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mpact of College Education in the Korean Economic Growth

경제성장에 있어서 대학교육의 영향

  • 김선재 (배재대학교 전자상거래학과)
  • Received : 2019.01.17
  • Accepted : 2019.02.07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nalyze the impact of college education in the Korean economic growth during the period 1971-2017. The study estimates the impacts of monthly average income per worker without college education with respects to the ratio of workers with college education to worker without college education, capital per worker without college education, and the number of patients per worker with college edu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 of the ratio of workers who had college education was 0.433 at 5% of significant level. In addition, it was estimated that the effect of the capital for each worker who didn't have college education was 0.45646 at 1% of significant level. These findings are similar to the results in the previous study of Kim and Lim. Finally, the number of patents per worker who had college education was estimated. Unfortunately, the coefficients on thes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for one period.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re is a positive spillover effect from the college education in the Korean economic growth.

본 연구는 한국에서의 대학교육이 경제 사회적 수익성 관점에서 얼마나 많은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가지고 있는지를 1971~2017년 기간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첫 번째로 대졸자 수와 비대졸자수 비율 즉 비대졸자수 1인당 대졸자 수가 비대졸자의 월평균임금에 미치는 형향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계수는 0.433으로 95%의 신뢰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대학교육의 비대졸 출신자들의 소득을 증대시켜 간접적으로 국민경제에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두 번째로 비대졸자 1인당 자본량이 월평균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계수는 0.45646으로 약 99%의 신뢰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고 있음에 따라 1%의 비대졸자 1인당 자본량 증가는 비대졸자 1인당 월평균임금은 약 0.45646%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지난 40여 년간 한국에서의 대학교육은 국민경제에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준 것으로 보여진다. 끝으로 또 다른 파급효과를 추정하기 위하여 대졸 1인당 특허등록수를 독립변수로 추가하였으나 한 기간 외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증명되지 못하였다.

Keywords

표 1. 기술통계량

CCTHCV_2019_v19n2_508_t0001.png 이미지

표 2. 추정결과

CCTHCV_2019_v19n2_508_t0002.png 이미지

References

  1. T. Schultz, Economic Value of Educa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1963.
  2. OECD Factbook, 2010. (Kim, C. and Lim(2012)에서 재인용).
  3. C. Kim and G. Lim, "Social return to college education: evidence from South Korean college education," Applied Economics Letters, Vol.19, pp.1537-1541, 2012. https://doi.org/10.1080/13504851.2012.654907
  4. 김선재, 이영화, 임광혁, "인적자본형성으로서의 교육투자와 경제성장과의 관계: OECD 비영어권 국가들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3호, pp.315-325,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3.315
  5. R. E. Lucas, "On the mechanics of economic development,"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Vol.22, pp.3-42, 1988. https://doi.org/10.1016/0304-3932(88)90168-7
  6. E. Canton, "Social returns to education; macro-evidence," De Economist, Vol.155, pp.449-68, 2007. https://doi.org/10.1007/s10645-007-9072-z
  7. S. J. Yamarik, "Estimating returns to schooling from state-level data: a macro-Mincerian approach," The B. E. Journal of Macroeconomics, Vol.8, Article 23, 2008.
  8. E. Moretti, "Estimating the social return to higher education: evidence from longitudinal and repeated cross-sectional data," Journal of Econometrics, Vol.121, pp.175-212, 2004. https://doi.org/10.1016/j.jeconom.2003.10.015
  9. 최기성, "대학 교육의 비용 및 편익 분석을 통한 투자수익률 추정," 이슈분석, 한국교용정보원, 2015.
  10. P. Romer, "Endogenous technological chang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98, No.5, pp.71-103, 1990. https://doi.org/10.1086/261725
  11. C. Jones, "R&D-Based Models of the Economics of Religion,"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Vol.36, pp.1465-1496, Sep. 1995.
  12. 김선재, "뉴 노멀 시대하 한국의 인적자본이 영구적 국민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6호, pp.55-62,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6.0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