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영아교사의 긍정적 놀이신념이 영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물리적 환경수준의 중재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hysical Environmental-level Between Infant Teachers' Positive Play Belief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 이미진 (인하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전공) ;
  • 이완정 (인하대학교 아동심리학과)
  • 투고 : 2019.10.16
  • 심사 : 2019.11.23
  • 발행 : 2019.12.30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e effect of the physical environmental-level between infant teachers' positive play belief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83 teachers in charge of one-year-old and two-year-old infants in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metropolitan areas. The data were collected by asking the teachers to respond to a questionnaire and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he positive play beliefs of the infant teacher, the physical environment level, and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showed significant proportional correlations. Second, the physical environment level moderated the influence of the teacher's positive play belief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particular, results showed that functional interior space configuration, outdoor playground composition and facilities among the sub-variable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level had a moderating effect.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eachers with positive play beliefs have positive teacher-infant interaction when there is sufficient space available for infants and teachers. This indicates that the human and physical environments of child care centers can promote teacher-child interac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숙현 (1994).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의 이해와 활용 : 유아교사를 위한 핸드북. 서울: 동문사.
  2. 권혜진 (2013). 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이 문제행동지도 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1), 175-200.
  3. 김미정 (2012). 산.학.관 협력 생태직장어린이집 설치.운영 모형 개발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은영 (2010). 육아지원기관 시설.설비에 대한 인식: 유치원 교원과 보육시설 종사자 인식을 중심으로. 육아정책포럼, 21, 6-13.
  5. 김정화 (2018).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과 어린이집의 물리적 환경, 업무지원 환경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131-132
  6. 김정희, 김동춘 (2010). 영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조직커뮤니케이션 능력,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41(3), 149-173.
  7. 김현경, 박희숙 (2015). 교사의 어릴 적 놀이경험이 놀이신념 및 놀이교수효능감,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4(4), 177-194. doi:10.17643/KJCE.2015.24.4.10
  8. 김희진, 홍희란, 김언아 (2004). 영아를 위한 프로그램의 실제, 서울: 창지사.
  9. 박천희 (2019). 영유아들의 놀 권리를 지원하는 교사의 역할. 2019 한국보육지원학회 춘계학술대회, 71-74.
  10. 보건복지부 (2013).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해설서(11-1352000-001006-01). https://www.nccw.educare.or.kr/index.do에서 2019년 4월 3일 인출
  11. 서은경, 송규운 (2016). 교사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생애학회지, 6(2), 61-75.
  12. 서지은 (2014). 영아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신은수 (2000). 놀이에 대한 교사효능감이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과 유아 놀이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0(1), 27-42.
  14. 신은수, 김명순, 신동주, 이종희, 최석란 (2002). 놀이와 유아.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5. 신은희 (1990). 놀이에 대한 교사의 사고체계와 실제행동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양미선 (2013). 가족 친화적 기업문화가 영아기 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정건강성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양인정 (2003). 보육시설 물리적 환경실태와 종사자 인식간의 차이연: 성남시 국.공립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유미 (2008).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19. 육아정책연구소 (2009). 2009년 전국보육실태조사: 가구조사보고서(11-1351000-000555-13).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http://www.kicce.re.kr에서 2019년 3월 22일 인출
  20. 육아정책연구소 (2013). 영아보육의 실태 및 질 제고 방안(연구보고 2013-11).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http://www.kicce.re.kr에서 2019년 3월 22일 인출
  21. 육아정책연구소 (2018). 2017년 유아교육 보육 주요통계(연구자료 2018-01).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http://www.kicce.re.kr에서 2019년 3월 22일 인출
  22. 육아정책연구소 (2018). 2018년 전국보육실태조사: 어린이집조사 보고(11-1352000-000962-12). 서울: 보건복지부. http://www.kicce.re.kr에서 2019년 3월 22일 인출
  23. 이금정 (1998). 국.공립과 사립 어린이집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미화 (2019). 영아 양육지원 정책의 방향과 과제. 제 2차 육아정책 심포지엄 자료집, 29-49.
  25. 이상영 (2014). 직장어린이집 물리적 환경에 대한 사업주와 원장 간의 인식 비교.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소연 (2019). 영아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이 놀이에서의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은해, 이기숙 (1996).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 교사를 위한 활용 지침서, 서울: 창지사.
  28. 이정덕, 정영희 (2007). 유아교육기관의 실내 환경 위생관리 실태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4), 403-426.
  29. 임수민 (2014). 영아의 애착안정성 및 교사-영아 상호작용이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전미경 (2011). 직장보육시설의 실외놀이터 설치와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정예뿐 (2017). 보육교사와 만1세 영아와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어린이집 자유놀이 시간을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조해연 (2014). 어린이집 2세 학급의 물리적 환경, 보육과정, 교사 상호작용의 질이 영아의 놀이행동과 사회정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현정희, 김정원 (2008). 예비유아교사의 놀이경험과 놀이 개념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5), 93-113.
  34. 홍근민 (1997). 영아보육환경의 질적 수준에 따른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홍은숙 (2013). 영아-교사 간 상호작용에서 교사의 민감성과 민감성 인식 및 영아의 적응행동.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36. 황정숙 (2000). 유치원 설립과 개원 준비 과정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학회지, 4(2), 97-123.
  37. 황혁, 나종혜 (2015). 어린이집 유아반 하루일과 유형과 물리적 보육환경의 관계. 한국보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81-282
  38. Abbott-Shim, M., Sibley, A. (1987). Assesment profi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Atlanta, G.A: Quality Assist, Inc.
  39. Enochs, L. G., & Riggs, I. M. (1990). Further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A preservice elementary scal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0(8), 694-706. doi:10.1111/j.1949-8594.1990.tb12048.x
  40. Fogel, L. M. (2003). Parent beliefs about play: Relations with parent-child play interaction and child peer play compet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Colombia, USA.
  41. Olds, A. R. (2001). Child Care Design Guide. New York: McGraw-Hill.
  42. Sabol, T. J., & Pianta, R. C. (2012). Recent trends in research on teacher-child relationships. Attachment & Human Development, 14(3), 213-231. doi:10.1080/14616734.2012.672262
  43. Stipek, D. J., & Byler, P. (1997).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Do they practice what they preach?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2, 305-325. doi:10.1016/S0885-2006(97)900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