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미국의 비밀기록관리제도에 관한 연구 -대통령의 행정명령(EO)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ystem of Confidential Record Management of the USA

  • 투고 : 2018.12.30
  • 심사 : 2019.01.14
  • 발행 : 2019.01.30

초록

본 연구는 국가비밀의 보호와 함께 비밀기록에 대한 국민의 알 권리를 제도적으로 보장하기 위하여 발전해 온 미국 대통령의 행정명령(Executive Order)을 내용 분석하여, 우리나라 비밀기록관리제도 발전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비밀분류, 비밀보호, 비밀해제 측면에서 비밀기록관리와 관련된 역대 대통령의 행정명령(EO)을 살펴보았다. 내용분석 결과 대통령의 행정명령(EO)은 국가비밀을 보호하기 위해서 특별 열람 프로그램, 자동 비밀해제의 면제 및 유예제도, 벌칙을 신설 및 규정하고 있었으며,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비밀분류권자 지정제도, 자동 비밀해제 및 의무적 비밀해제 심사제도, 역사연구자와 전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열람절차를 신설, 규정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도출한 우리나라 비밀기록관리제도 발전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정보원장 중심의 비밀기록관리 체계를 대통령 중심의 비밀기록관리 체계로 개편해야 한다. 둘째, 비밀기록관리를 전문으로 하는 개별법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통일적인 비밀기록관리 및 상시 감독을 위해 상설 비밀기록관리 감독 기구를 신설해야 한다. 넷째, 비밀기록 생산기관의 오남용에 의한 비밀분류를 정정하기 위해 공신력 있는 외부기관에 의한 비밀분류 재심사절차를 마련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etails of the executive order of th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which have been developed in the country's administrative system to institutionalize the guarantee of the people's right to know the classified records, as well as to protecting national secrets. This study also aims to present any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lassified record management system of Korea. To this end, the previously issued EO concerning the classified records management were reviewed in terms of its classification, safeguard, and declassification.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EO by the president established and prescribed the special access program for national secrets, the system to exempt and suspend the automatic declassification, and the sanctions for protecting national secrets. The EO also established and prescribed the appointment system for the person with the authority to classify record, automatic declassification program, and Mandatory declassification review system, as well as the procedures for historical researcher and certain former government personal to access the classified records with the purpose of guaranteeing people's right to know. As a result, this study identifie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s classified record management system, as follows : First, it is necessary to restructure the current classified record management system, by changing the operations that is dependent on the director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to the one that is dependent on the Presid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legislate a separate special law for the classified record management system. Third, a standing supervisory body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and for the consistent and routine supervision of the classified record management. Four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rocedures to further review the classification of classified record to correct the defects of the current classification system, which has been abused and mismanaged by the national agencies and organizations that produce classified recor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영호 외, 2009. (핵심) 법률용어사전. 서울 : 청림출판.
  2. 경향신문. 2008. 07. 28. "쇠고기문서 '비밀' 분류 공개 차단". Retrieved from https://news.v.daum.net/v/20080728031506346.
  3. 국민일보. 2014. 7. 27. "국정원,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비공개는 부당". Retrieved from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8541498&code=61121311&cp=du
  4. 국회 정보위원회. 2007. 4. 27. 비밀의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 제정에 관한 공청회 자료집. 서울: 국회정보위원회.
  5. 김성배. 2010. 정보공개제도와 국가비밀보호의 문제, 법학논고, 34, 87-114.
  6. 김순현. 1997. (최신) 군사용어영한사전. 서울 : 연경문화사.
  7. 김호정, 2016, 국가기밀과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상의 정보공개, 외법논집, 40(4), 1-19. https://doi.org/10.17257/HUFSLR.2016.40.4.1
  8. 박용상. 1996, 국가기밀법의 체계, 사법논집, 27, 531-589.
  9. 박지태, 김성겸, 황정원. 2018. 2017년도 기록물 생산현황 분석. 기록학연구, 57, 113-136.
  10. 박홍식. 2001. 정부비밀 관리 정책의 평가, 한국행정논집, 13(1), 1-23.
  11. 박흥식. 2010. 통제비분류정보의 관리,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0(4), 203-228.
  12. 박흥식. 2007. 비밀해제제도의 각 국 비교.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4(3), 31-54.
  13. 연합뉴스. 1999. 01. 23. "정통부, PCS 관련서류 은폐의혹" Retrieved from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4436480
  14. 이경래. 2010. 미국의 비밀기록관리체제에 대한 역사적 이해. 기록학연구, 23, 257-297. https://doi.org/10.20923/kjas.2010.23.257
  15. 이다정. 2015. 미국 비밀해제제도에 비추어 본 한국 정부기록 비밀해제제도의 정비 방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동훈. 2000. 국가비밀과 알권리. 공법연구, 23(2), 137-158.
  17. 장월수. 2016. 9. 26. 미국의 국가비밀분류체계 분석 및 시사점, 주간국방논단, 1638, 6-41.
  18.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05. 비밀기록물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향 연구. 서울 :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19. 최정수. 2011. 4. 국가기밀의 개념, 법학논문집, 35(1), 97-125.
  20. 프레시안. 2006.01.18. "쌀협상 이면합의를 'Ⅲ급비밀'로 분류한 것은 잘못" Retrieved from http://pressian.com/news/article.html?no=78393#09T0
  21. 한겨레. 2018. 01. 05. "한-UAE 군사협정 모두 6건...MB때 4건 '비밀 분류' 논란" Retrieved from 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826408.html
  22. 한겨레 신문. 2018. 1. 9. MB정부, UAE와 비밀 군사협약 '헌법위반' 파문. Retrieved from 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827029.html#csidx56a5741e0f19ccba7bbc301cb6a3cbc
  23.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용어사전. 서울 : 역사비평사.
  24.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 기록관리혁신단. 2005. 주요 외국의 기록관리 관련 법령. 서울 : 국가기록원 기록관리혁신단.
  25. 허완중. 2012. 헌법재판소의 민주적 정당성. 헌법학연구, 18(3), 559-600.
  26. Arvin S. Quist, revised September 2002. Classification of Information : Volume 1. Introduction, History, and Adverse Impacts. USA : Oak Ridge Classification Associates.
  27. NARA. 2018. 7. 5. About ISOO - Mission, Vision, Values, Functions, and Goals Retrieved from https://www.archives.gov/isoo/about
  28. NARA. 2018. 8. 1. 2017 Annual Report to the President. Retrieved from https://www.archives.gov/files/isoo/reports/2017-annual-report.pdf
  29. Statement on Establishing a New System for Classification and Declassification of Government Documents Relating to National Security. (March 8, 1972)
  30. 보안업무규정 [대통령령 제28211호 2017. 7. 26., 타법개정]
  31. 보안업무규정 시행규칙[대통령훈령 제366호, 2017. 2. 22., 일부개정]
  32. 공공기록물법 [법률 제14613호, 2017. 3. 21., 일부개정]
  33. 공공기록물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7460호, 2016. 8. 29., 일부개정]
  34. 공공기록물법 시행규칙 [행정안전부령 제11호, 2017. 9. 22., 일부개정]
  35. 군사기밀보호법[법률 제13503호, 2015. 9. 1., 일부개정]
  36. 국가정보원법 [법률 제12948호, 2014. 12. 30., 일부개정]
  37. The President Executive Order 8381
  38. The President Executive Order 10104
  39. The President Executive Order 10290
  40. The President Executive Order 10501
  41. The President Executive Order 10964
  42. The President Executive Order 11652
  43. The President Executive Order 12065
  44. The President Executive Order 12958
  45. The President Executive Order 13292
  46. The President Executive Order 13526
  47. Atomic Energy Act of August 1, 1946.
  48. Privacy Act of 1974(5 U.S.C. 552a)
  49. 한국 국회(http://www.assembly.go.kr)
  50. 한국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
  51. 한국 헌법재판소(https://www.ccourt.go.kr)
  52. 한국 정보공개포탈(https://www.open.go.kr)
  53. 한국 국가법령정보센터(http://law.go.kr/LSW/main.html)
  54. 미국 국가기록관리청(https://www.archives.gov)
  55. 미국 과학자협회(https://fas.org/)
  56. 미국 정보보안감독국(https://www.archives.gov/is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