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Design and Effect of Design Thinking-Based Team Project Learning in Nursing Clinical Practice

간호학 임상실습에서 디자인씽킹 기반 팀 프로젝트 학습 설계 및 적용효과

  • Received : 2018.11.08
  • Accepted : 2019.02.13
  • Published : 2019.03.28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s of design thinking-based team project learning on nursing college students' empathy and proactivity of problem solving.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subjects' experiences obtained from participating in team project activity through reflective analysis. The research was a one-group, pre-and-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64 seniors majoring in nursing studies in N university who had attended the course of nursing management practice. During the course, they participated in a design thinking team project for a total of 10 sessions for two weeks, five times per week, and one and a half hour per day.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 22.0, a paired t-test was conducted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Content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ir experiences obtained from participation in team project activity. The subjects' empathy(t=-2.94, p=.005) and proactivity of problem solving(t=-6.23, p<.00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design thinking-based team project learning and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r=.634, p<.001). Analysis of team reflection revealed four themes: design thinking, empath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This study verified that design thinking-based team project learning was very effective in developing nursing college students' empathy and proactivity of problem solving. Research Results Design Thinking Based on team learning, project learning is an effective teaching learning method for finding and defining customer needs, creating a solution to problems, and enhancing engagement and empathy through various stakeholder collaborations I could.

본 연구는 디자인씽킹 기반 팀 프로젝트 학습이 간호대학생의 공감력 및 문제해결의 적극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팀 프로젝트 학습 참여경험을 분석하였다. 연구설계는 단일집단 전후설계에 의한 원시실험연구로 대상자는 N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 간호관리학실습 교과목 수강자 64명이었다. 디자인씽킹 기반의 팀 프로젝트 학습은 2주간의 임상실습 중 매주 5일, 1일 1시간 30분, 총 10회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을 사용하여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으며, 팀 프로젝트 학습 참여경험은 내용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디자인씽킹 기반 팀 프로젝트 학습 전과 후 대상자의 공감력(t=-2.94, p=.005)과 문제해결의 적극성(t=-6.23,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공감력과 문제해결의 적극성 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634, p<.001)가 있었다. 팀 학습 참여경험은 디자인씽킹, 공감, 문제해결능력, 비판적사고의 4개 주제로 범주화 되었다. 연구결과 디자인씽킹 기반 팀 프로젝트 학습은 고객의 욕구를 찾고, 정의하고, 문제의 해결안을 창출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협업을 통해 문제에 대한 몰입도를 높이고 공감력을 발휘하는데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CCTHCV_2019_v19n3_336_f0001.png 이미지

그림 1. 디스쿨의 디자인씽킹 모델

CCTHCV_2019_v19n3_336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연구진행절차

표 1. 디자인씽킹 기반 팀 프로젝트 수업운영

CCTHCV_2019_v19n3_336_t0001.png 이미지

표 2. 공감력과 문제해결의 적극성의 차이

CCTHCV_2019_v19n3_336_t0002.png 이미지

표 3. 공감력과 문제해결의 적극성 간의 상관관계

CCTHCV_2019_v19n3_336_t0003.png 이미지

표 4. 디자인씽킹 기반 팀 프로젝트 학습 참여경험

CCTHCV_2019_v19n3_336_t0004.png 이미지

References

  1. 김혜숙,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 수행능력과의 관계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16권, 제1호, pp.64-76, 2002.
  2. 김정선, 선정주, 김현숙,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체험," 질적연구학회지, 제10권, 제1호, pp.63-76, 2009.
  3. 김은희, "간호대학생의 불안, 공감능력, 자아탄력성과 임상수행능력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8호, pp326-337,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8.326
  4. 김수미, "임상실습교육에서 간호학생의 적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제14권, 제1호, pp.32-38, 2017. https://doi.org/10.16952/pns.2017.14.1.32
  5. 황성자,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2권, 제2호, pp.205-213, 2006.
  6. 김자인, "디스쿨의 디자인 사고 교육,"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5권, 제4호, pp.97-108, 2015.
  7. 배성환, 처음부터 다시 배우는 서비스 디자인 씽킹, 한빛 미디어, 2017.
  8. 이민하, "디자인사고 기반 수업이 대학생의 통합적 역량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제28권, pp.195-206, 2017.
  9. 우영진, 박병진, 이현진, 최미숙, 디자인씽킹 수업, 시공 미디어, 2018.
  10. B. Penprase, B. Oakley, R. Temes, and D. Driscoll, "Empathy as determining factor for nursing career selection," J. of Nursing Education, Vol.52, No.4, pp.192-197, 2013. https://doi.org/10.3928/01484834-20130314-02
  11. D. Rogers and C. Hudson, "The role of emotion control and emotional rumination in stress management trai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tress Management, Vol.2, No.3, pp.119-132, 1995. https://doi.org/10.1007/BF01740298
  12. C. Ozcan, F. Oflaz, and B. Bakir, "The effect of a structured empathy course on the students ofa medical and a nursing school,"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Vol.10, p.85, 1980.
  13. 우영진, 윤지현, 강성주, "공감 중심 디자인적 사고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초등 과학영재학생의 집단창의성 함양연구," 영재교육연구, 제28권, 제2호, pp.259-283, 2018.
  14. 임지민, 디자인씽킹 교육이 대학생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5. L. C. Marshal, The relationship between efficacy, teamwork, effort and patient satisfacti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Doctoral dissertation, 2003.
  16. 윤소정, 이은영, 박귀화, "의대생과 간호대생의 의사소통, 대인관계의 이해, 문제해결의 적극성, 팀효능감 간의 관계,"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8권, 제2호, pp.369-378, 2018.
  17. 김세미, "초중등학생들을 위한 디자인사고 기반의 융합교육 프로그램,"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20-26, 2018.
  18. 오보영, 문철, "디자인사고(Design Thinking) 과 정을 적용한 고등학교 디자인수업 모형 연구," 기초조영학연구, 제16권, 제6호, pp.297-308, 2015.
  19. 변현정, "디자인 사고과정(Design Thinking Process) 경험이 대학생 창의성 계발에 미치는 영향," 창의력교육연구, 제15권, 제3호, pp.149-167, 2015.
  20. 서응교, 전은화, 정효정, "대학생 창의역량 개발을 위한 디자인씽킹 기반 강좌 개발,"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4호, pp.693-718, 2016.
  21. 여지영, "한국판 단축 공감척도의 타당화,"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5356-5363, 2012.
  22. 권은미, 대학교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팀 효능감, 대인관계의 이해, 문제해결의 적극성과 팀 성과간 상관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3. 이정열, 이주명, "다지인사고의 의미 비교," 한국디자인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pp.62-63, 2010.
  24. S. Baron-Cohen and S. Wheelwright, "The empathy quotient: an investigation of adults with asperger syndrome or high functioning autism, and normal sex difference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Vol.34, No.2 pp.163-175, 2004. https://doi.org/10.1023/B:JADD.0000022607.19833.00
  25. A. Wakabayashi, S. Baron-Cohen, S. Wheelwright, N. Goldenfeld, J. Delaney, D. Fine, R. Smith, and L. Weil, "Development of short forms of the Empathy Quotient (EQ-Short) and the Systemizing Quotient(SQ-Shor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41, No.4, pp.929-940, 2006. https://doi.org/10.1016/j.paid.2006.03.017
  26. 강명옥, "간호대학생의 자아인식, 타인인식 및 공감간의 관계," 한국철학논집, 제47권, pp.207-238, 2015.
  27. 박민정, 최동원, "PBL 연계 투약시뮬레이션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시스템 사고능력, 학습몰입, 문제해결 적극성 및 투약간호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6권, 제8호, pp.221-231, 2018. https://doi.org/10.14400/jdc.2018.16.8.221
  28. 손혜경, 김영숙, 권수혜, 정경숙, "시뮬레이션실습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 과정에 미치는 효과," 의료커뮤니케이션, 제13권, 제1호, pp.63-69, 2018.
  29. 조일현, "사회적 자본의 관계적 차원이 e-러닝 콘텐츠 개발 프로젝트 팀의 지식창출과정에 미치는 영향," 직업능력개발연구, 제12권, 제2호, pp.173-194, 2009. https://doi.org/10.36907/KRIVET.2009.12.2.173
  30. 김봉수, 지각된 상사의 공감이 종업원의 팀 몰입과 작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31. 조옥희, 황경혜, "문제중심학습 연계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학습 동기,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7호, pp.640-650,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7.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