristics(the age of first child, the number of children, dual earner, and spouse support) and work characteristics(weekly working hours, work flexibility, and leaving work on time). We analyzed characteristics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through housework time, child care time, leisure time, family meals, and time spend talking with their children. The results showed that father's work-family reconciliation typ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such as first child age and spouse support, work characteristics such as weekly working hours and leaving work on time. The time distribution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father's work-family reconciliation type. Therefore, a fathers' work-family reconciliation can be considered typified by the interaction of family and work characteristics. This study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for supporting fathers' work-family reconciliation.

Keywords

References

  1. 고용노동부(2019a). 19.1.1.부터 달라지는 출산육아지지원제도. 고용노동부 보도자료 (http://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news_seq=9520)
  2. 고용노동부(2019b). 소중하고 확실한 행복, 아빠 육아휴직 1만7천 명 돌파, 고용노동부 보도자료 (http://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news_seq=9578)
  3. 김낙흥.박영숙(2016).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기분화와 부모효능감의 관계에서 배우자 지지의 매개효과. 어린이미디어연구, 15(4), 243-264.
  4. 김보은.조영일.유지영.최은실.김혜영(2016). 성인기와 노년기별 기혼남성 근로자의 일-가정 양립 어려움과 우울, 자아존중감의 관계. 보건사회연구, 36(1), 473-496.
  5. 김영옥.김종숙.이선행(2015). 일 가정 양립 실태조사. 고용노동부.
  6. 김혜영.황정미.선보영.김동기(2008), 남성의 부성경험과 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7. 동아일보(2012.11.16.) '가족식사 불참자' 1위는 누구? '씁쓸함 가득' http://news.donga.com/3/all/20121116/50904492/1#csidx7487eeb19304b6193dd8bffde89402d
  8. 문은영.서영주(2011). 서울시 30, 40 대 자녀양육 남성근로자의 일과 가족생활 양립현황 및 문제점.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이슈분석, 2011-6, pp.1-14.
  9. 배호중(2015). 맞벌이 가구 남편의 가사노동시간 - 홑벌이 가구 남편과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1(4), 151-181.
  10. 배지혜.서혜영.이숙현(2002). 사무직 남성의 일가족갈등 및 가족일갈등과 부모역할만족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7(2), 43-64.
  11. 송혜림(2012). 남성의 일.가정양립 실태와 요구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1-18.
  12. 안수미.이기영.이승미(2013).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와 자녀양육시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2), 109-132.
  13. 양소남(2013). 아버지의 부성경험: 다양한 역할수행의 긴장과 갈등. 디지털정책연구, 11(2), 375-383.
  14. 여성가족부(2018). 가족친화직장교육 매뉴얼, 일 가정 생활 더불어, 행복 double-up. 한국건강가정진흥원
  15. 여성가족부(2019). 2019 가족친화인증설명회 자료집, 한국경영인증원.
  16. 연합뉴스(2017.8.16). '韓노동시간 OECD2위... 獨보다 넉달 더 일하고 임금은 70%', (https://www.yna.co.kr/view/AKR20170815071000002)
  17. 유해미.정주영.양유진(2013). 일 가정 양립을 위한 남성의 자녀양육 지원 실태와 개선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18. 이선형.이지혜(2015). 서울시 3040 워킹대디의 일가족양립지원방안연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19. 이수재.이영환(2007).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아버지의 자녀 양육참여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0(3), 1226-1242.
  20. 이숙현.권영인(2009). 기업의 가족 친화적 문화와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 : 일-가족 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1(1), 1-28.
  21. 이현아(2014). 집단면접조사를 통한 아버지 학교참여 사례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5), 179-191. https://doi.org/10.7466/JKHMA.2014.32.5.179
  22. 이현아(2018).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아버지참여 프로그램 현황 및 만족도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3), 61-76.
  23. 이현아.김선미.이승미(2016). 학령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가사노동시간과 자녀돌봄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자치행정학보, 30(2), 231-261.
  24. 이현아.박철.김선미(2017). 지역사회 건강가정지원센터 아버지대상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요구분석. 한국자치행정학보, 31(2), 319-348. https://doi.org/10.18398/KJLGAS.2017.31.2.319
  25. 임홍택(2018). 간단함. 병맛, 솔직함으로 기업의 흥망성쇠를 좌우하는 90년생이 온다. (주)훼일북.
  26.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2018). '모든 세대의 삶의 질 제고 및 포용국가 실현을 위한 저출산 고령사회 정책 로드맵.
  27. 정순심.문혁준(2019). 아버지가 인식한 부모역할신념과 어머니 문지기 역할이 아버지 양육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11(1), 71-94.
  28. 조성호.김지민(2018). 일생활균형을 위한 부부의 시간배분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9. 조윤진.임인혜(2016). 한국판 어머니. 아버지 역할 신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 69-100.
  30. 조희금(2016). 맞벌이가정 아버지의 근로시간특성과 가족친화제도가 자녀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4), 49-68.
  31. 주은선.김사현.김민성(2014). 한국 부모의 미취학아동 돌봄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보장연구, 30(2), 367-400.
  32. 중앙일보(2018.3.8.). 직장 선택 조건 1위는 '워라벨'...문제는 '야근'. https://news.joins.com/article/22423418
  33. 채화영(2012), 육아기 맞벌이 남성의 일.가정 양립 경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통계청(2015). 2015 일.가정양립 지표. 통계청
  35. 통계청(2016). 한국인의 생활시간 변화상. 통계청
  36. 통계청(2017). 2017 일.가정양립 지표. 통계청
  37. 홍승아.최인희.이아름(2014). 남성의 일.가정 양립 현황과 개선방안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8. 황윤하.김희진(2015). 어머니 문지기 역할에 대한 부부의 인식과 아버지 양육참여 및 양육효능감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10(2), 55-73.
  39. Allen, S. M., & Hawkins, A. J.(1999), Maternal gatekeeping: Mothers' beliefs and behaviors that inhibit greater father involvement in family work.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199-212.
  40. Barnett, R. C., & Baruch, G. K. (1987). Determinants of Fathers' Participation in Family Work.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9, 29-40. https://doi.org/10.2307/352667
  41. Bouchard, G., & Lee, C. M. (2000). The marital context for father involvement with their preschool children: the role of partner support. Journal of Prevention & Intervention in the Community, 20(1-2), 37-53. https://doi.org/10.1300/J005v20n01_04
  42. Coverman, S. (1985). Explaining husbands' participation in domestic labor, Sociological quarterly 26. 81-97. https://doi.org/10.1111/j.1533-8525.1985.tb00217.x
  43. Lee, H. (2019). An Exploratory Analysis of the Factors Associated with Fathers' School Involvement in South Korea.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8. 839-850. https://doi.org/10.1007/s10826-018-01307-2
  44. Maurer, T. W., Pleck, J. H., & Rane, T. R.(2001), Parental identity and reflected-appraisals: Measurement and gender dynamic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3, 309-321.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1.00309.x
  45. McBride, B. A., Brown, G. L., Bost, K. K., Shin, N., Vaughn, B., & Korth, B.(2005), Paternal identity, maternal gatekeeping, and father involvement, Family Relations 54(3), 360-372. https://doi.org/10.1111/j.1741-3729.2005.00323.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