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nfluence of Urban Environment on the Generation of Thermal Diseases

도시 환경이 온열질환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이수미 (한국교통대학교 도시.교통공학과) ;
  • 권일 (한국교통대학교 도시.교통공학과) ;
  • 김용진 (한국교통대학교 도시.교통공학과)
  • Received : 2019.09.19
  • Accepted : 2019.11.11
  • Published : 2019.12.28

Abstract

The deterioration of the urban heat environment due to climate change and the occurrence of heat-related diseases have emerged as one of the major social problems. This has led to more research on climate change, including heat waves, but it is mainly focused on climate factors. However,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accelerates the summer heat wave, and the increasing trend of heat-related patients in urban areas suggests the impact of the city's environment.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phys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urban areas on heat-related patient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ratio of the total area of residential, commercial and industrial facilities, the main source of heat energy locality, among the land use status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road area and the green area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and negative The population density and the percentage of people aged 65 or older, the percentage of people living alone and the proportion of people receiving basic living were all shown to be significant, with only the ratio of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ratio of population density having negative eff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sed to develop urban policy alternatives related to local warming patients.

기후변화로 인한 도시열환경 악화, 온열질환자 발생은 중요한 사회 문제 중 하나로 대두되었다. 이에 폭염 등의 기후변화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졌으나 주로 기후요소에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도시열섬현상은 여름철 폭염을 가속화시키며, 도시지역에서의 온열질환자가 급증하는 추세로 미루어 도시의 환경의 영향을 짐작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를 대상으로 도시지역의 물리적·사회적 특성이 온열질환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음이항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토지이용현황 중 주요열에너지방출원인 주거·상업·공업시설 연면적의 비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도로면적과 녹지면적은 각각 양과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특성 변수에 포함된 인구밀도와 65세 이상 인구 비율, 독거노인 비율, 기초생활수급자 비율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독거노인 비율과 인구밀도 비율만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는 지역별 온열질환자와 관련한 도시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기상청(관계부처합동), 2018년 이상기후 보고서, 기상청, 2018.
  2. 장재연, "기후변화, 지구온난화가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 Orbis Sapientiae, 제6호, pp.159-175, 2009.
  3. https://blog.naver.com/with_msip/221346979194, 2018.10.6.
  4. 신호성, 이수형, "기후변화 건강 취약성 평가지표 개발, 환경정책연구," 환경정책연구, 제13권, 제1호, pp.69-93, 2014. https://doi.org/10.17330/JOEP.13.1.201403.69
  5. M. Kolokotroni, I. Giannitsaris, and R. Watkins, "The effect of the London unban heat island on building summer cooling demand and night ventilation strategies," Solar Energy, Vol.80, No.4, pp.389-392, 2006.
  6. 김용진, 강동화, 안건혁,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열섬현상 특성 변화와 도시설 계적 대안 모색에 관한 기초연구," 도시설계, 제12권, 제3호, pp.5-14, 2011(6).
  7. 오규식, 홍재주, "도시공간 구성요소와 도시열섬현상의 관련성 연구," 도시설계, 제6권, 제1호, pp.47-63, 2005.
  8. A. M. Coutts, "Investigating the climatic impact of urban planning strategies through the use of regional climate modeling,"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28, pp.1943-1957, 2008. https://doi.org/10.1002/joc.1680
  9. 제민희, 정승현, "토지이용 유형별 도시열섬강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1호, pp.1-12,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11.001
  10. 조혜민, 하재현, 이수기, "도시열섬현상과 사회적 취약계층의 공간적 분포 특성분석," 한국도시행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129-148, 2015.
  11. 김지영, 이대근, Jan Kysely, "한국 주요도시의 폭염에 대한 기후 순응도 특성," 대기, 제19권, 제4호, pp.309-318, 2009.
  12. 정다은, 임숙향, 김도우, 이우섭, "기후요소가 온열질 환자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후변화학회지, 제7권, 제2호, pp.205-215, 2016. https://doi.org/10.15531/KSCCR.2016.7.2.205
  13. 이나영, 조용성, 임재영, "폭염으로 인한 기후변화 취약계층의 사망률 변화 분석 : 서울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1호, pp.456-484, 2014. https://doi.org/10.15709/HSWR.2014.34.1.456
  14. M. Kolokotroni and R. Giridharan, "Urban heat island intensity in London," Solar Energy, Vol.82, No.11, pp.987-998, 2008.
  15. 김도우, 정재학, 이종설, 염종민, "시군구단위 폭염취약지도," 한국기상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64-65, 2015.
  16. 질병관리본부, 2017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신고현황 연보, 질병관리본부, 2017.
  17. 김준식, 이동근, 성선용, 정승규, 박종훈, "정규화 지수를 이용한 토지이용에 따른 도시열섬 취약지 특성 분석- 대구시 주거지역을 대상으로," 국토계획, 제50권, 제5호, pp.59-72, 2015. https://doi.org/10.17208/jkpa.2015.08.50.5.59
  18. 여인애, 이정재, 윤성환, "도시의 건폐율 및 용적률이 도시기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태양에너지학회논문집, 제29권, 제3호, pp.19-27, 2009.
  19. 조희선, 정유진, 최막중, "도시공간특성이 열섬현상에 미치는 영향," 환경정책, 제22권, 제2호, pp.27-43, 2014.
  20. 김태호, 백종인, 반영운, "폭염으로 인한 건강 피해와 사회.경제적 요인 간 관계분석," Crisisonomy, 제12권, 제5호, pp.67-78, 2016. https://doi.org/10.14251/crisisonomy.2016.12.5.67
  21. 정진성, 박종하, "성범죄의 유형별 . 지역특성별 거시원인 연구: 전국 읍면동을 대상으로 한 음이항회귀분석," 통계연구, 제20권, 제2호, pp.70-92, 2015.
  22. 이일현, Easy Flow 회귀분석, 한나래출판사, 2014.
  23. 김수봉, 김기호, 조진희, "도시열섬현상의 원인과 대책," 환경과학논집, 제6권, pp.63-89, 2001.
  24. 허정훈, 친환경 열섬 완화 도로포장재를 사용한 도시온도상승 억제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3-6, 2013.
  25. 강형진, 권순만, "지역별 심뇌혈관 질환 사망률의 차이 및 영향요인," 보건행정학회지, 제26권, 제1호, pp.12-23, 2016. https://doi.org/10.4332/kjhpa.2016.26.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