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국내 스마트시티 서비스 적용 경향 분석

Current Trend of Smart City Service Application in Korea

  • 김민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스마트시티연구센터) ;
  • 정승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스마트시티연구센터)
  • 투고 : 2018.07.12
  • 심사 : 2019.01.20
  • 발행 : 2019.02.28

초록

최근 스마트도시 조성을 도시의 지속가능한 경제성장 동력으로 접근하는 시각이 늘어나고 있다. 스마트시티를 통한 산업활성화를 위해서는 기술과 서비스 개발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지원 확대가 예상된다. 도시 성장 동력으로써의 스마트도시서비스 활성화와 스마트도시 산업의 지원을 위한 스마트시티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스마트시티 서비스 개발과 적용 현황 분석을 통해 서비스 개발 현황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시티 서비스 추진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시티 산업 활성화와 스마트도시 산업 지원을 위한 정책적 의사결정과정에서의 근거자료를 구축하고자 한다.

Recently, it is emphasized that the approach towards the development of smart cities as a driving force of sustainable economic growth of the city. Governments and municipalities are expected to expand the support for the smart city industry promotion, as the needs for smart city technology and service development, and investment for smart city industry increases. In order to promote the smart city policy as the driving force for the growth,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tendency of service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Governments and municipalities need a credible reference for their decision making on which smart city policy should be prioritized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by deploying certain smart city services according to the local industrial conditions. This study will analyze the trends of smart city services and suggest a reference data for decision making for the promotion of smart city industry.

키워드

CCTHCV_2019_v19n2_194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스마트시티 서비스 유형별 비중

CCTHCV_2019_v19n2_194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스마트시티 서비스 유형별 적용 빈도수 및 비중 변화(20008~2017)

CCTHCV_2019_v19n2_194_f0003.png 이미지

그림 3. 방범방재 분야 서비스 적용 변화

CCTHCV_2019_v19n2_194_f0004.png 이미지

그림 4. 교통 분야 서비스 적용 변화

CCTHCV_2019_v19n2_194_f0005.png 이미지

그림 5. 보건의료복지 분야 서비스 적용 변화

CCTHCV_2019_v19n2_194_f0006.png 이미지

그림 6. 환경 분야 서비스 적용 변화

CCTHCV_2019_v19n2_194_f0007.png 이미지

그림 7. 기타 분야 서비스 적용 변화

CCTHCV_2019_v19n2_194_f0008.png 이미지

그림 8. 시설물관리분야 서비스 적용 변화

CCTHCV_2019_v19n2_194_f0009.png 이미지

그림 9. 행정 분야 서비스 적용 변화

CCTHCV_2019_v19n2_194_f0010.png 이미지

그림 10. 물류 분야 서비스 적용 변화

CCTHCV_2019_v19n2_194_f0011.png 이미지

그림 11. 근로고용 분야 서비스 적용 변화

CCTHCV_2019_v19n2_194_f0012.png 이미지

그림 12. 교육 분야 서비스 적용 변화

표 1. 분석자료 요약

CCTHCV_2019_v19n2_194_t0001.png 이미지

표 2. 스마트시티 서비스 유형별 적용 빈도

CCTHCV_2019_v19n2_194_t0002.png 이미지

표 3. 연도별 서비스 적용건수 변화율

CCTHCV_2019_v19n2_194_t0003.png 이미지

표 4. 스마트시티 서비스 적용 단절 경향의 통계적 검정

CCTHCV_2019_v19n2_194_t0004.png 이미지

참고문헌

  1. 4차산업혁명위원회, 관계부처합동, 도시혁신 및 미래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스마트시티 추진전략, 2018.
  2. 정경석, 문태헌, 허선영, "U-City 서비스 표준체계 정립과 서비스 분류기준의 설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44권, 제3권, pp.231-246, 2009.
  3. 정경석, 문태헌, 허선영, "U-City 서비스 로드 맵작성을 위한 U-서비스 평가 및 SRM 템플릿 개발," 국토계획, 제45권, 제2권, pp.289-303, 2010.
  4. 이근호, U-City 추진전략, 한국정보산업연합회, 제233호, 2005.
  5. 정부만, 김은형, u-City 인프라 기술 서비스 모델의 표준화 방안,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6.
  6. J. Lee and H. Lee, "Developing and Validating a citizen-centric typology for smart city services,"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Vol.31, Supplement.1, pp.S93-S105, 2014. https://doi.org/10.1016/j.giq.2014.01.010
  7. 김소연, 안세윤, "사용자 라이프스타일 분석을 통한 스마트시티 서비스 니즈 조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37권, 제1호, pp.363-366, 2017.
  8. 국토해양부, 제1차 유비쿼터스도시종합계획, 2009.
  9. 국토해양부, 제2차 유비쿼터스도시종합계획, 2013.
  10. http://www.molit.go.kr/USR/policyData/m_34681/dtl?id=98, 2018.6.10.
  11. http://opengov.seoul.go.kr/sanction/6586072, 2018.5.28.
  12. 한국유비쿼터스도시협회, U-City 추진현황집(2009-2010), 2010.
  13. http://www.u-city.or.kr/kr/mp10_community/research_read.php?id=347&no=0&field=&search_word=&check_num=4, 2018.5.28.
  14. 김인자, 박형준, "단절균형모형을 통한 생명공학정책 국가 R&D 예산지출 변동 요인 연구-줄기세포연구개발 예산 단절과 변동 양태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제25권, 제2호, pp.217-244,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