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aritime Police Authority of Korea Coast Guard on the High Seas of International Law

국제법상 공해에서의 우리나라 해양경찰권에 관한 연구

  • 손영태 (선박안전기술공단 안전기술연구실)
  • Received : 2018.11.23
  • Accepted : 2018.12.18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The areas be affected maritime police authority of the Republic of Korea, are largely classified as inland waters, territorial waters, exclusive economic zone and continental shelf(hereinafter referred to as "domestic sea area") and high seas. Of these, the maritime police authority in domestic sea area follows a municipal law that accommodates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UNCLOS). In addition, this Convention shall apply on the high seas. Meanwhile, on the high seas, foreign vessels other than domestic vessels are allowed to be subject to limited jurisdiction only for the anti-mankind criminal acts, such as piracy etc. this is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Freedom of the high seas" and "maritime flag state," under this Convention. However, the illegal acts of foreign vessels that threaten the security of coastal states and the safety of ships on the high seas can cause many types of crimes other than anti-mankind criminal acts, and the jurisdiction of the coastal states exercised may lead to conflicts between countries. Therefore, this article would like to suggest a plan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to maintain international maritime order on the high seas and secure maritime police authority in coastal states.

우리나라의 해양경찰권이 미치는 해역은 크게 내수, 영해, 접속수역, 배타적 경제수역, 대륙붕(이하 "국내해역"이라 한다) 및 공해로 구분하고 있으며, 이 중 국내해역에서의 해양경찰권은 국제법인 "해양법에 관한 국제연합 협약"을 수용한 국내법을 따른다. 그 밖에 공해에서는 이 협약을 따르도록 하고 있다. 한편, 국내해역을 벗어난 공해에서는 자국 선박이외 외국선박에 있어서는 해적행위 등 이 협약에서 금지하고 있는 반인류적 범죄행위에 한해 제한적으로 관할권을 허용하고 있다. 하지만 공해상에서 연안국의 해양안보와 선박의 안전을 위협하는 외국선박의 불법행위는 반인류적 범죄 이외 여러 유형의 범죄(case)가 발생할 수 있고 명확한 명문규정 없이 이에 행사된 연안국의 관할권은 국가 간 분쟁을 가져올 수 있는 개연성이 높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공해상에서 국제 해양질서를 유지하고, 연안국의 해양경찰권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표 1. 해양경찰의 임검권 행사와 관련한 주요내용

CCTHCV_2019_v19n2_121_t0001.png 이미지

표 2. 해양경찰의 추적권 행사와 관련한 주요내용

CCTHCV_2019_v19n2_121_t0002.png 이미지

표 3. 범죄유형별 해양경찰권의 형태 및 적용대상 선박

CCTHCV_2019_v19n2_121_t0003.png 이미지

표 4. 연안국의 해양경찰권 적용범위에 대한 개정안

CCTHCV_2019_v19n2_121_t0004.png 이미지

표 5. 임검권 적용대상 범죄유형에 대한 개정안

CCTHCV_2019_v19n2_121_t0005.png 이미지

표 6. 추적권 행사방법 및 적용범위에 대한 개정안

CCTHCV_2019_v19n2_121_t0006.png 이미지

표 7. 공해상 해양경찰권 행사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CCTHCV_2019_v19n2_121_t0007.png 이미지

References

  1. 김현, "해양경비법의 운영실태와 개선방향," 한국해양경찰학회보, 제7권, 제3호, pp.11-12, 2017.
  2. 김대순, 국제법론, 삼영사, 2006.
  3. 김종구, "공해상의 범죄혐의 선박에 대한 연안국의 관할권," 해양환경안전학회 추계학술발표회, pp.289-290, 2010.
  4. 임채현, 국제법상 연안국 해양안보관할권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5. 최종화, 현대국제해양법, 두남, 2005.
  6. 이병조, 이중범, 국제법신강, 일조각, 2007.
  7. 손영태, 해양경찰법체계, 지식인, 2013.
  8. 김종구, "유엔해양법협약상 추적권 행사의 요건에 관한 고찰," 해양환경안전학회 춘계학술발표회, p.199, 2008.
  9. Myres S. McDougal and William T. Burke, "The Public Order of the Oceans : A Contemporary International Law of the Sea," p.918, 1962.
  10. Burdick H. Brittin, International Law for Seagoing Officers, 5th ed., US Naval Institute, p.105, 1986.
  11. Malcolm D. Evans, "The Law of the Sea" in Malcolm D. Evans ed., International Law(2nd ed., p.638, 2006.
  12. 김찬규, "추적권 행사 때 일어나는 제문제,"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서울법학, 제17권, pp.162-167, 2009.
  13.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해적행위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정에 관한 연구(보고서), 2012.
  14. 신경엽, 테러리즘에 대한 국제법적 규제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15. 송병호, 최관, "국제성 해양범죄에 대한 해양경찰의 대응실태 고찰," 경찰학연구 제6권, 제3호, p.38, 2006.
  16. 한연규, "추적권의 요건과 한계에 대한 소고," 해양범죄학회(부산지방검찰청) 2012년 하반기 4회, pp.13-14,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