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Self Esteem and Adult Attachment on SNS(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Tendency

자아존중감 및 성인애착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권예진 (을지대학교 중독재활복지학과) ;
  • 김다빈 (을지대학교 중독재활복지학과) ;
  • 서보경 (을지대학교 중독재활복지학과)
  • Received : 2018.08.06
  • Accepted : 2018.09.14
  • Published : 2019.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lf - esteem, and attachment instability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in the college students' SNS addiction tendency.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n SNS addiction tendency of college students, we surveyed 330 college students at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through offline and online questionnaires, and analyzed 271 valid one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variance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87.4% of college students used SNS, and the most used SNS was 'Facebook (82.3%)'. The most frequent use of SNS per day was 'over 1 hour ~ less than 2 hours (24.7%)'. Second, women had a significantly higher SNS addiction tendency than men. Third, self-esteem and SNS addiction tendency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Fourth,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NS addiction tendency. Fifth, the self-esteem of college students affects negatively on the SNS addiction tendency and only the attachment anxiety among attachment instability affects the addiction tendency. Finally, we discussed the risk of SNS addi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본 연구는 대학생의 SNS 중독 경향성 실태를 파악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자아존중감 및 성인애착 중 불안정 애착(애착불안, 애착 회피)이 SNS 중독경향성과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도권 4년제 대학교 재학생 330명을 오프라인과 온라인 질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고, 그 중 유효한 271명을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변량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87.4%가 SNS를 사용하고 있었고, 주로 사용하는 SNS는 '페이스북(82.3%)'이었다. 일별 SNS 사용시간은 '1시간 이상~2시간 미만(24.7%)'가 가장 많았다. 둘째, 여성이 남성보다 SNS중독경향성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자아존중감과 SNS 중독경향성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인애착의 불안정 애착 중에 애착불안와 애착회피는 SNS 중독경향성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다섯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은 SNS 중독경향성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불안정 애착 중 애착불안만이 중독경향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대학생의 신분적 특성에 따른 SNS 중독 위험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

표 1. 주요 SNS 별 특징

CCTHCV_2019_v19n1_47_t0001.png 이미지

표 2.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CCTHCV_2019_v19n1_47_t0002.png 이미지

표 3. 대학생의 SNS 사용 종류(복수 응답)

CCTHCV_2019_v19n1_47_t0003.png 이미지

표 4. 대학생의 SNS 사용기간

CCTHCV_2019_v19n1_47_t0004.png 이미지

표 5. 대학생의 SNS 접속빈도

CCTHCV_2019_v19n1_47_t0005.png 이미지

표 6. 대학생의 SNS 사용시간(1일 기준)

CCTHCV_2019_v19n1_47_t0006.png 이미지

표 7. 대학생의 SNS 사용 상황(복수 응답)

CCTHCV_2019_v19n1_47_t0007.png 이미지

표 8. 대학생의 SNS 사용동기(복수응답)

CCTHCV_2019_v19n1_47_t0008.png 이미지

표 9. 성별에 따른 SNS 중독경향성

CCTHCV_2019_v19n1_47_t0009.png 이미지

표 10. 학년별 SNS중독경향성

CCTHCV_2019_v19n1_47_t0010.png 이미지

표 11. 통학시간에 따른 SNS 중독경향성

CCTHCV_2019_v19n1_47_t0011.png 이미지

표 12.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CCTHCV_2019_v19n1_47_t0012.png 이미지

표 13. 자아존중감과 성인애착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CCTHCV_2019_v19n1_47_t0013.png 이미지

References

  1.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6 한국미디어 패널조사, p.20, pp.149-150, 2016.
  2. 한국인터넷진흥원, 2015 모바일인터넷이용실태조사 결과보고서, p.48, 2015.
  3. 한국인터넷진흥원, 2016 인터넷이용실태조사 최종보고서, p.81, 2016.
  4. 오승석, 트위터와 페이스북의 이용 동기와 충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5. 루진단, SNS 이용의 역기능이 미래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경영학석사학위논문, 2015.
  6. 정소영, 김종남, "대학생용 SNS 중독경향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9권, 제1호, pp.147-166, 2014. https://doi.org/10.17315/KJHP.2014.19.1.008
  7. 피승정, SNS 사용행동에 따른 SNS 중독 가능성,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의 차이,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2013.
  8. 정구철, 문종호,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분노표현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9호, pp.146-156,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9.146
  9. 김종운, 이수련, "전문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4호, pp.530-540,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4.530
  10. 이봉건, 인터넷중독의 증상과 예방-사이버 공간의 심리 인간적 정보화사회를 향해서, 서울: 박영사, 1999.
  11. 이인숙, 조주연, "대학생들의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지, 제14권, 제5호, pp.2623-2633, 2012.
  12. 정현진, 자존감 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대인관계 능력과 우울 및 불안의 차이,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2013.
  13. 김정숙, 박미향, 함경애, "대학생의 성격 5요인과 자아존중감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활심리학회 재활심리연구, 제21권, 제2호, pp.189-206, 2014.
  14. 김종운, 양민정,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우울이 대학생의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상담연구, 제21권, 제2호, pp.247-265, 2013.
  15. M. kalkan, "Predictiveness of interpersonal cognitive distortions on university student' problematic Internet use," Chi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Vol.34, No.7, pp.1305-1308, 2012. https://doi.org/10.1016/j.childyouth.2012.03.003
  16. 유승숙,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정도와 우울, 불안, 공격성의 관계: 자기통제의 조절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2014.
  17. 김보경, 백용매, 허창구, "애착과 스마트폰 및 SNS 중독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문제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3호, pp.483-502, 2016.
  18. J. Bowlby, Attachment and loss. Vol. 1. Separation, anxiety, and anger, New York: Basic Books, 1973.
  19. C. Hazan and P. Shaver, "Romantic love conceptualized as an attachment. pro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2, pp.511-524, 1987. https://doi.org/10.1037/0022-3514.52.3.511
  20. 이지형, 성인 애착 유형에 따른 향유 신념과 중독성향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1. 김보경, 성인애착이 스마트폰 및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2. 유현욱, 중학생의 또래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상담심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5.
  23. 송기선, 20대의 SNS 중독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 외로움, 인정욕구의 관계,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논문, 2015.
  24. 이선경, 불안정 성인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7.
  25. 홍신영, 대학생의 SNS 이용특성과 자아정체감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6. 오윤경, SNS 중독경향성과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 사회적지지의 관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7. 서경현, 조성현, "SNS 중독경향성 관련 요인 탐색-내현적 자기애, 자기제시 동기 및 소외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논문지, 제18권, 제1호, pp.239-250, 2013.
  28. S. K. Young,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 psychology and behavior," Vol.3, pp.237-244, 1996.
  29. 한국정보문화진흥원,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검사 K척도 성인용, 2005, [On-line] http://www.iapc.or.kr/
  30. M. Rosenberg,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31. 오승환, 저소득 결손가족 청소년의 적응 결정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32. R. Fraley, G. N. Waller, and K. A. Brennan, "An item response theory analysis of self-report measures of adult attach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8, No.2, p.350, 2000. https://doi.org/10.1037/0022-3514.78.2.350
  33. 김성현, 친밀관계경험검사 개정판 타당화 연구:확충적 요인분석과 문항 반응,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34. 하태희,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애착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제27권, 제3호, pp.763-772, 2016.
  35. 박현미,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우울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2013.
  36. 이동엽, 대학생들의 정신건강실태와 스트레스반응의 특성,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심리학, 석사학위논문, 2015.
  37. 원진경, 애착, 정서조절 양식, 우울 간의 관계: 긍정/부정정서에서 반추와 억제의 매개효과, 강원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5.
  38. 박성규, 중학생의 SNS 사용수준과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과 대인관계의 차이, 계명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2012.
  39. 조다현, SNS 중독경향성과 병리적 자기애, 정서표현성, 친구지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문학석사학위논문,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