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김기홍. (2006). 한국농촌마을 사회자본의 특징에 관한 연구: Trust&Network를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서울: 고려대학교 대학원.
- 김동배. (2008).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1), 211-231.
- 김주희. (2011). 농촌 여성의 사회적 관계의 변화: 사회적 자본 관점에서의 이해. 한국농촌사회학회, 21(2), 7-48.
- 김종기, 전진환. (2009). 국내 MIS 연구에서 구조방정식모형 활용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경영정보학회, 19(4), 47-75.
- 김혜연. (2011). 사회적 자본이 지역주민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 민간자원 연계사업 참여 주민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3(3), 1-29.
- 민성길. (2005). 최신정신의학(제5판). 서울: 일조각.
- 반금옥, 김혜자. (2012). 농촌지역 재가노인의 성공적 노화, 우울과 가족기능간의 관계. 한국농촌간호학회지, 7(1), 19-27. https://doi.org/10.22715/jkarhn.2012.7.1.019
- 신경림, 김정선. (2003). 노인여성의 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5(1), 29-37.
- 신근영. (2016). 노인의 자기효능감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강릉: 가톨릭관동대학교 대학원.
- 신학진. (2011). 노인의 사중고가 우울을 매개로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경로당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1(3), 653-672.
- 안은미. (2011). 사회경제적 특성, 건강상태 및 사회적 지지와 노인 우울간의 관계[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 양순미, 임춘식, 오윤자. (2007). 농촌노인의 우울에 관련변인이 미치는 효과. 노인복지연구, 36, 139-158.
- 오영은. (2017). 농촌노인의 고독감과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연구: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광주: 전남대학교 대학원.
- 유정헌, 성혜영. (2009). 노년기 우울에 대한 가족관계 만족도의 중재효과. 한국노년학, 29(2), 717-728.
- 윤현숙, 유희정. (2006).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8, 5-31.
- 이묘숙. (2012).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한 노인의 경제상태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57, 289-314.
- 이지선. (2008). 재가노인의 성공적인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석사학위논문]. 대전: 목원대학교 대학원.
- 이재풍, 유선덕. (2017).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직무만족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자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경영연구, 4(2), 77-108.
- 전상남, 신학진. (2009). 주관적 건강 및 노인차별경험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9(4), 1383-1396.
- 정순둘, 성민현. (2012). 연령집단별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도 관계비교. 보건사회연구, 32(4), 249-272.
- 조선배. (1996). LISREL 구조방정식 모델. 서울: 영지문화사.
- 조은혜. (2017). 베이비부머의 사회적 자본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대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 조진희. (2008). 중년여성의 성공적인 노화인식과 우울[석사학위논문]. 서울: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 최민정. (2015). 중고령 여성의 사회적 자본과 경제적 자본의 관계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35(2), 2015, 124-163. https://doi.org/10.15709/HSWR.2015.35.2.124
- 최일섭, 최성재. (1996).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서울: 나남출판.
- 통계청. 2019.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전망. 대전: 통계청.
- 하성규, 박기덕. (2011). 사회적 자본의 영향요인과 주거공동체 활성화: 서울 아파트단지와 여주 농촌 마을 비교 연구. 한국지방자치연구, 12(4), 133-153.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노인실태조사.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한수정, 한진숙, 문영숙. (2009). 노인의 성공적 노화와 영향요인. 성인간호학회지, 21(4), 423-434.
- 홍현방. (2002). 성공적인 노화와 노인의 종교성 관계 연구. 한국노년학, 22(3), 245-259.
- Baltes PB, Baltes MM. (1991).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successful aging: The model of selective optimization with compensation. In P. B. Baltes & M. M. Baltes (Eds.), Successful aging: Perspectives from the behavioral sciences (pp. 1-34).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Brisson, DS, Usher CL. (2005). Bonding social capital in low-income neighborhoods. Family Relations, 54(5), 644-653. https://doi.org/10.1111/j.1741-3729.2005.00348.x
- Coleman J.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94-121. https://doi.org/10.1086/229033
- Curran PJ, West SG, Finch J.(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 1, 16-29. https://doi.org/10.1037/1082-989X.1.1.16
- Evans DA 외 6명, (1993). Level of education and change in cognitive function in a community population of older persons. Annals of Epidemiology, 3 , 71-77. https://doi.org/10.1016/1047-2797(93)90012-S
- Hsu HC. (2005). Gender Disparity of Successful Aging in Taiwan. Women & Health, 42(1), 1-21. https://doi.org/10.1300/J013v42n01_01
- Portes A. (1998). Social Capital: Its Origins and Applications in Modern Sociology. Annual Review of Sociology, 22, 1-24. https://doi.org/10.1146/annurev.soc.22.1.1
- Putnam. R. (1993).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The American Prospect, 13(Spring).
- Rowe, JW, Kahn, RL. (1997).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37(4), 433-440. https://doi.org/10.1093/geront/37.4.433
- Rowe JW, Kahn RL. (1998) Successful aging. New York: Random House
- Vaillant GE, Mukamal K. (2001). Successful Aging.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8(6), 839-847. https://doi.org/10.1176/appi.ajp.158.6.839
피인용 문헌
- 해방세대와 베이비붐세대 간 사회적 자본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vol.22, pp.2, 2019, https://doi.org/10.5762/kais.2021.22.2.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