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motion of Adverse Drug Reactions Report through Expansion of 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 사용평가(DUR) 확대를 통한 의약품 부작용 보고 활성화 방안

  • 정수철 (부산광역시약사회/정약국)
  • Received : 2018.10.30
  • Accepted : 2018.12.05
  • Published : 2019.01.28

Abstract

The side effects of using drugs can greatly threaten the health of the public. The reality is that there are very few reports of current side effects. This can be activated by linking adverse drug reactions reporting to the Drug Utilization Review (DUR) currently used by pharmacies. A study of the U.S.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where drug use assessment is activated, can find ways to activate adverse drug reactions reporting. In 'Pharm IT 3000', which is used as a medication management program in pharmacies, we examined how to enable reporting of adverse drug reactions. The literature study and research on actual program operation have found a convenient way to report side effects by linking the Pharm IT 3000 prescription preparation assessment to the item.

의약품을 사용할 때 나타나는 부작용은 국민의 건강을 크게 위협할 수 있다. 현재 의약품 부작용에 대한 보고가 매우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현재 약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의약품 사용평가(DUR:Drug Utilization Review)에 의약품 부작용 보고를 연계하게 된다면 활성화될 수 있다. 의약품 사용평가가 활성화되어 있는 미국 의약품 관리 체계 연구를 통해 의약품 부작용 보고 활성화 방안을 찾을 수 있다. 약국에서 의약품 관리 프로그램으로 사용되는 'Pharm IT 3000'에서 의약품 부작용 보고의 활성화 방안을 연구해 보았다. 문헌연구와 실제 프로그램 운영 방식 연구를 통해 Pharm IT 3000 처방 조제 현황 항목에 의약품 사용평가를 연동시켜 부작용 보고가 편리하게 되는 방안을 찾게 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윤창겸, "DUR의 추진경과와 향후 전망," 의료정책포럼, 제8권, 제4호, pp.44-50, 2010.
  2. 최남경, 박병주, "한국형 DUR의 효과적 추진전략," 대한의사협회지, 제53권, 제12호, pp.1130-1138, 2010. https://doi.org/10.5124/jkma.2010.53.12.1130
  3. 오옥희, 정부운영 DUR의 전산경고에 대한 사유기재 및 확인방법의 개선방안 연구,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4. 조경미, 의약품 사용평가의 현황과 개선방향 검토,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5. 문은희, 국내 의약품 사용평가 개선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6. 오진희, 의약품안전사용정보시스템(DUR) 도입효과에 대한 연구,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7. 최종수, 환자 안전 제고를 위한 동시적 의약품처 방조제지원시스템 도입에 따른 사용자 영향 분석,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8. 양현숙, 약사에 의한 의약품 부작용 보고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9. 허나림, 안전상비의약품의 약국 외 판매에 의한 부작용 및 건강보험재정영향 분석,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0. 박경진, 의약품 부작용 보고 서식 비교 분석 : ICH, CIOMS를 기준으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1. 임경화, 신현택, 손현순, 전효정, 이주현, 이유정, 이영숙, 송인숙, "의약품 부작용에 관한 국제 분류체계인 WHO-ART와 MedDRA의 비교분석," 한국임상약학회지, 제17권, 제1호, 2007.
  12. 전하림, 박주희, 전동숙, 최병철, "의약품사용평가사업의 미국 47개주 자료비교 및 정책적 함의," 보건사회연구원, 제34권, 제3호, pp.192-221, 2013.
  13. A. K. Jha, G. J. Kuperman, E. Rittenberg, J. M. Teich, and D. W. Bates, "Identifying hospital admissions due to adverse drug events using a computer-based monitor," Pharmacoepidemiol Drug Saf., Vol.10, pp.113-119, 2001. https://doi.org/10.1002/pds.568
  14. Thomas R. Fulda, Ted Collins, Julie Kuhle, Debra S. Devereaux, and Ilene H. Zuckerman, "Medicaid drug utilization review annual reports for federalfiscal year 1999: looking back to move forward," J Am Pharm Assoc, Vol.44, No.1, pp.69-74, 2004. https://doi.org/10.1331/154434504322713255
  15. D. H. Kreling and D. A. Mott, "The cost effectiveness of drug utilisation review in an outpatient setting," Pharmacoeconomics, Vol.4, No.6, pp.414-436, 1993. https://doi.org/10.2165/00019053-199304060-00004
  16. 채지인, 백연희, 전하림, 이의경, 신주영, "의약품부작용보고 원시자료에서 소비자와 의료 전문가간의 이상사례 보고 비교 연구," 한국보건사회약료경영학회지, 제6권, 제1호, pp.31-37, 2017.
  17. J. De Langen, F. van Hunsel, A. Passier, L. de Jong-van den Berg, and K. van Grootheest, "Adverse drug reaction reporting by patients in the Netherlands: three years of experience," Drug Saf., Vol.31, No.6, pp.515-524, 2008. https://doi.org/10.2165/00002018-200831060-00006
  18. 홍은진, 의약품 이상반응 정보관리와 보고체계의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