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the Individual Openness and Emotional Isolation on the Tolerance of Extramarital Relationship

개인의 개방성과 정서적 소외감이 본인 및 배우자의 혼외관계 용인에 미치는 영향

  • 이원준 (창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이희진 (한동대학교 언론정보문화학부)
  • Received : 2019.10.31
  • Accepted : 2019.12.04
  • Published : 2019.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acceptance of my extramarital relations, as well as the effects of the individual's openness and emotional isolation on the tolerance of spouse's extramarital affairs. This study is an empirical research based on data analysis obtained by surveying 655 adult men and women. The notabl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while the openness and emotional isolation does not have direct effect on the tolerance of spouse's extramarital relationship, the direct effect of that on the acceptance of my extramarital relationship is significant. Second, the more acceptance of my extramarital relationship, the less tolerance of spouse's extramarital relationship strongly. Thirdly,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the acceptance of my extramarit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openness and the tolerance of spouse's extramarital relationship is proved. Moreover,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the acceptance of mine between the emotional isolation and the tolerance of spouse's is also significant. That is, the effect of individual openness and emotional isolation on the tolerance of spouse's extramarital relationship is influenced by the acceptance of my extramarital relationship. The perception of my extramarital relationship affect the perception of spouse's extramarital relationship. Some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regarding extramarital relationship are discussed based on the study's findings.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개방성과 정서적 소외감이 배우자의 혼외관계 용인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본인의 혼외관계 용인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남녀 655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혼외관계인식과 관련요인들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 분석 결과 밝혀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성'과 '정서적 소외감'이 배우자의 혼외관계 불용인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자신의 혼외관계 용인에 미치는 직접효과(개방성, .244***; 정서적 소외감, .164**)는 유의하였다. 둘째, '본인의 혼외관계 용인'과 '배우자 혼외관계 불용인' 간에는 강한 부적 상관(-.493**)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개인의 개방성이 '배우자 혼외관계 불용인'에 미치는 효과에 '본인 혼외관계 용인'의 완전 매개효과(-.081; 하한값 -.140, 상한값 -.027 ), 그리고 '정서적 소외감'이 '배우자 혼외관계 용인'에 미치는 효과에 '본인의 혼외관계 용인'의 완전 매개효과(-.120; 하한값 -.189, 상한값 -.061 )가 각각 입증되었다. 개인의 개방성과 정서적 소외감이 배우자의 외도에 미치는 영향은 본인의 혼외관계에 대한 용인 수준에 의해서 결정적으로 영향을 받고, 본인의 혼외관계에 대한 인식이 배우자의 혼외관계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배우자 외도문제 대처와 관련하여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모색하고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E. L. Deci and R. M. Ryan,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Vol.11, No.4, pp.227-268, 2000. https://doi.org/10.1207/s15327965pli1104_01
  2. 남은주, 남녀의 외도원인에 관한 연구,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3. 양다진, 조희선, "기혼남녀의 혼외관계에 관한 연구," 생활과학, 제8권, pp.51-76, 2005.
  4. 이영숙, 이영화, "혼외관계에 대한 허용도에 미치는 혼외성경험과 성별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7권, 제4호, pp.631-638, 2008. https://doi.org/10.5934/KJHE.2008.17.4.631
  5. 함인희, "한국가족 내 부부간 성관계에 투영된 젠더 격차(Gender Gap)," 여성학논집, 제29권, pp.175-210, 2012.
  6. 이영숙, 박경란, 전귀연, 혼외관계의 이해, 서울: 학지사, 2000.
  7. 이영화, 이영숙, "기혼남성의 혼외관계 경험과 관련변인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6권, 제3호, pp.523-533, 2007. https://doi.org/10.5934/KJHE.2007.16.3.523
  8. T. McGinnis, More than just a friend: The joys and disappointments of extramarital affairs. Prentice Hall, Inc, 1981.
  9. 공미혜, "혼외관계를 경험한 기혼여성의 성에 대한 인식과 행동,"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7권, 제2호, pp.1-20, 2002.
  10. 천주현, 성별에 따른 혼외성관계 허용태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11. 구명숙, "기혼여성의 혼외관계의 경험과 성적 주체성," 여성연구논집, 제13권, pp.187-189, 2002.
  12. 한국형사정책연구원, 간통의 실태 및 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1.
  13. 김예숙, 외도, 결혼제도의그림자인가, 형성사, 1995.
  14. M. C. Green and J. Sabini, "Gender, socioeconomic status, age, and jealousy: emotional responses to infidelity in a national sample," Emotion, Vol.6, No.2, pp.330-334, 2006. https://doi.org/10.1037/1528-3542.6.2.330
  15. W. F. Harley, His needs, her needs: Building an affair-proof marriage , Revell, 2011.
  16. 신성자, "성역할 고정관념과 개방결혼에 대한 인식이 성적외도 실행의도에 미치는 영향:혼외관계 수용성의 매개효과와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3호, pp.199-211,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3.199
  17. E. T. Fitzgerald, "Measurement of openness to experience: A study of regression in the service of the ego,"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29, pp.655-664, 1966. https://doi.org/10.1037/h0036629
  18. S. K. Whitbourne, "Openness to experience, identity flexibility, and life change in adul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0, No.1, pp.163-168,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0.1.163
  19. 김애순, "중년위기감(3): 개방성향과 직업, 결혼, 자녀관계가 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13권, 제2호, pp.1-14, 1993.
  20. H. Vincenzi and F. Grabosky, "Measuring the emotional/social aspects of loneliness and isolation,"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Vol.2, No.2, pp.257-270, 1987.
  21. M. D. Griffiths, "The cognitive psychology of gambling," Journal of Gambling Studies, Vol.6, No.1, pp.31-64, 1994. https://doi.org/10.1007/bf01015747
  22. 박재진, "기본적 귀인오류현상에 대한 시간적 거리감의 조절효과: 유명인의 제품 보증 차원에서의 검증," 한국언론학보, 제5권, 제4호, pp.293-306, 2012.
  23. D. T. Gulbert and P. S. Maline, "The correspondence bias," Psychologcal Bulletin, Vol.117, No.1, pp.21-38, 1995. https://doi.org/10.1037/0033-2909.117.1.21
  24. A. P. Thompson, "Emotional and sexual components of extramarital relation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46, No.1, pp.35-42, 1984. https://doi.org/10.2307/351861
  25. P. T. Costa and R. R. McCrae, Neo PI/FFI manual supplement, Odessa ,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89.
  26. 이희진, "한국에 대한 경쟁의식과 문화유입수용성이 중국인들의 자국방어적 대응에 미치는 영향: 합리적 분쟁해결인식의 매개효과와 한류호감도의 조절효과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호, pp.277-288,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1.277
  27. P. E. Shrout and N. Bolger, "Mediations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Vol.7, No.4, pp.422-445, 2002. https://doi.org/10.1037/1082-989X.7.4.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