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onsumers' Perception of and Use Motiv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Speaker

인공지능 스피커(AI 스피커)에 대한 사용자 인식과 이용 동기 요인 연구

  • 이희준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소) ;
  • 조창환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
  • 이소윤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과) ;
  • 길영환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과)
  • Received : 2019.01.15
  • Accepted : 2019.03.19
  • Published : 2019.03.2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use motivations of AI speaker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AI speaker users. Based on the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user motivations of AI speaker are four dimensional, namely escaping from daily problems and maintaining social relationships, information acquisition and learning, entertainment and relaxation and pursuit of practicability. The main AI speaker users are in their 30s, and they are innovative to actively use AI speakers for entertainment purposes such as listening to music. The four sub-dimensions differed as we compared them with user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the motivation for escaping from daily problems and maintaining social relationships varied with gender and age. Moreover, age and informativeness were identified to have an influence on the motivations of information acquisition and learning and entertainment and relaxation. In sum, this research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into how to strategically create contents and services for AI speakers.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의 이용과 충족 이론을 토대로 소비자의 AI 스피커의 사용 행태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AI 스피커 사용 경험이 있는 국내 소비자 330명을 대상으로 AI 스피커의 속성 인식과 이용의 동기적 요인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 사용자의 AI 스피커 이용 동기 요인은 사회성 유지 및 현실 일탈, 정보습득 및 학습, 유희와 휴식, 유용성 추구의 4개 하위 차원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I 스피커 사용자의 연령대는 주로 30대이며, 혁신적 성향이 높은 사용자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AI 스피커 사용 동기요인 중 사회성 유지 및 현실 일탈 요인은 성별과 연령에 따라서, 그리고 정보 습득 및 학습, 유희와 휴식, 유용성 추구 요인은 연령과 혁신성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AI 스피커의 특성을 반영한 사용자 이용 동기를 도출함으로써 향후 AI 스피커를 활용한 전략적 콘텐츠 운용 및 서비스 제공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갖는다.

Keywords

표 1. 포커스 그룹 인터뷰 대상자

CCTHCV_2019_v19n3_138_t0001.png 이미지

표 2. AI 스피커 이용 동기

CCTHCV_2019_v19n3_138_t0002.png 이미지

표 3. 기술통계 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3_138_t0003.png 이미지

표 4. AI 스피커 사용 동기요인 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3_138_t0004.png 이미지

표 5. 이용자 특성에 따른 AI 스피커 이용 동기

CCTHCV_2019_v19n3_138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김병운, "인공지능 동향분석과 국가차원 정책제언," 정보화정책, 제23권, 제1호, pp.74-93, 2016. https://doi.org/10.22693/NIAIP.2016.23.1.074
  2. 노민정, 최민경, "개인의 혁신성이 인공지능 스피커의 수용에 미치는 영향," 경영연구, 제33권, 제1호, pp.195-230, 2018. https://doi.org/10.22903/JBR.2018.33.1.195
  3. http://thegear.net/14742
  4. https://bit.ly/2PuTkfN
  5. https://bit.ly/2RWKLrd.
  6. 나주연, 허정윤, 반영환, "성 인식 기반 AI 개인 비서 서비스의 대화형 기능에 대한 고객 효용 분류: KANO 모델을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연구, 제16권, 제4호, pp.67-80, 2017.
  7. 김혜경, 김수미, 하승희, "콘텐츠의 AI 활용사례 및 발전방안,"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772-773, 2017.
  8. 안정은, 전영국, "인공지능 스피커의 교육적 활용 방안 고찰,"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2권, 제1호, pp.93-95, 2018.
  9. A. Purington, J. G. Taft, S. Sannon, N. N. Bazarova, and S. H. Taylor, "Alexa is my new BFF: social roles, user satisfaction, and personification of the amazon echo," Paper presented at the Proceedings of the 2017 CHI Conference Extended Abstracts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pp.2853-2859, 2017.
  10. 변대호, "인공지능비서의 Kano 품질속성의 탐색적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18권, 제4호, pp.167-178, 2017
  11. 권예은, "스마트 스피커의 형태가 인공 지능 서비스의 목소리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학술대회, pp.56-57, 2017.
  12. 오성주, 황지현, 유지호, 한소원, "얼굴형 인공지능 스피커에 대한 선호의 나이 효과," 인지과학, 제29권, 제1호, pp.1-16, 2018. https://doi.org/10.19066/cogsci.2018.29.1.001
  13. 김동주, 이가람, 김호원, "AI 를 활용한 음성인식 기법 및 개인비서 서비스 기술 분석,"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213-214, 2017.
  14. G. Lopez, L. Quesada, and L. A. Guerrero, Advances in Human Factors and Systems Interaction, Springer, 2017.
  15. https://bit.ly/2SBruwB
  16. 조규은, 김승인, "인공지능 스피커 (AI speaker) 사례 분석을 통한 고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9권, 제8호, pp.127-133, 2018. https://doi.org/10.15207/JKCS.2018.9.4.127
  17. 양희태, 김단비, "지능형 개인비서 시장 동향과 국내 산업 영향 전망," 동향과 이슈, 제35호, pp.1-30, 2017.
  18. 김진성, "KB 지식 비타민: 스마트 스피커 출시 현황과 주요 업체들의 전략," KB 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제17권, 제61호, pp.1-8, 2018.
  19. E. Katz, J. G. Blumler, and M. Gurevitch, "Uses and gratifications research," The public opinion quarterly, Vol.37, No.4, pp.509-523, 1973. https://doi.org/10.1086/268109
  20. E. Katz, H. Haas, and M. Gurevitch, "On the use of the mass media for important thing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38, No.2, pp.164-181, 1973. https://doi.org/10.2307/2094393
  21. 봉두완, "대인커뮤니케이션의 기능적 대안으로서의 미디어 이용-이용과 충족관점에서의 라디오 청취자 연구," 인문사회과학논문집, 제27권, pp.153-169, 1998.
  22. 이상봉, "인터넷 라디오 방송의 이용동기와 충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논문집, 제8권, 제3호, pp.249-259, 2007.
  23. 탁진영, 옥동철, "수용자의 사회성에 따른 인터넷과 라디오 이용동기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6권, 제1호, pp.498-534, 2006.
  24. 황정민, 유세경, "지상파 라디오의 인터넷 방송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제11호, pp.123-163, 2009.
  25. H. Mendelsohn, Listening to radio, People, society and mass communication, pp.239-248, 1964.
  26. 정종원, "인터넷 이용과 충족유형에 관한 연구," 동서언론, 제7호, pp.191-220, 2003.
  27. 허경호, "대학생의 인터넷 의존도의 이용과 충족 시각적 특성,"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6권, 제4호, pp.195-233, 2009.
  28. J. Eighmey, "Profiling user responses to commercial web site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37, No.3, pp.59-67, 1997.
  29. D. A. Ferguson and E. M. Perse, "The World Wide Web as a functional alternative to television,"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44, No.2, pp.155-174, 2000. https://doi.org/10.1207/s15506878jobem4402_1
  30. 김유정,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대한 이용과 충족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제20호, pp.71-105, 2011
  31. 김위근, 최민재,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이용동기가 실제 이용과 메시지 특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정보학보, 제60호, pp.150-171, 2012.
  32. 심성욱, 김운한, "대학생들의 소셜미디어 이용동기가 소셜미디어 광고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3권, 제2호, pp.342-376, 2011.
  33. 배지우, 박정열, "소셜미디어 이용 동기가 이용자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호, pp.462-474,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1.462
  34. 이정권, 최영, "소셜미디어 이용 동기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9권, 제1호, pp.115-148, 2015.
  35. R. Dolan, J. Conduit, J. Fahy, and S. Goodman, "Social media engagement behaviour: a uses and gratifications perspective," Journal of Strategic Marketing, Vol.24, No.3-4, pp.261-277, 2016. https://doi.org/10.1080/0965254X.2015.1095222
  36. J. Raacke and J. Bonds-Raacke, "MySpace and Facebook: Applying the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to exploring friend-networking sites," Cyberpsychology & behavior, Vol.11, No.2, pp.169-174, 2008. https://doi.org/10.1089/cpb.2007.0056
  37. A. Whiting and D. Williams, "Why people use social media: a uses and gratifications approach," Qualitative Market Research: An International Journal, Vol.16, No.4, pp.362-369, 2013. https://doi.org/10.1108/QMR-06-2013-0041
  38. E. Rogers, Diffusion of Innovations, Free Press, 1983.
  39. E. C. Hirschman, "Innovativeness, novelty seeking, and consumer creativity,"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7, No.3, pp.283-295, 1980. https://doi.org/10.1086/208816
  40. D. F. Midgley and G. R. Dowling, "Innovativeness: The concept and its measuremen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4, No.4, pp.229-242, 1978. https://doi.org/10.1086/208701
  41. R. Agarwal and J. Prasad, "A conceptual and operational definition of personal innovativeness in the domai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9, No.2, pp.204-215, 1998. https://doi.org/10.1287/isre.9.2.204
  42. N. Jeong, Y. Yoo, and T. Y. Heo, "Moderating effect of personal innovativeness on mobile-RFID services: Based on Warshaw's purchase intention model,"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Vol.76, No.1, pp.154-164, 2009. https://doi.org/10.1016/j.techfore.2008.08.007
  43. 이병관, 조은현, "신제품 수용에 미치는 사용자의 혁신성과 조절초점의 효과연구," 광고학연구, 제20권, 제1호, pp.127-143, 2009.
  44. 강성배, 채미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지각된 가치와 채택의도에 관한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1권, 제4호, pp.187-208, 2011.
  45. 박민희, 권만우, "개인혁신성과 자기효능감이 모바일 배달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5호, pp.440-448,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5.440
  46. G. Roehrich, "Consumer innovativeness: Concepts and measurement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57, No.6, pp.671-677, 2004. https://doi.org/10.1016/S0148-2963(02)00311-9
  47. J. C. Hong, P. H. Lin, and P. C. Hsieh, "The effect of consumer innovativeness on perceived value and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smartwatch,"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67, pp.264-272, 2017. https://doi.org/10.1016/j.chb.2016.11.001
  48. Y. Venkatesh and M. G. Morris, "Why don't men ever stop to ask for directions? Gender, social influence, and their role in technology acceptance and usage behavior," MIS quarterly, Vol.24, No.1, pp.115-139, 2000. https://doi.org/10.2307/3250981
  49. 김선남, "모바일 수용자의 콘텐츠 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7권, 제4호, pp.5-45, 2007.
  50. S. Rodgers and M. A. Harris, "Gender and e-commerce: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43, No.3, pp.322-329, 2003. https://doi.org/10.2501/JAR-43-3-322-329
  51. 이동후, 손승혜, "휴대전화 이용의 성별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0권, 제1호, pp.249-284, 2006.
  52. 박민희, 김윤정, 이성태, 최민영, "휴대폰의 연령별 사용자 요구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7권, 제4호, pp.269-276, 2007.
  53. A. Morris, J. Goodman, and H. Brading, "Internet use and non-use: views of older users," Universal access in the information society, Vol.6, No.1, pp.43-57, 2007. https://doi.org/10.1007/s10209-006-0057-5
  54. R. Goldsmith and L. Reinecke Flynn, "Identifying innovators in consumer product markets,"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Vol.26, No.12, pp.42-55, 1992 https://doi.org/10.1108/03090569210022498
  55. https://bit.ly/2On9z9D
  56. https://bit.ly/2RtkNeE
  57. A. B. Albarran, T. Anderson, L. G. Bejar, A. L. Bussart, E. Daggett, S. Gibson, and J. L. Horst, ""What happened to our audience?" Radio and new technology uses and gratifications among young adult users," Journal of Radio Studies, Vol.14, No.2, pp.92-101, 2007. https://doi.org/10.1080/10955040701583171
  58. X. Luo,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and e-consumer behavior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tudy," Journal of Interactive advertising, Vol.2, No.2, pp.34-41, 2002. https://doi.org/10.1080/15252019.2002.10722060
  59. 김유정, "사이버 커뮤니티 참여와 이용에 대한 이용과 충족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9권, 제3호, pp.291-317, 2005.
  60. 이인희, "대학생 집단의 휴대폰 이용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5권, 제3호, pp.261-293, 2001.
  61. 나은영, "휴대폰 커뮤니케이션의 의사소통 양식적 특성과 한국문화," 한국언론학회 학술세미나논문집, pp.1-29, 2001.
  62. R. Agarwal, M. Ahuja, P. E. Carter, and M. Gans, "Early and late adopters of IT innovations: extensions to innovation diffusion theory," Paper presented at the Proceedings of the DIGIT Conference, 1998.
  63. 강현철, "구성타당도 평가에 있어서 요인분석의 활용,"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제43권, 제5호, pp.587-594, 2013. https://doi.org/10.4040/jkan.2013.43.5.587
  64. W. A. Arrindell and J. Van der Ende, "An empirical test of the utility of the observations-to-variables ratio in factor and components analysis,"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9, No.2, pp.165-178, 1985. https://doi.org/10.1177/014662168500900205
  65. J. P. Guilford, "The structure of intellect," Psychological bulletin, Vol.53, No.4, pp.267-293, 1956. https://doi.org/10.1037/h0040755
  66. M. W. Browne and R. Cudeck,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Sage, 1993.
  67. C. Fornell and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1, pp.39-50, 1981. https://doi.org/10.1177/002224378101800104
  68. 강미은, "인터넷과 기존 매체 이용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방송통신연구, 여름호, 제50호, pp.179-208, 2000.
  69. 박광순, 조명휘, "인터넷의 웹블로그 (Web-blog) 이용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5호, pp.270-294, 2004.
  70. 박인곤, 신동희,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이용과 충족, 의존도, 수용자 혁신성이 스마트폰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0권, 제4호, pp.192-225, 2010.
  71. C. Breazeal, "Emotion and sociable humanoid robot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Computer Studies, Vol.59, No.1-2, pp.119-155, 2003. https://doi.org/10.1016/S1071-5819(03)00018-1
  72. 박주연, "인터페이스 에이전트와의 상호작용이 사용자의 심리적 경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pp.1640-1647, 2007.
  73. A. M. Rubin, E. M. Perse, and R. A. Powell, "Loneliness, parasocial interaction, and local television news viewing,"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12, No.2, pp.155-180, 1985. https://doi.org/10.1111/j.1468-2958.1985.tb00071.x
  74. 이희준, 조창환, "브랜드 웹툰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구성 요인이 수용자 태도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준사회적 상호작용의 매개 효과," 광고학연구, 제29권, 제6호, pp.51-80, 2018.
  75. 차영란, "광고 및 미디어 산업 분야의 인공지능(AI) 활용 전략,"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9호, pp.102-115,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6.102
  76. 최재호, 김훈태, "스마트폰 음성 인터페이스의 사용 현황 및 사용자 인식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21권, 제4호, pp.29-40, 2016. https://doi.org/10.7838/jsebs.2016.21.4.029
  77. 신명섭, 이영주,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498-506,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5.498
  78. S. Brave and C. Nass, Emotion in human-computer interaction, The human-computer interaction handbook: fundamentals, evolving technologies and emerging applications, CRC Press, 2003.
  79. https://cmo.cm/2QzDGLT
  80. 차영란, "광고, PR 산업 분야의 VR 콘텐츠 활용 가능성에 대한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9호, pp.107-119,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9.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