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ath Anxiety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독거노인의 죽음불안과 삶의 질

  • 이은숙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 Received : 2019.01.14
  • Accepted : 2019.02.13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Purpose: This descriptive study was to examine death anxiety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89 elderly who were living alone in D metropolitan city. Data were analyzed with number, percentage, mean(SD), Pearson's correlation,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25.0. Results: The participants' death anxiety was 66.85 and quality of life was 58.21. Death anxie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F=153.240, p<.001), gender(t=-4.615, p<.001), education(F=263.559, p<.001), current occupation(F=46.324, p<.001), religion(F=693.729, p<.001), relationship with children(F=178.506, p<.001), reasons living alone(F=21.143, p<.001), perceived health status(F=113.300, p<.001), perceived socioeconomic status(F=45.829, p<.001), barriers to managing health problems(F=49.706,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articipants' death anxiety and quality of life(r=-.87, p<.00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be used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protocol and social support program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in the community.

목적: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죽음불안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는 D광역시 소재한 독거노인 28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Pearson's correlation,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독거노인의 죽음불안은 66.85점이었고, 삶의 질은 58.21점이었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차이 검정에서 나이(F=153.240, p<.001), 성별(t=-4.615, p<.001), 학력(F=263.559, p<.001), 현재 직업(F=46.324, p<.001), 종교(F=693.729, p<.001), 자녀와의 관계(F=178.506, p<.001), 독거 이유(F=21.143, p<.001), 주관적 건강상태(F=113.300, p<.001), 주관적 경제상태(F=45.829, p<.001), 질병치료 과정 중 힘든 점(F=49.706,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독거노인의 죽음불안은 유의하게 삶의 질 정도와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r=-.87, p<.001). 결론: 본 연구결과는 독거노인 간호를 위한 표준지침 개발 및 사회적지지 중재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CCTHCV_2019_v19n2_393_t0001.png 이미지

표 2. 독거노인의 죽음불안과 삶의 질에 대한 기술통계

CCTHCV_2019_v19n2_393_t0002.png 이미지

표 3.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CCTHCV_2019_v19n2_393_t0003.png 이미지

표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불안과 삶의 질 정도 차이검정

CCTHCV_2019_v19n2_393_t0004.png 이미지

표 5. 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

CCTHCV_2019_v19n2_393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http://kosis.kr/search/search.do
  2. 심민경, 노인의 죽음에 대한 불안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부산광역시 노인종합 복지관 이용 노인을 대상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3. 강수균, "고령화 사회에 있어서 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동서정신과학, 제3권, 제1호, pp.113-137, 2000.
  4. 박순미, 독거노인의 건강상태지각, 통증, 일상생활활동, 외로움과 삶의 질,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5. J. Smith, M. Borchelt, H. Maier, and D. Jopp, "Health and Well-being in the Young Old and Oldest Old," Journal of Social Issues, Vol.58, No.4, pp.715-732, 2002. https://doi.org/10.1111/1540-4560.00286
  6. E. Kubler-Ross, On Death and Dying, Abingdon, Oxon: Routledge, 2009.
  7. L. Collet and D. Lester, "The Fear of Death and the Fear of Dying," Journal of Psychology, Vol.72, No.2, pp.179-181, 1969. https://doi.org/10.1080/00223980.1969.10543496
  8.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WHOQOL Study Protocol, Geneva: WHO, 1993.
  9. 민성길, 김광일, 박일호,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 서울: 하나의학사, 2002.
  10. A. S. Michael, Dying Facing the Facts: Social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Dying, New York: Hemisphere Publishing Corporation, 1979.
  11. D. I. Templer, "Death Anxiety Related to Depression and Health of Retired Persons," Journal of Gerontology, Vol.26, No.4, pp.521-523, 1971. https://doi.org/10.1093/geronj/26.4.521
  12. 이영화, 죽음준비교육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13. 이선영, "재가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죽음에 대한 불안도 연구," 공주문화대학논문집, 제27권, pp.285-298, 2000.
  14. 김혜련, 노인이 지각한 죽음에 대한 불안도: 유료 및 무료시설과 재가 노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15. 최외선, "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죽음불안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7권, 제4호, pp.755-773, 2007.
  16. 서혜경, 윤민석, "성별과 배우자 유무가 죽음불안도 4가지 세부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제39권, pp.249-272, 2008.
  17. 김연숙, 김지미, "노인의 사회인구적 특성과 죽음불안: 죽음불안의 세부영역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29권, 제1호, pp.275-289, 2009.
  18. 한미정, 대처방식, 내외통제성, 자아존중감에 따른 죽음불안의 발달적 고찰,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19. 최영이, 노인의 죽음인식 및 죽음준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0. 서혜경, "한미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 연구," 한국노년학, 제7권, 제1호, pp.39-60, 1987.
  21. 윤남숙, 노인의 성격 유형과 죽음불안도에 대한 태도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22. 배소희, 성격적응 특징과 통제소재에 따른 남자노인의 죽음불안 정도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23. 이은경, 노인의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특성, 내외통제성 및 대처방식,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24. 조지연, 죽음에 대한 불안태도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9.
  25. 김태현, 손양숙,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 연구," 한국노년학, 제4권, 제1호, pp.3-19, 1984.
  26. 이인례,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 및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7. 박형규,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임종교육서비스, 사회적 지지, 자아통합감에 따른 태도 분석, 강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28. 문남숙, 남기민, "노인의 죽음준비도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 우울 및 죽음불안의 매채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28권, 제4호, pp.1227-1248, 2008.
  29. 조영문, 김창희, "농촌지역 노인의 성 인식, 성 태도, 성 대처행동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가정간호학회지, 제22권, 제1호, pp.109-116, 2015.
  30. 이현경, 조성혜, 김정희, 김윤경, 추향임, "농촌지역 중년과 노인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와 지역사회 공동체 의식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제44권, 제6호, pp.608-616, 2014. https://doi.org/10.4040/jkan.2014.44.6.608
  31. 권영은, 김선영, "독거노인의 죽음불안 영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3호, pp.262-269, 2016. https://doi.org/10.5762/KAIS.2016.17.3.262
  32. R. Dubos, "The State of Health and the Quality of Life," Western Journal of Medicine, Vol.125, No.1, pp.8-9, 1976.
  33. 손신영, "농촌 노인과 도시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요인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제26권, 제3호, pp.601-615, 2006.
  34. 이선미, 독거노인의 고독감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35. 안미향, 일 지역사회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36. 김연숙, 김지미, "노년기 죽음불안과 삶의 질," 한국생활환경학회지, 제16권, 제5호, pp.475-485, 2009.
  37. 박경은, 권미형, 권영은, "여성노인의 우울, 죽음불안, 삶의 질 과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7권, 제3호, pp.527-538, 2013. https://doi.org/10.5932/JKPHN.2013.27.3.527
  38. 김춘길, "재가노인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지도와 가족지지의 영향,"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제17권, 제3호, pp.151-160, 2014. https://doi.org/10.14475/kjhpc.2014.17.3.151
  39. 정선월, 양로시설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구한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40. 서양숙, 손유림, 성기월, "농촌 여성노인의 죽음태도와 관련된 변인," 노인간호학회지, 제13권, 제1호, pp.21-28, 2011.
  41. 이현지, 조계화, "노인의 죽음불안과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지, 제26권, 제4호, pp.717-731, 2006.
  42. 김호경, 입원노인의 영적안녕과 죽음불안의 관계, 고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43. 김홍철, 자아통합감이 노인의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과 죽음준비도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노인여가복지시설 이용자를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44. 김진숙, 송명섭, "노인의 인식된 짐스러움과 죽음불안간의 관계에서 영성의 매채효과 검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2호, pp.299-307,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12.299
  45. 권향숙, 서인선, 김현경, "입원 암환자의 죽음준비와 죽음불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334-343,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9.334
  46. 오세근, 조준, 김영희, 최정민, "노인의 우울감과 죽음불안 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2호, pp.243-254,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2.243
  47. 양혜정, 내외통제성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노인의 죽음불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48. P. M. Keith, "Life Changes and Perceptions of Life and Death among Older Men and Women," Journal of Gerontology, Vol.34, No.6, pp.870-878, 1979. https://doi.org/10.1093/geronj/34.6.870
  49. 정영모, 영구임대주택 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50. 이수진, 75세 이상 일반 및 독거노인이 지각하는 노래부르기의 혜택과 삶의 질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51. 홍선이, 도시지역 전후기 독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영향요인,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52. 진미환, 일 지역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행위, 우울 및 삶의 질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53. 주정미, 노인의 기분상태와 건강 관련 삶의 질,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54. 박은숙, 김순자, 김소인, 전영자, 이평숙, 김행자, 한금선,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 및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제28권, 제3호, pp.638-649, 1998. https://doi.org/10.4040/jkan.1998.28.3.638
  55. 고보선, 유용식, "제주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18권, 제1호, pp.49-72, 2002.
  56. 김미숙, 박민정, "종교가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노년학, 제20권, 제2호, pp.29-47, 2000.
  57. M. Kim, "The Study of Comparing the Factors of Affecting on the Quality of Life for Young-old Women and Old-old Wome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58, No.2, pp.197-222,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