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f Dietary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Gyunggi Using Nutrition Quotient

어린이 영양지수 (nutrition quotient)를 이용한 경기 지역 일부 초등학생의 식습관 평가

  • 오경미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
  • 김형숙 (수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Received : 2019.02.14
  • Accepted : 2019.03.05
  • Published : 2019.03.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dietary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Gyunggi area using the Nutrition Quotient (NQ). The subjects were 406 students (199 boys and 207 girls) in their fourth and fifth grades. The NQ, consisting 19 items, was grouped into five domains (balance, diversity, moderation, regularity, and practice). The NQ score of the boys and girls was similar (boys $61.40{\pm}14.31$, girls $63.02{\pm}14.62$). Among the five domains of the NQ, girls showed a higher score in moderation (boys $63.57{\pm}19.00$, girls $70.84{\pm}16.20$) and practice (boys $58.56{\pm}20.50$, girls $64.69{\pm}22.57$) than boys. No gender differences in diversity (boys $71.70{\pm}24.72$, girls $71.26{\pm}23.57$), regularity (boys $59.39{\pm}23.73$, girls $59.34{\pm}23.57$), and balance (boys $56.73{\pm}19.62$, girls $54.58{\pm}20.03$) were observed. The percentage distribution of the NQ grade was 10.8% (highest), 9.4% (high), 45.1% (medium), 20.4% (low), and 14.3% (lowest). More opportunities should be provided for children with a low and lowest NQ grade to participate in nutrition education.

본 연구는 경기지역 초등학교 4, 5학년 406명(남 199명, 여 207명)을 대상으로 영양지수(NQ : Nutrition Quotient) 설문을 이용하여 식습관을 평가하였다. NQ는 19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5 요인(균형, 다양, 절제, 규칙, 실천)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NQ 총점은 남자 $61.40{\pm}14.31$, 여자 $63.02{\pm}14.62$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요인별 점수를 살펴보면 절제(남 $63.57{\pm}19.00$, 여 $70.84{\pm}16.20$), 실천(남 $58.56{\pm}20.50$, 여 $64.69{\pm}22.57$) 점수에 대해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다양(남 $71.70{\pm}24.72$, 여 $71.26{\pm}23.57$), 규칙(남 $59.39{\pm}23.73$, 여 $59.34{\pm}23.57$), 균형(남 $56.73{\pm}19.62$, 여 $54.58{\pm}20.03$) 영역에서는 성별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영양지수 등급 분석결과, '1등급' 10.8%, '2등급' 9.4%, '3등급' 45.1%, '4등급' 20.4%, '5등급' 14.3%로 나타났다. 본 조사에서 낮은 영양지수 등급으로 분류된 어린이를 위한 영양교육을 제공하여 영양상태를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Keywords

표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사항

CCTHCV_2019_v19n3_494_t0001.png 이미지

표 2. 조사 대상자의 신체계측치

CCTHCV_2019_v19n3_494_t0002.png 이미지

표 3. 어린이 영양지수 문항별 평균 점수

CCTHCV_2019_v19n3_494_t0003.png 이미지

표 4. 성별에 따른 어린이 영양지수 점수

CCTHCV_2019_v19n3_494_t0004.png 이미지

표 5. 성별에 따른 어린이 영양지수 등급

CCTHCV_2019_v19n3_494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이연숙, 임현숙, 안홍석, 장남수, 생애주기영양학, 교문사, 2011.
  2. 이정숙, 김혜영A, 최영선, 곽동경, 정해랑, 권세혁, 최윤주, 이순규, 강명희, "초등학교 어린이의 성별 및 비만도 수준에 따른 식생활인지.실천수준의 비교," 한국영양학회지, 제44권, 제6호, pp.527-536, 2011.
  3. 질병관리본부, 2017 국민건강통계, 보건복지부, 2018.
  4. 강명희, 이정숙, 김혜영, 권세혁, 최영선, 정해랑, 곽동경, 조양희, "어린이 영양지수 개발을 위한 평가항목 선정," 한국영양학회지, 제45권, 제4호, pp.372-389, 2012.
  5. 김혜영, 권세혁, 이정숙, 최영선, 정해랑, 곽동경, 박주연, 강명희, "어린이 영양지수 모형 개발과 구성타당도 평가," 한국영양학회지, 제45권, 제4호, pp.390-399, 2012.
  6. 부미나, 조수경, 박경, "어린이 영양지수를 이용한 제주 지역 일부 초등학생의 식습관 및 영양상태 평가," 한국영양학회지, 제48권, 제4호, pp.335-343, 2015.
  7. 유정선, 최영선, "경북 농촌지역 어린이 대상 영양지수 조사 및 평가," 한국영양학회지, 제46권, 제5호, pp.427-439, 2013.
  8. 이혜련, 김형숙, "수원시내 일부 초등학생의 식행동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수준과의 관계 연구,"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제21권, 제2호, pp.110-122, 2015. https://doi.org/10.14373/JKDA.2015.21.2.110
  9. 이수정, 김영남, "어린이 영양지수(NQ)를 활용한 대구 지역 남녀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식생활과 영양 상태 평가," 한국영양학회지, 제46권, 제5호, pp.440-446,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