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g. 1. Flow of studies included from database search
Fig. 2. Forest plots of main variables
Table 1. Descriptive Summary of Selected Studies
참고문헌
- 질병관리본부, 임신관련 합병증 유병률 조사 및 위험인자 발굴, 질병관리본부 학술연구개발용역 과제 최종결과보고서, 2016.
- 이소영, "산전.산후관리 실태와 정책적 함의," 보건복지포럼, 제236권, pp.37-50, 2016.
- D. Agrati and J. S. Lonstein, "Affective changes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influences of genetic and experiential factors," Horm Behav, Vol.77, pp.141-152, 2016. https://doi.org/10.1016/j.yhbeh.2015.07.016
- N. G. Manjunath, G. Venkatesh, and Rajanna, "Postpartum blue is common in socially and economically insecure mothers," Indian J Community Med, Vol.36, No.3, pp.231-233, 2011. https://doi.org/10.4103/0970-0218.86527
- J. Rujiwetpongstorn, "Depression: the silent crisis during pregnancy," Thai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Vol.25, No.3, pp.138-140, 2017.
- R. Levy-Shiff, "Individual and contextual correlates of marital change across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Developmental Psychology, Vol.30, No.4, pp.591-601, 1994. https://doi.org/10.1037/0012-1649.30.4.591
- 강민철, 김수임, 김동민, "산후우울증 유병률 및 관련요인에 대한 메타연구: 사회적 지지와 양육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제13권, 제1호, pp.149-168, 2012.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산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 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17-18, 2017.
- D. J. Newport, A. Hostetter, A. Arnold, and Z. N. Stowe, "Treatment of postpartum depression: minimizing infant exposures," J Clin Psychiatry, Vol.63, Suppl.7, pp.31-44, 2002. https://doi.org/10.4088/JCP.v63n0107
- S. Doucet, I. Jones, N. Letourneau, C. L. Dennis, and E. R. Blackmore, "Intervention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ostpartum psychosis: a systematic review," Arch Womens Ment Health, Vol.14, No.2, pp.89-98, 2011.
- M. Davidson, M. London, and P. Ladewig, Olds' maternal-newborn nursing & women's health across the lifespan(10th ed),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2016.
- E. D. Barker, S. R Jaffee, R. Uher, and B. Maughan, "The contribution of prenatal and postnatal maternal anxiety and depression to child maladjustment," Depress Anxiety, Vol.28, No.8, pp.696-702, 2011. https://doi.org/10.1002/da.20856
- L. Murray, A. Arteche, P. Fearon, S. Halligan, I. Goodyer, and P. Cooper, "Maternal postnatal depression and the development of depression in offspring up to 16 years of age,"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Vol.50, No.5, pp.460-470, 2011. https://doi.org/10.1016/j.jaac.2011.02.001
- 정연득, "산모를 위한 목회상담-여성주의 목회상담의 관점에서," 여성연구논총, 제25권, pp.113-133, 2010.
- 고선희, 권규린, 김민서, 노기라, 안소정, 이정현, 주가을, "대학생의 결혼, 출산 및 가임력 관련 인식과 고위험 임신 관련 지식," 부모자녀건강학회지, 제20권, 제2호, pp.67-79, 2017.
- 백서영, 정슬기, 김성해, 김수, 유호지, "산후 분노에 대한 서술적 문헌고찰," 부모자녀건강학회지, 제21권, 제1호, pp.28-38, 2018.
- 김윤미, 안숙희, "산후 우울의 고찰: 정신신경면역계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21권, 제2호, pp.106-114, 2015. https://doi.org/10.4069/kjwhn.2015.21.2.106
- 김수영, 박지은, 서현주, 서혜선, 손희정, 신채민, 이윤재, 장보형, (NECA)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 한국보건의료연구원, 2011.
- A. Liberati, D. G. Altman, J. Tetzlaff, C. Mulrow, P. C. Gotzsche, J. P. A. Ioannidis, M. Clarke, P. J. Devereaux, J. Kleijnen, and D. Moher, "The PRISMA statement for report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of studies that evaluate healthcare interventions: explanation and elaboration," BMJ, Vol.339, 2009. https://doi.org/10.1136/bmj.b2700
- M. Borenstein, L. V. Hedges, J. P. T. Higgins, and H. R. Rothestein,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New York: Wiley, 2011.
- J. Cohen,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New York: Academic Press, 1977.
- J. P. Higgins and S. Green,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0, The Cochrane Collaboration, 2011.
- 안영미, 이상미, "통합적 NICU입원교육이 고위험신생아 어머니의 모아애착, 모성자존감, 산후우울에 미치는 영향," 아동간호학회지, 제10권, 제4호, pp.340-349, 2004.
- 서수정, 김태련, 이경숙, 신의진, "어머니-영아 안정애착 형성을 위한 예방부모교육 프로그램 실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제12권, 제1호, pp.21-42, 2007. https://doi.org/10.18205/KPA.2007.12.1.002
- 허명행, 김연숙, 안혜영, "아로마테라피 적용이 산욕기 산모의 회음부 불편감, 피로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제11권, 제4호, pp.65-71, 2008.
- 김은숙, 김은영, 이지연, 김진경, 이현주, 이승희, 김지영, 원하연, "지지간호가 미숙아 어머니의 산후 우울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제15권, 제3호, pp.157-170, 2009.
- 이선미, "음악요법이 산모의 산후우울과 모아애착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제40권, 제1호, pp.60-69, 2010. https://doi.org/10.4040/jkan.2010.40.1.60
- 김혜원, 김순옥, 김혜경, 전향란, "음악요법과 전화상담이 고위험 산모의 산후우울과 모성정체성에 미치는 효과," 간호학의 지평, 제11권, 제1호, pp.63-73, 2014.
- 방경숙, 허보윤, 권미경, "결혼이민자 산모에 대한 산후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아동간호학회지, 제20권, 제1호, pp.11-19, 2014.
- 이나라, 강경선, "노래심리치료가 산모의 산후우울과 산후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여성연구논총, 제15권, pp.85-115, 2014.
- 최미선, 이은자, "발 반사마사지가 산욕기 산모의 피로, 스트레스, 산후 우울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제45권, 제4호, pp.587-594, 2015. https://doi.org/10.4040/jkan.2015.45.4.587
- 김연실, 이윤정, 박규희, "모성건강관리프로그램이 임부의 우울, 모성역할자신감, 분만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동서간호학연구지, 제23권, 제2호, pp.134-141, 2017. https://doi.org/10.14370/JEWNR.2017.23.2.134
- 정인숙, "남편의 도움이 산모의 산후우울과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예비연구," 융합정보논문지, 제7권, 제6호, pp.45-52, 2017. https://doi.org/10.22156/CS4SMB.2017.7.6.045
- 김수정, 서지민, "초산모를 위한 모성역할적응 프로그램의 효과,"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24권, 제3호, pp.322-332, 2018. https://doi.org/10.4069/kjwhn.2018.24.3.322
- 송지현, 박미영, 정은영, "아로마 손마사지가 산욕기 산호의 스트레스, 피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제13권, 제3호, pp.389-398, 2018.
- J. L. Cox, J. M. Holden, and R. Sagovsky, "Detection of postnatal depression. Development of the 10-item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Br J Psychiatry, Vol.150, pp.782-786, 1987. https://doi.org/10.1192/bjp.150.6.782
- A. T. Beck, C. H. Ward, M. Mendelson, J. Mock, and J. Erbaugh,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 Gen Psychiatry, Vol.4, pp.561-571, 1961. https://doi.org/10.1001/archpsyc.1961.01710120031004
- L. S. Radloff,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 Psychol Meas, Vol.1, No.3, pp.385-401, 1977. https://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 배정이, "산후우울 사정을 위한 도구 개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27권, 제3호, pp.588-600,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