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mpirical Leisure Environment Satisfaction Evaluation of Public Institution Employees in Innocity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종사자의 여가활동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를 중심으로-

  • 백민 (동신대학교 도시계획학과) ;
  • 안형순 (동신대학교 도시계획학과)
  • Received : 2019.01.09
  • Accepted : 2019.02.12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With respect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innocity from improvements in leisure environments, this research examine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innocity leisure environments to propose political implications. In order to do so, 43 leisure activities were chosen, and the level of importance of those activities to the residents prior to moving to the innocity was compared to the level of satisfaction the residents felt regarding the activities after moving. As a result, 13 activities, including literature attendance, had greater levels of satisfaction after moving than the levels of importance prior to moving. The rest (30) activities showed the opposite results. We deduc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level of satisfaction by perform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3 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the static and passive leisure activities had higher satisfactory levels, whereas the dynamic and active had lower satisfactory levels. Thus, innocity must develop culture facilities quickly, expand exercise facilities to support sports activties, and promote tourism by improving and networking with tourist attractions in order to improve future satisfactory levels of leisure activities.

본 연구는 혁신도시 여가환경 개선이 혁신도시의 발전과 성장에 기여한다는 측면에서, 혁신도시 여가활동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43개 여가활동을 선정하고 이를 대상으로 혁신도시로의 이주 전 중요도와 이주 후 만족도를 비교분석하였다. 이주 전 중요도에 비해 이주 후 만족도가 더 높은 여가활동은 문학행사 참여 등 13개 여가활동으로 조사되었다. 나머지 30개 여가활동은 중요도에 비해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IPA분석결과, 문화예술관람활동과 사회 및 기타여가활동이 중요도는 높으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반적인 만족도(3개 문항)를 종속변수로 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여가활동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였다. 전반적으로 정적인 여가활동들은 만족도에 유의한 반면, 동적인 여가활동들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혁신도시 여가활동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동적여가활동이 가능한 문화시설용지의 조속한 개발, 스포츠참여활동이 가능하기 위한 운동시설 확충, 주변 관광지와의 네트워크 강화를 통한 관광활동 활성화 등의 정책적 제안을 하였다.

Keywords

CCTHCV_2019_v19n2_368_f0001.png 이미지

그림 1. IPA분석 개념도

CCTHCV_2019_v19n2_368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여가활동 중요도-만족도(IPA) 분석결과

표 1. 설문문항 구성(종속변수)

CCTHCV_2019_v19n2_368_t0001.png 이미지

표 2. 설문문항 구성(독립변수)

CCTHCV_2019_v19n2_368_t0002.png 이미지

표 3. 중요도-만족도 차이 분석

CCTHCV_2019_v19n2_368_t0003.png 이미지

표 4. 설문문항에 대한 신뢰도 분석(Cronbach's α)

CCTHCV_2019_v19n2_368_t0004.png 이미지

표 5. 여가활동 만족도 기초통계 분석

CCTHCV_2019_v19n2_368_t0005.png 이미지

표 6. 유의도 검증과 설명변량

CCTHCV_2019_v19n2_368_t0006.png 이미지

표 7. 개별 회귀계수의 유의도 검증

CCTHCV_2019_v19n2_368_t0007.png 이미지

표 8. 유의도 검증과 설명변량

CCTHCV_2019_v19n2_368_t0008.png 이미지

표 9. 개별 회귀계수의 유의도 검증

CCTHCV_2019_v19n2_368_t0009.png 이미지

[표 10].표 10. 유의도 검증과 설명변량

CCTHCV_2019_v19n2_368_t0010.png 이미지

표 11. 개별 회귀계수의 유의도 검증

CCTHCV_2019_v19n2_368_t0011.png 이미지

표 12. 종속변수와 독립변수간 유의변수 종합

CCTHCV_2019_v19n2_368_t0012.png 이미지

References

  1. 대통령 직속 지역발전위원회, 공공기관 이전의 지역발전효과 분석 및 극대화 방안, 2015.
  2.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여가활성화 기본계획, 2018.
  3. 김상황, 윤대식, 김갑수, "도시 여가활동의 참여행태 및 요인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22권, 제3호, pp.41-48, 2004.
  4. D. B. Newman, L. Tay, and Ed Diener, "Leisure and subjective Well-Being," J. of Happiness Studies, Vol.15, No.3, pp.555-578, 2014. https://doi.org/10.1007/s10902-013-9435-x
  5. 민경선, "한국인의 여가생활패턴과 삶의 만족도," 여가학연구, 제14권, 제3호, pp.57-84, 2016.
  6. 노용구, "지역사회 여가정책 방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 학술세미나, pp.56-66, 2003.
  7. 유지곤, "스포츠시설 조성현황 및 미래형 스포츠 시설의 확충방향," 스포츠과학, 제86권, pp.17-23, 2003.
  8. 조민행, 전용배, "지역주민의 체육공원 이용성 및 접근성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제44권, 제5호, pp.631-641, 2005.
  9. 한국조경학회, 조경 계획론, 문운당, 1986.
  10. 문화체육관광부, 2018 국민여가활동조사, 2019.
  11. 유찬명, 문용, "여가활동 참가와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제5권, pp.113-124, 1996.
  12. 이관희, 윤주철, "도시민의 여가 활동 만족도 분석-대구시민을 중심으로,"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제13권, 제4호, pp.43-50, 2009.
  13. 조광익, 도경록, "도시민의 여가소비와 주말 여가 활동의 관계," 관광연구저널, 제26권, 제4호, pp.45-72, 2012.
  14. 윤채빈, 박수정, "직장인의 여가소비유형별 여가제약 연구," 여가학연구, 제16권, 제2호, pp.67-97, 2018.
  15. 윤정미, 최막중,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옥외 여가활동에 미치는 영향-전체 주민과 노인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제42권, 제4호, pp.21-29, 2014. https://doi.org/10.9715/KILA.2014.42.4.021
  16. 장평린, 최막중, "미세먼지가 옥외 여가활동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제53권, 제3호, pp.133-143, 2018.
  17. J. A. Martilla and J. C. James, "Importance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Vol.41, No.1, pp.77-79, 1977. https://doi.org/10.1177/002224297704100112
  18. 임성근, 소순창, 이창섭, "IPA분석을 활용한 정부 3.0 서비스 정부에 대한 공급자와 수요자간 인식 차이 분석,"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제55권, 제2호, pp.137-167, 2017.
  19. M. Jon Hawes and C. P. Rao, "Using Importance-Perfpomance Analysis to Develop Health Care Marketing Strategies," J. of Health Care Marketing, Vol.5, No.4, pp.19-25, 1985.
  20. 백민, 안형순, "이전 공공기관 종사자의 혁신도시 정주환경 만족도 평가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2호, pp.444-455,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4.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