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국내 산후우울 중재프로그램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The Effects of Postpartum Depression Intervention Programs in Kore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투고 : 2019.02.26
  • 심사 : 2019.03.14
  • 발행 : 2019.03.28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수행된 산후우울 중재프로그램의 현황을 파악하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2018년 11월까지 보고된 국내 학술지 논문 중, 13편의 실험연구를 선별하여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6.9~34.4세로, 산모 또는 산모와 배우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표본크기는 실험군 6~39명 (평균 20.4), 대조군 5~40명 (평균 20.0)이었고, 중재프로그램의 구성은 0.5~12주/2~14회기/1회 당10~120분으로 이루어졌다. 모든 연구의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전후실험설계였다. 주요 종속변수인 산후우울, 피로도, 모성역할자신감은 메타분석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중간 수준 이상의 효과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산후우울을 중재하기 사용되는 다양한 실험연구들의 구성과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최적의 산후우울 중재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근거기반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postpartum depression intervention program performed in Korea and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Of the Korean academic journals reported until November 2018, 13 experimental studies were selected and used for final analysis.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26.9 to 34.4 years, and subjects were puerperal women or couples. The sample size was 6~39 (mean: 20.4) in the experimental group, 5~40 in the control group (mean: 20.0), and the intervention program consisted of 0.5~12 weeks/2~14 sessions/10~120 minutes per session. The design of all the studies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The main dependent variables, postpartum depression, fatigue, and maternal role self-confidence, were all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n level of effect size in the meta-analysis. This study confirms the composition and effects of various experimental studies used to mediate postpartum depression in Korea. This could be used as specific evidence-based data to form an optimal postpartum intervention program.

키워드

CCTHCV_2019_v19n3_649_f0001.png 이미지

Fig. 1. Flow of studies included from database search

CCTHCV_2019_v19n3_649_f0002.png 이미지

Fig. 2. Forest plots of main variables

Table 1. Descriptive Summary of Selected Studies

CCTHCV_2019_v19n3_649_t0001.png 이미지

참고문헌

  1. 질병관리본부, 임신관련 합병증 유병률 조사 및 위험인자 발굴, 질병관리본부 학술연구개발용역 과제 최종결과보고서, 2016.
  2. 이소영, "산전.산후관리 실태와 정책적 함의," 보건복지포럼, 제236권, pp.37-50, 2016.
  3. D. Agrati and J. S. Lonstein, "Affective changes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influences of genetic and experiential factors," Horm Behav, Vol.77, pp.141-152, 2016. https://doi.org/10.1016/j.yhbeh.2015.07.016
  4. N. G. Manjunath, G. Venkatesh, and Rajanna, "Postpartum blue is common in socially and economically insecure mothers," Indian J Community Med, Vol.36, No.3, pp.231-233, 2011. https://doi.org/10.4103/0970-0218.86527
  5. J. Rujiwetpongstorn, "Depression: the silent crisis during pregnancy," Thai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Vol.25, No.3, pp.138-140, 2017.
  6. R. Levy-Shiff, "Individual and contextual correlates of marital change across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Developmental Psychology, Vol.30, No.4, pp.591-601, 1994. https://doi.org/10.1037/0012-1649.30.4.591
  7. 강민철, 김수임, 김동민, "산후우울증 유병률 및 관련요인에 대한 메타연구: 사회적 지지와 양육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제13권, 제1호, pp.149-168, 2012.
  8.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산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 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17-18, 2017.
  9. D. J. Newport, A. Hostetter, A. Arnold, and Z. N. Stowe, "Treatment of postpartum depression: minimizing infant exposures," J Clin Psychiatry, Vol.63, Suppl.7, pp.31-44, 2002. https://doi.org/10.4088/JCP.v63n0107
  10. S. Doucet, I. Jones, N. Letourneau, C. L. Dennis, and E. R. Blackmore, "Intervention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ostpartum psychosis: a systematic review," Arch Womens Ment Health, Vol.14, No.2, pp.89-98, 2011.
  11. M. Davidson, M. London, and P. Ladewig, Olds' maternal-newborn nursing & women's health across the lifespan(10th ed),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2016.
  12. E. D. Barker, S. R Jaffee, R. Uher, and B. Maughan, "The contribution of prenatal and postnatal maternal anxiety and depression to child maladjustment," Depress Anxiety, Vol.28, No.8, pp.696-702, 2011. https://doi.org/10.1002/da.20856
  13. L. Murray, A. Arteche, P. Fearon, S. Halligan, I. Goodyer, and P. Cooper, "Maternal postnatal depression and the development of depression in offspring up to 16 years of age,"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Vol.50, No.5, pp.460-470, 2011. https://doi.org/10.1016/j.jaac.2011.02.001
  14. 정연득, "산모를 위한 목회상담-여성주의 목회상담의 관점에서," 여성연구논총, 제25권, pp.113-133, 2010.
  15. 고선희, 권규린, 김민서, 노기라, 안소정, 이정현, 주가을, "대학생의 결혼, 출산 및 가임력 관련 인식과 고위험 임신 관련 지식," 부모자녀건강학회지, 제20권, 제2호, pp.67-79, 2017.
  16. 백서영, 정슬기, 김성해, 김수, 유호지, "산후 분노에 대한 서술적 문헌고찰," 부모자녀건강학회지, 제21권, 제1호, pp.28-38, 2018.
  17. 김윤미, 안숙희, "산후 우울의 고찰: 정신신경면역계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21권, 제2호, pp.106-114, 2015. https://doi.org/10.4069/kjwhn.2015.21.2.106
  18. 김수영, 박지은, 서현주, 서혜선, 손희정, 신채민, 이윤재, 장보형, (NECA)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 한국보건의료연구원, 2011.
  19. A. Liberati, D. G. Altman, J. Tetzlaff, C. Mulrow, P. C. Gotzsche, J. P. A. Ioannidis, M. Clarke, P. J. Devereaux, J. Kleijnen, and D. Moher, "The PRISMA statement for report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of studies that evaluate healthcare interventions: explanation and elaboration," BMJ, Vol.339, 2009. https://doi.org/10.1136/bmj.b2700
  20. M. Borenstein, L. V. Hedges, J. P. T. Higgins, and H. R. Rothestein,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New York: Wiley, 2011.
  21. J. Cohen,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New York: Academic Press, 1977.
  22. J. P. Higgins and S. Green,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0, The Cochrane Collaboration, 2011.
  23. 안영미, 이상미, "통합적 NICU입원교육이 고위험신생아 어머니의 모아애착, 모성자존감, 산후우울에 미치는 영향," 아동간호학회지, 제10권, 제4호, pp.340-349, 2004.
  24. 서수정, 김태련, 이경숙, 신의진, "어머니-영아 안정애착 형성을 위한 예방부모교육 프로그램 실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제12권, 제1호, pp.21-42, 2007. https://doi.org/10.18205/KPA.2007.12.1.002
  25. 허명행, 김연숙, 안혜영, "아로마테라피 적용이 산욕기 산모의 회음부 불편감, 피로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제11권, 제4호, pp.65-71, 2008.
  26. 김은숙, 김은영, 이지연, 김진경, 이현주, 이승희, 김지영, 원하연, "지지간호가 미숙아 어머니의 산후 우울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제15권, 제3호, pp.157-170, 2009.
  27. 이선미, "음악요법이 산모의 산후우울과 모아애착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제40권, 제1호, pp.60-69, 2010. https://doi.org/10.4040/jkan.2010.40.1.60
  28. 김혜원, 김순옥, 김혜경, 전향란, "음악요법과 전화상담이 고위험 산모의 산후우울과 모성정체성에 미치는 효과," 간호학의 지평, 제11권, 제1호, pp.63-73, 2014.
  29. 방경숙, 허보윤, 권미경, "결혼이민자 산모에 대한 산후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아동간호학회지, 제20권, 제1호, pp.11-19, 2014.
  30. 이나라, 강경선, "노래심리치료가 산모의 산후우울과 산후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여성연구논총, 제15권, pp.85-115, 2014.
  31. 최미선, 이은자, "발 반사마사지가 산욕기 산모의 피로, 스트레스, 산후 우울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제45권, 제4호, pp.587-594, 2015. https://doi.org/10.4040/jkan.2015.45.4.587
  32. 김연실, 이윤정, 박규희, "모성건강관리프로그램이 임부의 우울, 모성역할자신감, 분만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동서간호학연구지, 제23권, 제2호, pp.134-141, 2017. https://doi.org/10.14370/JEWNR.2017.23.2.134
  33. 정인숙, "남편의 도움이 산모의 산후우울과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예비연구," 융합정보논문지, 제7권, 제6호, pp.45-52, 2017. https://doi.org/10.22156/CS4SMB.2017.7.6.045
  34. 김수정, 서지민, "초산모를 위한 모성역할적응 프로그램의 효과,"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24권, 제3호, pp.322-332, 2018. https://doi.org/10.4069/kjwhn.2018.24.3.322
  35. 송지현, 박미영, 정은영, "아로마 손마사지가 산욕기 산호의 스트레스, 피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제13권, 제3호, pp.389-398, 2018.
  36. J. L. Cox, J. M. Holden, and R. Sagovsky, "Detection of postnatal depression. Development of the 10-item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Br J Psychiatry, Vol.150, pp.782-786, 1987. https://doi.org/10.1192/bjp.150.6.782
  37. A. T. Beck, C. H. Ward, M. Mendelson, J. Mock, and J. Erbaugh,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 Gen Psychiatry, Vol.4, pp.561-571, 1961. https://doi.org/10.1001/archpsyc.1961.01710120031004
  38. L. S. Radloff,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 Psychol Meas, Vol.1, No.3, pp.385-401, 1977. https://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39. 배정이, "산후우울 사정을 위한 도구 개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27권, 제3호, pp.588-600,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