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rpus-based Analysis on Primary English Education Research for the Past 20 Years

초등영어교육 연구 논문의 변천: 코퍼스 기반 분석

  • 최원경 (버밍엄대학교 영어 및 응용언어학과)
  • Received : 2018.12.21
  • Accepted : 2019.01.17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It has been about 20 years since the English subject was formally taught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Korea. The present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studies regarding 'primary English' implemented in Korea during the time period. I have investigated 6,467 theses or research papers in total that were published in Korea with the help of the corpus programs Utagger and WordSmith Tools. The results show that for the last 20 years the number of overall studies appears to have increased since the year 1997, although the recent trend seems to be in recession. The research scope ranges from 'teaching-learning interaction' to 'curriculum' and 'assessment', which have been steadily investigated for 20 years. Furthermore, researchers sometimes appear to have followed the English education policy by conducting particular investigations like 'immersion program' or 'native English speaking teachers' in a certain time period. Recently, researchers started to have interest in the cutting-edge ICT. In conclusion, the academic field of 'primary English' in Korea has grown in quantity, and the spectrum of research areas has been expanded for the past 20 year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help set a new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우리나라의 공립 초등학교의 정규교육과정에서 '영어' 과목을 가르치기 시작한 것은 1997년으로 이제 20년 정도의 시간이 지났다. 본 연구는 과거 20년 동안에 초등 영어 관련 연구들을 되짚어봄으로써, 향후 초등영어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탐색하려 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 발표된 석 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게재 논문을 검색하여(총 6,467편), 이들 연구의 '제목'을 코퍼스 분석 프로그램인 Utagger와 WordSmith Tools를 통해 빈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난 20년 동안 '초등 영어' 논문편수는 꾸준히 성장하는 추세를 보였지만, 최근에는 다소 침체된 것으로 보인다. 연구 주제로는 교수 학습 관련 영역을 포함하여 교육과정, 평가, 의사소통 기능 등과 같이 20년간 꾸준히 수행된 분야가 있는가 하면, 당시 교육정책의 기조에 따라 몰입, 원어민 등과 같이 특정 기간에 집중적으로 연구된 분야도 있었다. 최근에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스마트 교육, ICT 관련 연구가 많이 진행되는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지난 20년 동안 초등 영어 교육 분야는 양적 측면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했고 연구의 스펙트럼도 다양해졌다는 성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초등 영어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Keywords

CCTHCV_2019_v19n2_11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도별 발행 논문 편수

CCTHCV_2019_v19n2_11_f0002.png 이미지

그림 2. 기수별 의사소통 4기능 빈도수 추이

표 1. 초등영어 관련 논문 검색 결과

CCTHCV_2019_v19n2_11_t0001.png 이미지

표 2. 초등영어 관련 논문 검색 결과

CCTHCV_2019_v19n2_11_t0002.png 이미지

표 3. 빈도 구간별 핵심어

CCTHCV_2019_v19n2_11_t0003.png 이미지

표 4. 범주에 따른 단계별 핵심어

CCTHCV_2019_v19n2_11_t0004.png 이미지

표 5. 기간별 논문 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2_11_t0005.png 이미지

표 6. 기간별 핵심어 추출

CCTHCV_2019_v19n2_11_t0006.png 이미지

표 7. 기별 핵심어의 빈도수 변화 추이

CCTHCV_2019_v19n2_11_t0007.png 이미지

References

  1. 김경자, 초등영어교육 연구의 흐름: 전국 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 김정렬, "초등영어교육 연구방법의 흐름," 초등영어교육, 제7권, 제2호, pp.37-62, 2001.
  3. 김진완, "한국의 영어교육 연구방법론의 변천과 전망," 영어교육, 제55권, 제4호, pp.345-366, 2000.
  4. 김충배, "한국의 영어교육 연구 방법의 발달," 영어교육, 제50권, 제2호, pp.47-67, 1995.
  5. 박기화, "초등 영어 교육 현장 연구 활성화를 위한 제언: 경기도를 중심으로," 초등영어교육, 제10권, 제2호, pp.97-125, 2004.
  6. C. Chaudron, Second language classro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7. L. Van Lier, The classroom and the language learner, Longman, 1988.
  8. R Grotjahn, "On the methodological basis of introspective methods," In C. Faerch and G. Kasper (eds.), Introsepction in second language research, Clevedon: Multilingual Matters, pp.54-81, 1987.
  9. M. Scott, WordSmith Tools, Lexical Analysis Software, 2012.
  10. 신준철, 옥철영, "한국어 품사 및 동형이의어 태깅을 위한 단계별 전이모델," 정보과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응용, 제39권, 제11호, pp.889-901, 2012.
  11. 김수정, "영어교육열풍에 대한 텔레비전 담론: 시사다큐멘터리의 서사분석," 한국방송학보, 제22권, 제5호, pp.7-52, 2008.
  12. S. Hunston, Corpora in applied linguis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13. 권은영, 김혜련, "초등학교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문화내용 분석," 한국초등교육, 제27권, 제2회, pp.207-229, 2016.
  14. 김영숙, "초등 영어 기본 어휘에 관한 제안," 초등영어교육, 제3권, pp.5-17, 1997.
  15. 이영희, 초등영어 교육과정의 기본 어휘 목록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16. 장경숙, "영어과 개정 교육과정의 기본 어휘 목록," 영어교육, 제62권, 제2호, pp.331-353, 2007. https://doi.org/10.15858/ENGTEA.62.2.200706.331
  17. 주형미, "국가 영어과 교육과정 기본 어휘 목록 개선 연구," 영어학연구, 제17권, 제1호, pp.57-81, 2011. https://doi.org/10.17960/ELL.2011.17.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