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Visual Representation of Fear Appeals in Chinese Public Service Advertising -Focused on HuangHe Award-winning Public Service Posters-

중국 공익광고에 나타난 공포소구의 시각적 표현 -중국 황하상(黃河奬) 공익포스터를 중심으로-

  • 타오진 (상명대학교 디지털이미지학과) ;
  • 양종훈 (상명대학교 디지털이미지학과) ;
  • 이상은 (상명대학교 디지털이미지학과)
  • Received : 2019.01.21
  • Accepted : 2019.02.07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Public service advertising is a form of communication activity performed to increase public interest.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public service advertising, it is necessary to formulate advertising strategies that can actually induce positive action changes. China has various social problems because of dramatic social changes, which call for implementing public service advertising.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persuasive effects of Chinese public service advertising by addressing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In particular, we selected 33 works that use fear appeals from 2016 HuangHe Award-winning posters and analyzed their visual representation of fear appeals. The results suggest that fear appeals are frequently used in safe driving and anti-smoking campaigns. In addition, main colors of these posters were black and white. The main fearful images were often represented in a form of 'fact' and 'factual conception' and in the type of 'picture.' They also have features of implicit association' and 'exaggeration'.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erms of providing theoretical and empirical information to future research on improvement of public service advertising in China.

공익광고는 공중의 이익 증대를 목적으로 집행되는 설득커뮤니케이션 활동의 한 형태이다. 공익광고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공중의 긍정적인 태도나 적극적인 행동 변화를 실질적으로 유발할 수 있는 광고전략이 구체화 되어야 한다. 중국은 급격한 사회 변화로 인해 발생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공익광고를 적극적으로 집행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창작에 대한 정부의 통제가 효과 제고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공익광고에 나타나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으로써의 소구방식을 살펴보고 설득 효과를 높이는 방안을 고찰해보고자 했다. 2016년 황하상 수상작 공익광고 포스터 중 공포소구를 활용한 33편을 대상으로 공포소구의 시각적 표현방법을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표현 전략을 구체화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안전운전과 금연캠페인에서 공포소구가 가장 빈번하게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검정과 흰색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메인비주얼 표현방법은 '사실적' 형식, '사실적 구상' 형태, '사진' 유형, '암시연상' 및 '과장된 표현'이 주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중국 공익광고의 제고를 위한 이론적, 실증적 정보를 제공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표 1. 공포소구의 시각적 표현 요소

CCTHCV_2019_v19n2_379_t0001.png 이미지

표 2. 중국 공익광고의 주제

CCTHCV_2019_v19n2_379_t0002.png 이미지

표 3. 주제별 공포소구의 시각적 표현요소 분석

CCTHCV_2019_v19n2_379_t0003.png 이미지

표 4. 주제별 공포소구의 시각적 표현요소 분석결과

CCTHCV_2019_v19n2_379_t0004.png 이미지

References

  1. 송기인, 안주아, "사회적 마케팅의 공익성 광고 크리에이티브 분석-공익성 정부광고와 공익광고를 중심으로," 광고연구, 제70호, pp.147-174, 2006.
  2. 판쩌훙(潘泽宏), 공익광고론, 북경: 방송출판사, 2001.
  3. X. Nan, "Relative persuasiveness of gain- versus loss-framed human papillomavirus vaccination messages for the present-and future-Minded," Health Communication Research, Vol.38, pp.72-94, 2012.
  4. D. J. O'Keefe and J. D. Jensen, "The relative persuasiveness of gain-framed loss-framed messages for encouraging disease prevention behaviors: A meta-analytic review,"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Vol.12, pp.623-644, 2007. https://doi.org/10.1080/10810730701615198
  5. A. J. Rothman, R. D. Bartels, J. Wlaschin, and S. Palovey, "The strategic use of gained loss-framed messages to promote healthy behavior: How theory can inform practice," Journal of Communication, Vol.56, pp.202-220, 2006. https://doi.org/10.1111/j.1460-2466.2006.00290.x
  6. J. P. Dillard and E. Peck, "Affect and persuasion: Emotional responses to public service announcements," Communication Research, Vol.27, pp.461-495, 2000. https://doi.org/10.1177/009365000027004003
  7. J. A. Flora and E. W. Maibach, "Cognitive responses to AIDS information: The effects of issue involvement and message appeal," Communication Research, Vol.17, pp.759-774, 1990. https://doi.org/10.1177/009365029001700603
  8. J. L. Studts, J. L. Ruberg, S. A. McGuffin, and L. M. Roetzer, "Decisions to register for the national marrow donor program: Rational vs emotional appeals," Bone Marrow Transplantation, Vol.45, No.3, pp.422-428, 2010. https://doi.org/10.1038/bmt.2009.174
  9. 김운한, 김민정, 이현우, "국내외 공익광고의 표현특성 분석- 특이성과 허구성을 중심으로," 영상문화콘텐츠연구, 제12권, pp.59-81, 2017.
  10. 유종혜, 황성욱, "한국, 중국, 홍콩 TV공익광고의 크리에이티브 전략 비교- 홀과 홉스테드의 문화차원들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2권, 제2호, pp.1-33, 2016.
  11. 박진우, "공익광고에서 은유 이미지의 광고 효과와 인지된 창의성에 관한 연구- 사막화 환경 공이 광고를 중심으로," 제18권, 제3호, pp.58-80, 2016.
  12. 김영성, 공익광고에 있어서 위협소구의 효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13. 마래순(马来顺), 공익광고의 사회적 기능, 중국광고, 2003.
  14. 원커징, 최원호, "설득커뮤니케이션에 기반을 둔 TV 공익광고 개선방안- 중국의 TV 공익광고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6호, pp.628-642,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6.628
  15. 이원(李媛), 공익광고 중 감정적인 소구에 관한 연구, 내몽골 사범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6. 왕중부(王眾孚), 경험을 총결산하여 다시 격려하다 - 공익 광고 사업의 새로운 국면을 열다, 중국광고, 1999.
  17. 신인식, "중국 공익광고의 시각적 요소와 언어적 요소의 상관관계,"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5권, 제3호, pp.638-646, 2015.
  18. 호염매, 김은정, "한,중 CSR 공익광고의 표현 특성 비교," 일러스트레이션포럼, 제53권, pp.117-126, 2017.
  19. 천강(陳刚), 당대 중국 광고사(1979-1991), 베이징대 출판사, 2010.
  20. 안양(安阳), 우리나라 공익광고의 사회교육 기능 현황 및 대책, 천진공대, 석사학위논문, 2017.
  21. 김나미, 유승엽, "광고 주제와 소구 유형 및 모델 이미지에 따른 공익광고 효과," 광고학연구, 제26권, 제2호, pp.317-341, 2015.
  22. 이수범, 강은희, "화장품 광고의 소구유형과 소비가치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2권, 제1호, pp.286-318, 2010.
  23. 조용석, 이명천, 황장선, "공익연계 광고의 메시지 소구 유형과 기부수준의 명확성 정도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보, 제7권, 제4호, pp.347-372, 2005.
  24. 이승조, "돕기 메시지의 전달에서 이성적 소구의 활용을 위한 제언- 호혜적/공감적 소구의 대비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이론, 제13권, 제1호, pp.5-43, 2017.
  25. 장천, 전종우, 천용석, "한국, 중국, 미국의 공익광고에서의 크리에이티브 차이," 제99호, pp.38-66, 2013.
  26. T. H. Feeley, H. M. Marshall, and A. M. Reinhart, "Reactions to narrative and statistical written messages promoting organ donation," Communication Reports, Vol.19, No.2, pp.89-100, 2006. https://doi.org/10.1080/08934210600918758
  27. 박유식, 경종수, "광고유형과 오디언스 특성이 공익 광고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제13권, 제5호, pp.177-200, 2002.
  28. 이승조, "호혜적/공감적 소구 유형과 장애인 태도의 상호작용에 따른 돕기 메시지 수용 효과의 차이,"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제15권, 제1호, pp.139-169, 2016.
  29. K. Witte, "Putting the fear back into fear appeals: The 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 Communication Monographs, Vol.59, No.4, pp.329-349, 1992. https://doi.org/10.1080/03637759209376276
  30. K. Witte, "Fear control and danger control: A test of the 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 (EPPM)," Communication Monographs, Vol.61, No.2, pp.113-134, 1994. https://doi.org/10.1080/03637759409376328
  31. 허젠핑(贺建平), "공익광고에서 공포소구에 관련 연구," 귀주사범대학교 학보, 사회과학판, 2004.
  32. 뤄쯔밍(罗子明), 소비자심리학, 북경: 칭화대학교 출판사, 2008.
  33. 이병관, 손영곤, 서동명, 좌보경, 홍현호, 이진우, "지난 40년간 공포 소구 연구의 통합,"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5권, 제3호, pp.126-155, 2013.
  34. 김영욱, 박단아, 김수현, "공포소구 및 흡연에 대한 감정이 금연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 제20권, 제1호, pp.250-290, 2018.
  35. 김유진, "공익광고의 색채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포럼, 제24권, pp.305-316, 2009.
  36. 유인하, "공익광고의 연도별 주제와 시각적 표현유형 분석- 한국방송공사의 인쇄광고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17권, 제3호, pp.456-467, 2011.
  37. 경노훈, 창조적인 디자이너가 되라, 서울: 아세아미디어, 2002.
  38. 이국진(李国珍), 미국 광고 포스터 디자인 요소에 관련 연구, 중국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39. 조태호, 애니메이션에서의 공포소구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40. 백종웅, 한국과 미국 영화포스터의 시각적 구성요소와 집합적 개념으로서 비주얼 톤에 관한 내용분석 비교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41. 조재천, 박물관포스터 디자인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42. 나재민, "공익포스터의 메인 이미지 (main visual) 유형에 따른 공포소구 표현 연구-WHO 금연 포스터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 제17권, 제1호, 2016.
  43. 김영희, 공익포스터의 시대별 특징과 표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44. 조각현, "공모전 수상광고의 크리에이티브 분석-'대한민국디자인전람회' 광고포스터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제62권, pp.32-42, 2018.
  45. 손인철(孙仁喆), 광고 공포소구의 디자인 및 크리에이티브 표현 방법에 대한 연구, 난징 임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46. K. Witte and M. Allen, "A meta-analysis of fear appeals: Implications for effects public health," Health Eduction & Behavior, Vol.27, No.5, pp.491-615, 2000.
  47. 하화, 장경, 유광(夏华, 张庆, 刘亮), "공포 감정소구의 광고에서의 효과 연구," 호남공정학원 예술디자인학원 예술과 디자인, 제5권, pp.76-78, 2008.
  48. 주상현, 쇼병염(周象贤, 肖兵艳), "공포소구광고의 전파효과 및 응용 시사점에 관한 연구," 신문계, 제6권, pp.157-158,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