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reativity According to Young Children's Gender and Intelligence

유아의 성별과 지능에 따른 창의성의 차이 연구

  • 김준희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학과) ;
  • 김지현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 Received : 2018.10.14
  • Accepted : 2019.02.08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children's creativity varies depending on gender and intelligence.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00 five-to-six-year-olds from a kindergarten in city 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 21.0 program. I conducted t-tests to examine differences in intelligence and creativity according to gender, and used two-way ANOVA for inspect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intelligence. Furthermore, I used additional one-way ANOVA for inspecting the interaction-effect of gender and intelligence concretely. Results: As a result, there are no differences in creativity according to a child's gender, but there are some variations in intelligence according to gender. In addition, the asp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creativity and intelligence varies according to gender. Conclusion/Implications: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determined that gender and level of intelligence influence an improvement in creativity. This study supplies variables and directions to be considered when an educational activity or program is developed for young children.

Keywords

BOJGB2_2019_v15n1_15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유아의 성별과 지능집단(우수, 보통)에 따른 창의성 총점의 상호작용효과

BOJGB2_2019_v15n1_15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유아의 성별과 지능집단(우수, 보통)에 따른 유창성의 상호작용효과

BOJGB2_2019_v15n1_15_f0003.png 이미지

그림 3. 유아의 성별과 지능집단(우수, 보통)에 따른 융통성의 상호작용 효과

BOJGB2_2019_v15n1_15_f0004.png 이미지

그림 4. 유아의 성별과 지능집단(우수, 보통)에 따른 독창성의 상호작용효과

BOJGB2_2019_v15n1_15_f0005.png 이미지

그림 5. 유아의 성별과 지능집단(우수, 보통)에 따른 도형의 상호작용효과

표 1.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

BOJGB2_2019_v15n1_15_t0001.png 이미지

표 2. 유아 종합 창의성 검사의 구성

BOJGB2_2019_v15n1_15_t0002.png 이미지

표 3. 유아의 성별에 따른 창의성의 차이

BOJGB2_2019_v15n1_15_t0003.png 이미지

표 3. 계속

BOJGB2_2019_v15n1_15_t0004.png 이미지

표 4. 유아의 성별에 따른 지능의 차이

BOJGB2_2019_v15n1_15_t0005.png 이미지

표 4. 계속

BOJGB2_2019_v15n1_15_t0006.png 이미지

표 5. 성별, 지능집단(우수, 보통)에 따른 평균과 표준편차

BOJGB2_2019_v15n1_15_t0007.png 이미지

표 5. 계속

BOJGB2_2019_v15n1_15_t0008.png 이미지

표 6. 성별과 지능집단(우수, 보통)에 따른 창의성의 차이

BOJGB2_2019_v15n1_15_t0009.png 이미지

표 6. 계속

BOJGB2_2019_v15n1_15_t0010.png 이미지

표 7. 유아의 성별과 지능집단(우수, 보통)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단순주효과 분석

BOJGB2_2019_v15n1_15_t0011.png 이미지

표 8. 유아의 성별과 지능집단(우수, 보통)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단순주효과 분석

BOJGB2_2019_v15n1_15_t0012.png 이미지

표 9. 유아의 성별과 지능집단(우수, 보통)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단순주효과 분석

BOJGB2_2019_v15n1_15_t0013.png 이미지

표 9. 계속

BOJGB2_2019_v15n1_15_t0014.png 이미지

표 10. 유아의 성별과 지능집단(우수, 보통)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단순주효과 분석

BOJGB2_2019_v15n1_15_t0015.png 이미지

표 11. 유아의 성별과 지능집단(우수, 보통)의 상호작용에 대한 단순주효과 분석

BOJGB2_2019_v15n1_15_t0016.png 이미지

References

  1. 강현숙, 박병기 (2014). 창의성과 인지적, 정의적, 환경적 변인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교육심리연구, 28(2), 371-404.
  2. 교육과학기술부 (2008).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I. 총론.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금잔디, 박혜원, 박민정 (2014). 유아의 지능과 문제행동간의 관계. 인지발달중재학회지, 5(2), 1-15.
  4. 김수연 (2003). 유아의 창의성과 어머니의 양육관련 변인간의 구조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숙경 (2001). 유아의 다중지능 평가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희정, 임유경 (2014). 유아의 다중지능과 자아존중감의 연령과 성에 따른 차이, 상호작용 효과 및 상관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87, 233-261.
  7. 문수백 (2014). 한국판 KABC-II 전문가 지침서. 서울: 인싸이트.
  8. 박숙희 (2014). 영재와 일반아 집단의 영역 창의성 비교를 통한 능력-분화가설 검증. 영재와 영재교육, 13(3), 109-126. doi:10.17839/jksgt.2014.13.3.109
  9. 박새롬, 박혜준 (2010). 만 5세 유아의 인지과정 특성 분석: 성별, 월령, 과잉행동성향에 따른 CAS 수행 결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1(4), 139-157.
  10. 박혜원, 윤여홍 (1999). 웩슬러 유아지능검사에서의 영재 아동의 수행특성. 인간발달연구, 6(2), 33-47.
  11. 박혜원, 서예나, 이진숙 (2015). 한국 웩슬러유아지능검사 4판(K-WPPSI-IV)의 공준타당도 연구. 아동학회지, 36(1), 65-83. doi:10.5723/KJCS.2015.36.1.65
  12. 변윤희, 현은자 (2004).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24(5), 311-335.
  13. 유경훈 (2013).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다중지능 간의 구조적 관계. 창의력교육연구, 3(1), 87-109.
  14. 이경화 (2002). 4,5세 유아의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격. 교육심리연구, 16(3), 147-160.
  15. 이경화 (2008). 유아 다중지능(MI) 향상을 위한 재능계발 프로그램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7(2), 75-96.
  16. 이경화, 이신동 (2002). 통합창의성 검사 I: 유아용. 서울: 학문사.
  17. 이경화, 윤은정 (2004). 유아의 지능과 창의성과의 관계. 영재와 영재교육, 3(1), 55-71.
  18. 이경화, 양혜진 (2015). 창의적 사고기법 활용 프로젝트 수업이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창의력교육연구, 15(2), 33-47.
  19. 이봉순, 이영환 (2007). 유아의 일반지능, 다중지능, 창의성과의 관계. 아동과 권리, 11(1), 61-76.
  20. 이은해, 조성연 (1987). 아동의 문제 해결력과 창의성 및 성격특성간의 관계. 연세논총, 23(1), 333-350.
  21. 장보경, 이연규 (2009).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언어발달과 사회정서발달의 차이. Montessori 교육연구, 14(2), 61-77.
  22. 전경원 (1997). 브레인스토밍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2), 1-23.
  23. 전경원 (2000).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창의성 발달: 유아 종합 창의성 검사(K-CCTYC)를 중심으로. 창의력교육연구, 3(1), 29-53.
  24. 전경원 (2000). 유아용 종합 창의성 검사(재표준화). 서울: 학지사.
  25. 최지현, 성현란 (2010). 아동 및 부모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영유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인지발달중재학회지, 1(1), 69-87.
  26. 한석실, 이경민 (2005). 유아의 지능과 창의성 간의 관계 분석: K-ABC 지능과 TTCT 창의성 검사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6(2), 75-89.
  27. 황희숙, 강승희, 윤소정 (2003). 유아 영재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K-WPPSI 수행과 창의성과의 관계에 대한 탐색 연구. 유아교육연구, 23(4), 81-104.
  28. Bachtold, L., & Worley, P. (1986). Imagination, originality and temperament of preschool children. The Journal of Creativity Behavior, 20(2), 141-142. doi:10.1002/j.2162-6057.1986.tb00429-X
  29. Bomba, A. K., & Moran, J. D. (1988). The relationship of selected temperament characteristics to creative potential in preschool children.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41(1), 225-230. doi:10.1080/0300443880410117
  30. Bornstein, M. H., & Haynes, O. M. (1998). Vocabulary competence in early childhood: Measurement, latent construct, and predictive validity. Child Development, 69(3), 654-671. doi:10.1111/j.1467-8624.1998.tb0 6235-X
  31. Burt, C. (1962). The psychology of creative ability.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32(P3), 292-298. doi:10.1111/j.2044-8279.1962.tb01772.X
  32. Chugani, H. T. (1998). A critical period of brain development: Studies of cerebral glucose utilization with PET. Preventive Medicine, 27(2), 184-188. doi:10.1006/pmed-1998.0274
  33. Csikszentmihalyi, M. (1996). The creative personality. Psychology Today, 29(4), 36-40.
  34. Davis, G. A. (1989). Objectives and activities for teaching creative thinking 1. Gifted Child Quarterly, 33(2), 81-84. doi:10.1177/001698628903300208
  35. Fu, V. R. (1977). Creativity and preschool children. Home Economic Research Journal, 6(2), 115-119. doi:10.1177/1077727X7700600203
  36. Fuchs-Beauchamp, K. D., Karnes, M. B., & Johnson, L. J. (1993). Creativity and intelligence in preschoolers. Gifted Child Quarterly, 37(3), 113-117. doi:10.1177/001698629303700303
  37.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New York: Basic Books Inc. doi:10.1002/pam.4050030422
  38. Geary, D. C. (1994). Children's mathematical development: Research and practical applicat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y Association. doi:10.1037/10163-000
  39. Gerrard, L. E., Poteat, G. M., & Ironsmith, M. (1996). Promoting children's creativity: Effects of competition, self-esteem, and immunization. Creativity Research Journal, 9(4), 339-346. doi:10.1207/s.1532-6934.crj.0904-5
  40. Guilford, J. P. (1967). The nature of human intelligence. New York: McGraw-Hill. doi:10.1126/science.162.3857.990-A
  41. Guilford, J. P. (1971). Some misconceptions regarding measurement of creative talents.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5(2), 77-87. doi:10.1002/j.2162-6057.1971.tb00877-X
  42. Kaufman, A. S., & Kaufman, N. L. (1983).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Circle Pines, MN: American Guidance Service.
  43. McGuinness, D. (1993). Gender differences in cognitive style: Implications for mathematics performance and achievement. In L. A. Penner, G. M. Batsche, H. M. Knoff, & D. L. Nelson (Eds.), The challenge in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Psychology's response (pp. 251-274).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doi:10.1037/10139-008.
  44. Milgram, R. M., & Milgram, N. A. (1976). Group versus individual administration in the measurement of creative thinking in gifted and nongifted children. Child Development, 47(2), 563-565. doi:10.2307/1128823
  45. Nickerson, R. S. (1999). Enhancing creativity. In R. 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 (pp. 392-430).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i:10.1017/CBO9780511807916.022
  46. Piaget, J. (1964). Part I: Cognitive development in children: Piaget development and lear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3), 176-186. doi.org/10.1002/tea.3660020306
  47. Raina, M. K. (1969) A study of sex difference in creativity in India.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3(2), 111-114. doi:10.1002/j.2162-6057.1969.tb00052-X
  48. Renzulli, J. S. (2005). The three-ring conception of giftedness: A developmental model for creative productivity. In R. J. Sternberg & E. Davidson (Eds.), Conceptions of giftedness (pp. 246-279).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i:10.1017/CBO9780511610455.015
  49. Rhodes, M. (1961). An analysis of creativity. The Phi Delta Kappan, 42(7), 305-310.
  50. Runco, M. A. (2004). Creativity.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5(1), 657-687. doi:10.1146/annurev.psych.55.090902.141502
  51. Ryhammar, L., & Brolin, C. (1999). Creativity research: Historical considerations and main lines of development. Scandinavi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3(3), 259-273. doi:10.1080/0031383990430303
  52. Scarano, F. M. (1980). Relationship between field independence, flexibility and creativity in average and high ability sixth and seventh grades.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41(4), 1500-1501.
  53. Sternberg, R. J., & Kagan, J. (1986). Intelligence applied: Understanding and increasing your intellectual skills. San Diego, CA: Harcourt Brace Jovanovich.
  54. Torrance, E. (1963). Education and the creative potential.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doi:10.1177/002248716401500218
  55. Wechsler, D. (1958). The measurement and appraisal of adult intelligence (4th ed). Baltimore, MD: Williams & Wilkins Co. doi:10.1037/11167-000
  56. Yamamoto, K. (1964). Evaluation of some creativity measures in a high school with peer nominations as criteria. The Journal of Psychology, 58(2), 285-293. doi:10.1080/0022-3980.1964.99167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