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DHD아동을 양육하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대처와 가족탄력성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ADHD and Family Resilience

  • 이정은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최연옥 (동명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투고 : 2018.12.11
  • 심사 : 2019.01.15
  • 발행 : 2019.01.28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ADHD 문제를 지닌 아동을 양육하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대처와 가족탄력성 사이에 어떤 인과관계를 가지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부산경남에 거주하는 ADHD 아동을 둔 어머니 1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의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학력과 가족월소득에 따라 가족탄력성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가족탄력성은 떨어지고($r=-.622^{**}$), 3가지 유형의 대처방법 모두 가족탄력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문제중심대처(${\beta}=.376$)와 양육스트레스(${\beta}=-.338$), 어머니의 학력(${\beta}=.239$)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ADHD 아동을 양육하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가족탄력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사회복지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family resilience in children with ADHD. Method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hierarchically regressed. The participants were 113 mothers of children with ADHD and who lived in resident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Province. The main conten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amily resilience level according to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family monthly income. Second, the higher the parenting stress, the lower the family resilience ($r=-.622^{**}$), and all three types of coping methods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family resilience. Third, the variables affecting family resilience were in the order of problem - centered coping (${\beta}=.376$), parenting stress (${\beta}=-.338$) and mother's academic ability (${\beta}=.239$). Based on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ed a social welfare practice plan to reduce the parenting stress and increase the resilience of the mother of the child with ADHD.

키워드

표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CCTHCV_2019_v19n1_96_t0001.png 이미지

표 2. 주요 측정변수에 대한 기술통계치

CCTHCV_2019_v19n1_96_t0002.png 이미지

표 3.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탄력성의 평균차이검증

CCTHCV_2019_v19n1_96_t0003.png 이미지

표 4. 측정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분석

CCTHCV_2019_v19n1_96_t0004.png 이미지

표 5. 가족탄력성 영향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1_96_t0005.png 이미지

참고문헌

  1. 김진희, 유희정, "가족내의 위험요인이 ADHD 아동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소아.청소년정신의학, 제10권, 제2호, pp.195-200, 1999.
  2. 신민영, 김호영, 김지혜, "주의력결핍/과잉 행동장애 증상을 호소하는 청소년의 우울: 자기 개념의 매개변인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4권, 제4호, pp.903-916, 2005.
  3. 오세철, "장애아 부모의 양육문제에 대한 대처자원 및 대처전략 고찰," 지체부자유아교육, 제24권, 제1호, pp.1-17, 1994.
  4. 정영숙, 이현지, "발달장애와 가족의 교육태도 및 양육경험 유형이 가족회복력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48권, 제3호, pp.85-103, 2009.
  5. 이인숙, 박영숙, 송미순, 이은옥, 박연환, 최경원, 진영란, 김대희, "한국가족의 기능 회복력 측정도구 개발 연구 -만성질환아 가족을 대상으로-," 대한간호학회지, 제32권, 제4호, pp.560-569, 2002. https://doi.org/10.4040/jkan.2002.32.4.560
  6. 정현주, "자폐아동 가족의 스트레스와 가족적응이 자폐아동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경로분석-가족탄력석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가족복지학회지, 제13권, 제3호, pp.89-110, 2008.
  7. 김세연, "주의력결필/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불안수준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1호, pp.221-230,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1.221
  8. 이종하, "초등학교 ADHD 아동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양육자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9호, pp.335-345,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4.335
  9. C. K. Whalen, B. Henker, L. D. Jamner, S. S. Ishikawa, J. N. Floro, R. Swindle, and J. A. Johnston, "Toward mapping daily challenges of living with ADHD: Maternal and child perspectives using electronic diarie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Vol.34, No.1, pp.111-126, 2006. https://doi.org/10.1007/s10802-005-9008-5
  10. J. Kendall, M. C. Leo, N. Perin, and D. Hatton, "Modeling ADHD child and family relationship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Vol.27, No.4, pp.500-518, 2005. https://doi.org/10.1177/0193945905275513
  11. 이미아, "ADHD를 가진 아동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어머니 특성 및 자녀 특성과의 관계," 특수아동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pp.95-111, 2008.
  12. R. A. Lazarus and S. Folkman, Stress, Appraisal, & Coping, Springer, New York: Guilford, 1984.
  13. 이준희, "ADHD 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가족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아동인권학회, 제3권, 제1호, pp.1-13, 2012.
  1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 Washington, DC: Author, 1994.
  15. E. Taylor, Dysfunctions of attention, IN D, Cicchetti & D. J. Cohen(Eds.),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Risk disorder, and adaptation, New York: Wiley-Interscience, Vol.2, pp.243-273, 1995.
  16. Barkey, "Behavioral inhibition, sustained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s: constructiong a unifying theory of ADHD," Psychological Bulletin, Vol.121, pp.65-94, 1997. https://doi.org/10.1037/0033-2909.121.1.65
  17. J. D. Campbell, P. D. Trapnell, S. J. Heine, I. M. Katz, L. F. Lavallee, and D. R. Lehman, "Self-concept clarity: Measurement, personality correlates and cultural boundari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0, No.1, pp.141-156, 1996. https://doi.org/10.1037/0022-3514.70.1.141
  18. 소준현, 신윤오, 조수철, "주의력 결핍 과잉운동장애 가정환경에 대한 연구," 소아.청소년정신의학, 제7권, 제1호, pp.44-51, 1996.
  19. 서민정, 장은진, 정철호, 최상용,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감, 부모효능감에 관한 연구-정서장애아동과 일반아동 어머니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제8권, 제1호, pp.69-81, 2003.
  20. G. Lange, D. Sheerin, A. Carr, B. Dooley, V. Barton, D. Marshall, A. Mulligan, M. Lawlor, M. Belton, and M. Doyle, "Family factors associated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emotional disorders in children," Journal of Family Therapy, Vol.27, pp.76-96, 2005. https://doi.org/10.1111/j.1467-6427.2005.00300.x
  21. 신희선, 김정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위험요인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 및 아동문제행동 간의 관계 분석," 대한간호학회지, 제40권, 제3호, pp.453-461, 2010. https://doi.org/10.4040/jkan.2010.40.3.453
  22. 이종하, "ADHD 아동의 학교적응 인과모형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0권, 제3호, pp.35-62, 2012.
  23. J. Peterson and D. R. Hawley, "Effercts of stressors on parenting attitudes and family functioning in a primary prevention program," Family Relations, Vol.47, No.3, pp.221-227, 1998. https://doi.org/10.2307/584970
  24. 양옥경, 김연수, 권자영, "탄력적 부모되기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8권, 제1호, pp.143-173, 2006.
  25. 신연희, 정현희, "아동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증상,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및 자기 유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아동교육, 제19권, 제3호, pp.143-158, 2010.
  26. R. Finzi-Dottan, I. Manor, and S. Tyano, "ADHD, temperament, and parental style as predictors of the child's attachment patterns," Child Psychiatry Human Development, Vol.37, pp.103-114, 2006. https://doi.org/10.1007/s10578-006-0024-7
  27. E. A. Hurt, B. Hoza, and W. E. Pelham, Jr, "Parenting, family loneliness, and peer functioning in boys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35, pp.543-555, 2007.
  28. T. S. Ayers, A dispositional and situational assessment of children coping: Testing alternative theoretical models, Doctoral dissertation, Arizona State University, 1991.
  29. 김정희,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7.
  30. 강남욱, 김장희, "아동의 회복탄력성, 스트레스요인 및 스트레스 대처양식 간의 관계," 교류분석상담연구, 제2권, 제2호, pp.69-94, 2012.
  31. D. H. Olson, "Commentary: Three-dimensional Circumplex Model and revised scoring of FACES III," Family Process, Vol.30, pp.74-79, 1991. https://doi.org/10.1111/j.1545-5300.1991.00074.x
  32. 이인수, "가족탄력성 증진을 위한 가족심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9권, 제2호, pp.221-239, 2004.
  33. 최희정, 이인수, "가족탄력성이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지, 제17권, 제2호, pp.175-194, 2009.
  34. 김안자, "가족레질리언스가 한부모가족의 가족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21세기사회복지연구, 제4권, 제1호, pp.139-170, 2007.
  35. 이현주, 강민희, "청소년용 부모양육태도 척도(PAQ) 타당화 및 부모양육태도와 가족 기능과의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pp.5-31, 2008.
  36. W. W. Hudson, The WALMYR Assessment Scales Scoring Manual Tallahassee, FL: WALMYR Publishing Company. in Corcoran, K., and Fischer, J. Index of Parental Attitudes(IPA). Measures for Clinical Practice. Vol. 1. NY: The Free Press, pp.382-383, 1997.
  37. M. A. Chesney, T. B. Beilands, D. B. Chambers, J. M. Taylor, and S. Folkman, "A validity and reliability study of the coping self-efficacy scale,"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11, pp.421-437, 2006. https://doi.org/10.1348/135910705X53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