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Loan Structure and Profitability of Banks

은행의 대출 구조와 수익성 변동에 관한 연구

  • 강명석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경영학) ;
  • 신정훈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
  • Received : 2019.10.15
  • Accepted : 2019.12.14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financial statements, loan structure, ROA and ROA volatility of domestic commercial banks, regional banks and special banks for the past five years (2012 ~ 2016).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ank's ROA is positively related to household loans and SME loans, but it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ratio of loans to large companies, sector bias, and loan loss provision ratio. Second, ROA volatility was negatively related to household loans and SME loans, but 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arge corporate loans, sector bias ratio, and loan loss provision ratio. Third,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the variables tha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OA volatility of banks were household loans, SME loans, and large enterprise loans. From these empirical results, special banks with high volatility in profits need to diversify loan types and sectors in order to achieve business performance outside of policy finance. and Especially, Suhyup Bank and Nonghyup Bank, which have a large commercial role, have a large size per unit by focusing on short-term profit and Rather than focusing on large companies or large loans that are easy to obtain financial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focus management capabilities on household loans and SME loans by developing capabilities such as screening techniques.

본 연구는 최근 5년간(2012년 ~ 2016년) 국내 시중은행, 지방은행 및 특수은행의 재무제표와 대출구조, ROA, ROA 변동성을 사용하여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관계분석 결과 은행의 ROA는 가계대출, 중소기업 대출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으나, 대기업대출, 업종편중율, 대손충당금 비율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ROA 변동성은 가계대출, 중소기업 대출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으나, 대기업 대출, 업종편중율, 대손충당금 비율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 은행의 ROA 변동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가계대출, 중소기업대출, 대기업대출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분석결과로부터 이익 변동성이 큰 특수은행들은 정책금융 외의 영역에서는 경영성과 달성을 위해 대출 형태와 업종을 분산 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상업적인 역할이 큰 수협은행, 농협은행은 단기적인 수익에 집중하여 단위당 규모가 크고, 재무적 정보를 획득하기 쉬운 대기업이나 대규모 대출에 집중하는 것보다는 심사 기법 등의 역량 개발을 통해 가계대출, 중소기업 대출에도 경영역량을 집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구본일, 엄영호, 추연욱(2008), "평균-VaR 기준과 최적 포트폴리오 선택," 재무관리연구, 26(1), 65-188.
  2. 박정희, 변현수(2010), "국내은행의 비이자영업과 수익변동성," 한국경제통상학회, 28(1), 1-24.
  3. 박철민(2011), "은행의 생산성 및 경영성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산업경제연구, 24(2), 655-672.
  4. 서지용(2012), "은행의 이익 및 부실여신 변동성에 관한 연구 : 은행 규모 및 산업의 시장 집중도를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25(4), 2529-2548.
  5. 이재화(2009), 수익다변화가 은행의 경영성과 및 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 : 66개국 상업은행을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6. 이상욱(2015). "서비스산업 대출과 은행이익 변동성," 한국상업교육학회, 29(3), 123-138.
  7. 장옥희(2002), 국내은행의 수익성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외국은행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8. 한정규(2010), 이익 변동성과 이익 예측성 - 한국 기업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9. 홍정효, 고보현(2009). "은행의 수익성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산업경제연구, 23(2), 889-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