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mpirical Study on the Participatory Use of K-Pop Video Contents

케이팝 콘텐츠의 참여적 이용에 관한 연구 : 유튜브 콘텐츠 관계망분석(SNA)을 중심으로

  • 김현진 (숙명여자대학교 미디어학부) ;
  • 안민호 (숙명여자대학교 미디어학부)
  • Received : 2019.09.23
  • Accepted : 2019.11.27
  • Published : 2019.12.28

Abstract

It is apparently clear that K-pop has been expanding its influence overseas, with its high growth rate. As a result, attempts have been mad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K-Pop in various academic fields. This research quantitatively used the participatory use process of K-Pop contents in voluntary participation and dissemination of the audience in the Trans-Media environment. The author examined the use of participatory K-Pop contents from the view point of reparability through big data content analysis. It has been revealed that K-Pop is spreading globally through social media, fans of various countries like to play K-Pop, and they make up their own content and form a participatory culture. In addition, we looked at when the moments of momentum in which participatory use is soaring were popular content and who was the publisher.

본 연구는 유튜브 케이팝 콘텐츠 이용과 확산에 대한 연구로, 빅데이터와 사회네트워크 방법론을 활용해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주요 케이팝 콘텐츠 게시채널 60개를 선정하고 이들이 중복 조회자들(co-viewers)에 의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60개 게시자들 각각의 양자 관계를 보여주는 스퀘어 매트릭스(60×60)를 만들고, 그것에 근거해 네트워크 연결정도인 네트워크 밀도(Density), 하위 군집(Component), 군집 간 연결 정도를 파악했다. 분석된 60개 유튜브 케이팝 게시자들 중 2개를 제외한 58개의 게시자들은 커다란 하나의 연결망을 구성하고 있었다. 전체 연결망은 다시, 방송사 중심의 군집, 기획사·가수 중심의 군집, UGC 중심의 군집 등 3개의 서로 다른 하위 군집을 만들고 있었다. 또 각 게시자들은 네트워크 위치와 특성을 소속군집, 내외향중심도(In-out DegreeCentrality),매개중심도(Betweenness Centrality)와 같은 네트워크 변수들을 이용 측정했다. 방송사 중심 군집과 기획사·가수 중심의 군집에 비해 독립적인 UGC 군집은 상대적으로 규모도 작고 밀도도 낮았다. 연결빈도의 절대적 크기를 설명하는 내외향중심도(In-out Degree Centrality)를 보면 국내 방송사나 기획사, 가수 유튜브가 참여적 개인 유튜브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일부 해외의 기업형 UGC 채널들의 중심도는 국내 방송사나 기획사 못지않았다. 서로 다른 채널과 군집을 이어주는 매개적 역할 정도를 보여주는 매개 중심도는 절대적 연결량과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국내 방송사나 기획사, 가수 유튜브 중 매개 중심도 상위 10위 속하는 것은 7위 tvN이 유일했다. 네트워크를 하나로 이어주는 중요한 매개적 역할은 버즈피드(Buzzfeed)와 같은 해외 UGC 채널들이 담당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튜브 케이팝 네트워크의 글로벌 확산 과정에 다양한 유형의 적극적 참여자들이 활동하는 트랜스미디어 환경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Keywords

References

  1. 홍석경, 박대민, 박소정, "한류연구의 지식연결망 분석," 한국언론학보, 제61권, 제6호, pp.318-353, 2017.
  2. 고희진, "방탄소년단 신곡 '아이돌' 뮤비, 공개 나흘 만에 1억뷰 돌파," 경향신문, 2018.08.29.
  3. 김예란, "리액션 비디오의 주목경제," 방송문화연구, 제24권, 제2호, pp.161-192, 2012. https://doi.org/10.22854/SBC.2012.24.2.161
  4. 안진, 최영, "인터넷 개인방송 시청공동체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30권, 제2호, pp.5-53, 2016.
  5. 김앵아, 오영훈, "포털사이트 TV콘텐츠 큐레이션에 나타난 스낵컬처 특성 분석," 문화교류연구, 제6권, 제2호, pp.109-128, 2017.
  6. Andreas Kaplan and Michael Haenlein, "Users of the World, Unite!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Social Media," Business Horizons, Vol.53, pp.59-68, 2010. https://doi.org/10.1016/j.bushor.2009.09.003
  7. H. Jenkins, Convergence culture: Where old and new media collide. New York , NY: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6, 김정희 원(역), 서울: 비즈앤비즈, 2008.
  8. H. Jenkins, S. Ford, and J. Green, Spreadable media: Creating value and meaning in a networked culture, NYU Press, 2013.
  9. 김은미, 권경은, "문화자본과 확장된 '문화소비'," 한국언론정보학보, 제69호, pp.111-138, 2015.
  10. 김은미, 양소은, "관계망과 인터넷리터러시가 청소년의 온라인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61권, 제3호, pp.121-154, 2017.
  11. T. Terranova, Network culture : Politics for the information age, London:Pluto, 2004.
  12. 백욱인, "미디어 탈경계화," Trans-Humanities, 제3권, 제1호, pp.185-207, 2010.
  13. 김치호, "MCN 사업의 현황과 과제," 인문콘텐츠, 제40권, pp.167-187, 2016.
  14. J. D. Bolter and R. Grusin,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Cambridge, MA: The MIT Press, 1999, 이재현(역), 재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15. J. D. Bolter, "The desire for transparency in an era of hybridity," Leonardo, Vol.39, No.2, pp.109-111, 2006. https://doi.org/10.1162/leon.2006.39.2.109
  16. W. J. Ong, Interface of the word. Ithaca , NY: Cornell University Press, 1977.
  17. 이규탁, "방탄소년단: 새로운 세대의 새로운 소통 방식, 그리고 감정노동," 문화과학, 제93권, pp.278-291, 2018.
  18. 김덕중, 남상현, 김아현, 2017 글로벌 한류 트렌드, 서울:KOFICE, 2017.
  19. 김수아, "소셜 웹 시대 팬덤문화의 변화,"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31권, 제1호, pp.45-94, 2014.
  20. 김용학, 사회연결망 분석, 서울: 박영사,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