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Regulation and Rejection Sensitivity

정서조절능력과 거부민감성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오민경 (건양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 하창순 (건양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Received : 2019.02.28
  • Accepted : 2019.03.19
  • Published : 2019.03.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ed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relation to college students' emotional control ability and rejection sensibility,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intervene in students with high resistance sensibility. To this end, a survey of 449 university students was conducted and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verifi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ontrol ability, rejection sensibility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control ability, social support and rejection sensitivity. Second, in the structural model of social support in relation to emotional control ability and rejection sensibility,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support played a role between emotional control ability and rejection sensi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suggestions for the application and follow - up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조절능력과 거부민감성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파악하여 거부민감성이 높은 학생들에게 개입하기 위한 기초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학생 44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을 통해 대학생이 지각하는 정서조절능력, 거부민감성, 사회적지지 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 본 결과, 정서조절능력과 사회적지지, 거부민감성은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정서조절능력과 거부민감성과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로하는 구조모형에서 사회적지지가 정서조절능력과 거부민감성 사이에서 매개 역할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적용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Keywords

CCTHCV_2019_v19n3_590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모형(부분매개모형)

표 1.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CCTHCV_2019_v19n3_590_t0001.png 이미지

표 2. 전체 연구개념에 대한 집중타당도

CCTHCV_2019_v19n3_590_t0002.png 이미지

표 3. 부분매개와 완전매개모형 적합도 및 모형 비교

CCTHCV_2019_v19n3_590_t0003.png 이미지

표 4. 부분매개모형의 경로계수

CCTHCV_2019_v19n3_590_t0004.png 이미지

표 5. 부분매개와 완전매개모형 적합도 및 모형 비교

CCTHCV_2019_v19n3_590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권석만,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 심리학, 서울: 학지사, 1997.
  2. 김희래, "최고대학 들어왔지만..." 서울대생 절반 우울증세, 매일경제, 2018.11.30.
  3. 배경덕, 대학생의 마음챙김과 대인관계능력 사이의 관계: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4. D. Cicchetti, B. P. Ackerman, and C. E. Izard, "Emotion and emotion regulation in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Vol.7, pp.1-10, 1995. https://doi.org/10.1017/S0954579400006301
  5. 엄정은,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과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6. 최은선, 권해수,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정서조절 능력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청소년시설환경, 제11권, 제4호, pp.123-132, 2013.
  7. 강여정,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8. 최인영,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대인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거절민감성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9. 이선주, 거부민감성이 높은 대학 신입생의 대인관계 형성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10. 홍상황, 이경연,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지, 제12권 제1호, pp.69-86, 2013.
  11. 고아라,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12. 류혜림,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대인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정서 회피와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3. 박지원, 사회적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6.
  14. 문용린, "학교에서의 정서 지능 개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사대논총, 제62호, pp27-53, 2001.
  15. S. Feldman and G. Downey, "Rejection sensitivity as a mediator of the impact of chilhood exposure to family vioence on adult attachment behavior,"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Vol.6, pp.231-247, 1994. https://doi.org/10.1017/S0954579400005976
  16. 심경원, 낙관성이 거부민감성, 정서표현성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7. O. Ayduk, R. Mendaza-denton, W. Mischel, G. Downey, P. Peake, and M. Rodriguez, "Regulation the interpersonal self: Strategic self-regulation for coping with rejection sensitivi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9, pp.776-792, 2000. https://doi.org/10.1037/0022-3514.79.5.776
  18. 김나영,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항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중재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9. O. Ayduk, D. May, G. Downey, and E. T. Higgins, "Tactical differences in coping with rejection sensitivity: The role of prevention prid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29, No.4, pp.435-448, 2003. https://doi.org/10.1177/0146167202250911
  20. E. A. Impett, S. L. Gable, and L. A. Peplau, "Giving up and giving in: the costs and benefits of daily sacrifice in intimate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9, No.3, p.327, 2005. https://doi.org/10.1037/0022-3514.89.3.327
  21. 박우람, 홍상황,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친구관계의 질의 관계: 적대감, 관계적 공격성의 매개효과," 한국초등교육, 제26권, 제2호, pp.285-302, 2015.
  22. 이경숙, 서수정, 신의진, "학령기 아동들의 부모에 대한 애착관계가 거부민감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소아.청소년 정신의학, 제11권, 제1호, pp.51-59, 2000.
  23. 신윤정, "대학생의 사회적지지와 생활스트레스 간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8호, pp.243-263, 2014.
  24. 조영주, 대학생의 애착, 자동적사고 및 사회적지지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5. J. Mayer and P. Salovey, "Emotional intelligence and identification of emotion," Intelligence, Vol.22, No.2, pp.89-113, 1996. https://doi.org/10.1016/S0160-2896(96)90011-2
  26. 문용린, 한국학생들의 정서지능 측정 연구:새로운 지능의 개념, 감정지능, 서울대 교육연구소, 1996.
  27. G. Downey and S. Feldman, "Implications of rejection sensitivity for intimate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0, pp.1327-1343, 1996. https://doi.org/10.1037/0022-3514.70.6.1327
  28. 이복동, 성인애착과 이성관계만족:거부민감성과 귀인양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29. 김연수,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와 사회적지지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30.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한나래아카데미, 2012.
  31. S. Hong, M. L. Malik, and M. K. Lee,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a Non-Western Sample, Edu," Psychol. Meas, Vol.63, pp.636-654, 2003. https://doi.org/10.1177/0013164403251332
  32. 김계수, 조사연구방법론,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2012.
  33. 배병렬, Amos19 구조방정식모델링: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2011.
  34. 하수홍, 장문선, "정서적 학대 경험과 경계선 성격특성 간의 관련성에서 거절민감성,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제25권, 제4호, pp.833-852, 2013. https://doi.org/10.24230/KSIOP.25.4.201211.8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