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국사회에서 소셜 미디어의 성공과 실패 요인 분석: 인터뷰 데이터에 대한 어절분석·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Success Factor and Failure Factor of Social Media in Korean Society: Based on the Word Analysis and the Network Analysis on Interview Data

  • 홍주현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
  • 김경희 (한림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 투고 : 2018.10.17
  • 심사 : 2018.12.03
  • 발행 : 2019.01.28

초록

싸이월드와 아이러브스쿨 같은 소셜 미디어가 한국사회에서 실패한 요인을 찾기 위해 계층 모델의 관점에서 전문가 인터뷰를 분석했다. 이용자 측면, 매체적 측면, 조직적 측면에서 성공 요인을 찾은 결과, 연결을 통한 소셜 관계를 충족시키고, 이용자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고,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선점한 미디어가 성공했다. 페이스북과 카카오톡이 대표적인 소셜 미디어라고 할 수 있다. 실패한 요인으로는 이용자의 취향이나 욕구를 외면하고, 메시지를 공유하는 플랫폼으로서의 확장에 한계가 있고, 급변한 커뮤니케이션 환경에 대응하지 못한 것을 지적했다. 대표적인 서비스로 아이러브스쿨, 싸이월드, 트위터가 있다. 인터뷰를 통해 소셜 미디어가 생존하려면 환경 변화에 민감해야 한다는 것을 밝혔다. 전문가들은 4차 산업혁명 시대 AI, 빅데이터를 접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지속적으로 변화해야 한다는 제안을 했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ason why the social media like Cyworld, Iloveschool in Korea in the viewpoint if the layered model by interview. As a result the success factor in the viewpoint of layered model, user used social media for fulfilling the need for linking with other users and the social media offers the customized contents to user. Finally the social media dominated the market in advance. Facebook and Kakao talk are good examples of successful media. The failure factors are to care less about what other users want, to limit the expand of platform and not to copy with the change of the media environment. Iloveschool, Cyworld and Twitter are the examples of failure social media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he sensitivity of the change of environment. The expert mentioned the importance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like AI, Big data and expected that new technology will emerge and the service will be developed by the change of user's taste.

키워드

CCTHCV_2019_v19n1_74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이용자 측면에서 본 성공 요인 네트워크 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1_74_f0002.png 이미지

그림 2. 매체적 측면에서 본 성공 요인 네트워크 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1_74_f0003.png 이미지

그림 3. 조직적 측면에서 본 성공 요인 네트워크 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1_74_f0004.png 이미지

그림 4. 이용자 측면에서 본 실패 요인 네트워크 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1_74_f0005.png 이미지

그림 5. 매체적 측면에서 본 실패 요인 네트워크 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1_74_f0006.png 이미지

그림 6. 조직적 측면에서 본 실패 요인 네트워크 분석 결과

표 1. 심층인터뷰 대상자

CCTHCV_2019_v19n1_74_t0001.png 이미지

표 2. 소셜 미디어 성공 요인․실패 요인 어절 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1_74_t0002.png 이미지

표 3. 소셜 미디어 성공 요인 연결성과 매개 중심성 결과

CCTHCV_2019_v19n1_74_t0003.png 이미지

표 4. 소셜 미디어 성공 요인 연결성과 매개 중심성 결과

CCTHCV_2019_v19n1_74_t0004.png 이미지

표 5. 소셜 미디어 성공 요인 연결성과 매개 중심성 결과

CCTHCV_2019_v19n1_74_t0005.png 이미지

표 6. 소셜 미디어 실패 요인 연결성과 매개 중심성 결과

CCTHCV_2019_v19n1_74_t0006.png 이미지

표 7. 소셜 미디어 실패 요인 연결성과 매개 중심성 결과

CCTHCV_2019_v19n1_74_t0007.png 이미지

표 8. 소셜 미디어 실패 요인 연결성과 매개 중심성 결과

CCTHCV_2019_v19n1_74_t0008.png 이미지

참고문헌

  1. 신동아 2012년 4월 25일자 참조.
  2. http://www.inews24.com/view/1086965, 2018.04.05.
  3. Asia - Eye on South Korea Oct. 17, 2007.
  4. J. Ratkiewicz, M. Conover, M. Meiss, B. Goncalves, and F. Flammini, "Detection and tracking political abuse in social media," Proceedings of the Fifth International AAAI Conference on Weblogs and Social Media. pp.297-304, 2017. Available at www.aaai.org/ocs/index.php/ICWSM/ICWSM11/paper/download/.../3274
  5. A. Henderson and R. Browerly, "Authentic dialogue? The role of "friendship" in a social media recruitment campaign," Journal of Management, Vol.14, No.3, pp.237-257, 2010.
  6. http://www.dataplanet.co.kr/2017/01/%ED%95%9C%EA%B5%AD-%ED%8A%B8%EC%9C%84%ED%84%B0-%ED%8E%98%EC%9D%B4%EC%8A%A4%EB%B6%81-%EC%9D%B4%EC%9A%A9%EC%9E%90%EC%88%98-20152018/
  7. A. Quan-Hasse and A. Young, "Uses and Gratifications of Social Media: A Comparison of Facebook and Instant Messaging Bulletin of Science," Technology & Society, Vol.30, No.5, pp.350-161, 2010.
  8. Y. Theocharis, "Does Facebook increase political participation? Evidence from a field experiment. Information," Communication & Society, Vol.19, No.10, pp.1465-1486, 2016. https://doi.org/10.1080/1369118X.2015.1119871
  9. D. Wang, A. Musaev, and C. Pu, "Information Diffusion Analysis of Rumor Dynamics over a Social-Interaction Based Model," Published at 2016 IEE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llaboration and Internet Computing (CIC), 2016.
  10. D. M. Boyd and N. B. Ellison,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13, No.1, article 11, 2007.
  11. S. D. Reese and P. J. Shoemaker, "Media Sociology and the Hierarchy of Influences Model: A levels-of-analysis perspective on the networked public sphere," Mass Communication and Society, Vol.19, No.4, pp.389-410, 2016. https://doi.org/10.1080/15205436.2016.1174268
  12. E. M. Rogers, Diffusion of Innovations. THE FREE PRESS.(Collier Macmillan Publisher: New York), 1983. https://teddykw2.files.wordpress.com/2012/07/ everett-m-rogers-diffusion-of-innovations.pdf
  13. S. W. Littlejohn and K. A. Foss, Theories of Human Communication, (Waveland Press, Inc.: Long Grove, IL), 1992.
  14. P. J. Shoemaker and S. D. Reese, Mediating the message :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 2nd edition. 1992.
  15.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 수용자 의식조사,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2016.
  16. B. Charlie and R. Mansell, "Crossing boundaries: new media and networked journalism," Communication, culture & critique, Vol.1, No.1, pp.92-104, 2008. https://doi.org/10.1111/j.1753-9137.2007.00010.x
  17. B. Pan, Y. Zheng, D. Wilkie, and C. Shahabi, "Crowd Sensing of Traffic Anomalies based on Human Mobility and Social Media," 2013. https://users.wpi.edu/-yli15/courses/DS504Fall17/includes/GIS2013-Crowdsensing.pdf
  18. 서병문, "뉴미디어 플랫폼 확산이 콘텐츠 창작 및 유통시장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14호, 제1호, pp.43-55, 2009.
  19. 김령희, 안소영, 이재인, 이명진, "인터넷 확산과 정에서 PC방 정부 정책의 변화," 정보사회와 미디어, 제18권, pp.1-25, 2010.
  20. L. M. Lekhanya, "Cultural Influence On The Diffusion And Adoption Of Social Media Technologies By Entrepreneurs In Rural South Africa," International Business & Economics Research Journal, Vol.12, No.12, pp.1563-1574, 2013. https://doi.org/10.19030/iber.v12i12.8250
  21. A. R. Edwards, "The Moderator as an Emerging Democratic Intermediary: The Role of the Moderator in Internet Discussions about Public Issues," Information Policy, Vol.7, pp.3-20, 2002. https://doi.org/10.3233/IP-2002-0002
  22. Y. Ariel and R. Avidar, "Information, Interactivity, and Social Media," Atlantic Journal of Communication, Vol.23, No.19, pp.19-30, 2015. https://doi.org/10.1080/15456870.2015.972404
  23. 홍주현, 김경희, "언론의 정치적 성향이 뉴미디어 정책 관련 사설의 의제 및 보도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3호, pp.162-177,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3.162
  24.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24&aid=0000044229, 2013.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