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여대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자아탄력성이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ceived Stress, Ego-resilience on Premenstrual Syndrome in Female College Students

  • 윤지원 (신한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 투고 : 2018.12.28
  • 심사 : 2019.03.04
  • 발행 : 2019.03.28

초록

본 연구는 여대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월경전증후군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에 소재한 1개 대학교의 여대생 215명이며, 자료수집은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7년 10월 10일부터 11월 10일까지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월경전증후군은 지각된 스트레스(r=.537, p<.001)와는 정적 상관관계, 자아탄력성(r=-.315, p<.001)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월경전증후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식사습관(${\beta}=.123$, p=.031), 월경으로 인한 일상생활 지장 정도(${\beta}=.232$, p=.001), 지각된 스트레스(${\beta}=.441$, p=<.001)로 44.4%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월경증상관리를 위한 노력과 더불어 심리적 요인과 식생활을 포함한 생활습관 개선을 통합하는 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체계적으로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stress, ego-resilience, and premenstrual syndrome(PMS) and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PMS in female college student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215 female college students in Gyeunggi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0 to November 10, 2017,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M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erceived stress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ego-resilience. Eating habits, interference with daily life by menstruation, perceived stress accounted for 44.4% of variance in PM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anagement program that integrates psychological factors and lifestyle improvement including dietary habits, as well as efforts to manage menstrual symptoms in order to alleviate the premenstrual syndrome of female college students.

키워드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월경 관련 특성

CCTHCV_2019_v19n3_405_t0001.png 이미지

표 2. 지각된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월경전증후군 정도

CCTHCV_2019_v19n3_405_t0002.png 이미지

표 3.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연구변수의 차이

CCTHCV_2019_v19n3_405_t0003.png 이미지

표 4. 연구변수 간의 상관관계

CCTHCV_2019_v19n3_405_t0004.png 이미지

표 5.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CCTHCV_2019_v19n3_405_t0005.png 이미지

참고문헌

  1. L. Dennerstein, P. Lehert, T. C. Backstrom, and K. Heinemann, "Premenstrual symptoms severity, duration and typology: An international cross-sectional study," Menopause Int, Vol.15, No.3, pp.120-126, 2009. https://doi.org/10.1258/mi.2009.009030
  2. R. Indusekhar, S. B. Usman, and S. O'Brien, "Psychological aspects of premenstrual syndrome," Best Pract Res Clin Obstet Gynaecol, Vol.21, No.2, pp.207-220, 2007. https://doi.org/10.1016/j.bpobgyn.2006.10.002
  3. 임희순, 박용순, "서울지역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 유무에 따른 식생활 습관의 차이," 대한폐경학회지, 제16권, 제3호, pp.153-161, 2010.
  4. C. Cha and S. J. Nam, "Premenstrual symptoms clusters and women's coping style in Korea: happy healthy 20s application study," J. Psychosom Obstet Gynaecol, Vol.37, No.3, pp.1-9, 2016. https://doi.org/10.3109/0167482X.2015.1124853
  5. A. R. Genazzani and P. Monteleone, "Neuroendocrine correlates of premenstrual syndrome," Gynaecology Forum, Vol.11, No.1, pp.23-26, 2006.
  6. 송주은, 채현주, 장우희, 박연희, 이강은, 이선희, 장한나, 전지혜, 정민선, "간호대학생의 생활습관 및 월경태도와 월경전증후군간의 관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9권, 제2호, pp.119-128, 2013. https://doi.org/10.4069/kjwhn.2013.19.2.119
  7. 김석영, "여대생의 월경주기에 따른 섭식패턴과 섭식행동의 관련성,"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제21권, 제5호, pp.405-414, 2016. https://doi.org/10.5720/kjcn.2016.21.5.405
  8. 왕희정, 강민수, 오수민,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부모자녀건강학회지, 제21권, 제1호, pp.1-10, 2018.
  9. 이윤영, 박지선, 윤효현, 이승희, 이은형, 진소희, "흡연 및 음주경험과 스트레스가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8권, 제9호, pp.135-142, 2017. https://doi.org/10.15207/JKCS.2017.8.9.135
  10. 김미옥,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과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지, 제20권, 제3호, pp.1565-1577, 2018.
  11. 전정희, 황선경, "청소년기 여학생의 월경전증후군 구조모형," 한국간호과학회지, 제44권, 제6호, pp.660-671, 2014.
  12. 문소현, 조헌하, "여대생의 취업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월경전후기 증상간의 관계," 한국자료분석학회지, 제16권, 제4호, pp.2261-2272, 2014.
  13. 박경은, 이성은,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과 월경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7권, 제3호, pp.359-372, 2001. https://doi.org/10.4069/kjwhn.2001.7.3.359
  14. 문소현, 조헌하, "여대생의 완벽주의, 신체상, 대인관계가 월경전후기 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지, 제15권, 제3호, pp.1403-1414, 2013.
  15. 백선숙, 송미승, 조주연, "여대생의 건강증진행위와 취업스트레스가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제13권, 제3호, pp.411-422, 2018.
  16. 정금숙, 오현미, 최인령,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3025-3036, 2014. https://doi.org/10.5762/KAIS.2014.15.5.3025
  17. 김현영, 김상남, "여대생의 생활습관 및 생활스트레스가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8권, 제3호, pp.791-802, 2018.
  18. 김아린, 전해옥, 채명옥, "여대생의 건강행태, 월경전증후군 대처 및 증상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호, pp.493-505, 2017. https://doi.org/10.5762/KAIS.2017.18.1.493
  19. R. S. Lazarus and S. Folkman,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Y: Springer, 1984.
  20. 신호철, "설문을 이용한 스트레스 평가," 대한의사협회지, 제56권, 제6호, pp.485-495, 2013. https://doi.org/10.5124/jkma.2013.56.6.485
  21. J. Block and J. H. Block, "Venturing a 30-year longitudinal study," Am Psychol, Vol.61, No.4, pp.315-327, 2006. https://doi.org/10.1037/0003-066X.61.4.315
  22. 최은미, 신점란, 배재홍, 김명식, "대학생의 우울, 불안, 충동성, 공격성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8호, pp.329-341,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8.329
  23. C. E. Agaibi and J. P. Wilson, "Trauma, PTSD, and resilience-a review of the literature," Trauma, Violence, Abuse, Vol.6, No.3, pp.195-216, 2005. https://doi.org/10.1177/1524838005277438
  24. S. S. Chuang, M. E. Lamb, and C. P. Hwang, "Personality development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a longitudinal study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Sweden," Int J Behav Dev, Vol.30, No.4, pp.338-343, 2006. https://doi.org/10.1177/0165025406072795
  25. 박금숙, 윤해민, "대학생들의 건강행태, 우울, 자아탄력성," 정신간호학회지, 제25권, 제2호, pp.113-122, 2016. https://doi.org/10.12934/jkpmhn.2016.25.2.113
  26. 고미숙,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감성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대학생활 적응,"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0호, pp.280-291,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10.280
  27. S. Cohen, T. Karmarck, and R. Mermelstein,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 Health and Soc Behav, Vol.24, No.4, pp.385-396, 1983. https://doi.org/10.2307/2136404
  28. 박준호, 서영석,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판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29권, 제3호, pp.611-629, 2010.
  29. K. M. Connor and J. R. Davidson, "Development of a new resilience scale: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Depress Anxiety, Vol.18, No.2, pp.76-82, 2003. https://doi.org/10.1002/da.10113
  30. H. S. Baek, K. U. Lee, E. J. Joo, and M. Y. Le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Psychiatry Investig, Vol.27, No.2, pp.109-115, 2010.
  31. R. H. Moos, "The development of a 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 Psychosom Med, Vol.30, No.6, pp.853-876, 1968. https://doi.org/10.1097/00006842-196811000-00006
  32. 최혜선, 이은동, 안혜영, "대학생의 월경전증후군, 완벽성, 불안과의 관계: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을 중심으로,"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9권, 제4호, pp.265-274, 2013. https://doi.org/10.4069/kjwhn.2013.19.4.265
  33. N. Panay, "Treatment of premenstrual syndrome: a decision-making algorithm," Menopause Int, Vol.8, No.2, pp.90-92, 2012. https://doi.org/10.1258/mi.2012.012019
  34. C. Sadler, H. Smith, J. Hammond, R. Bayly, S. Borland, N. Panay, D. Crook, and H. Inskip, "Lifestyle factors, hormonal contraceptives and premenstrual symptoms: The UK Southampton Women's Survey," J. Womens Health, Vol.19, No.3, pp.391-396, 2010. https://doi.org/10.1089/jwh.2008.1210
  35. W. S. Biggs and R. H. Demuth, "Premenstrual syndrome and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Am Fam Physician, Vol.84, No.8, pp.918-924, 2011.
  36. K. Yamamoto, A. Okazaki, Y. Sakamoto, and M. Funatsu, "The relationship between premenstrual symptoms, menstrual pain, irregular menstrual cycle, and psychological stress among Japanese college students," J. Physiol Anthropol, Vol.28, No.3, pp.129-136, 2009. https://doi.org/10.2114/jpa2.28.129
  37. 김미리혜, "월경전증후군의 이해와 치료: 인지행동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건강, 제12권, 제3호, pp.649-666, 2007.
  38. Y. Lee and E. O. Im, "A path analysis of stress and premenstrual symptoms in Korean international and Korean domestic students," J. Adv Nurs, Vol.2, No.12, pp.3045-3059, 2016.
  39. 정여원, 김정아, "자아탄력성에 대한 개념분석," 성인간호학회지, 제27권, 제6호, pp.644-655, 2015. https://doi.org/10.7475/kjan.2015.27.6.6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