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소상공인의 창업 성공요인에 대한 정성적 연구

Examining the Success Factors of Start-ups of Small Businessmen in Qualitative Perspective

  • 홍한국 (동의대학교 경영정보전공) ;
  • 김녹현 (동의대학교 경영정보전공) ;
  • 김철민 (동의대학교 e비즈니스전공)
  • 투고 : 2019.09.30
  • 심사 : 2019.11.04
  • 발행 : 2019.12.28

초록

최근 경제위기의 여파로 국내 산업에서 소상공인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전체 사업체 중 86%를 차지할 정도로 소상공인 창업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1년 내 40% 정도 폐업하는 등 사업의 성공률은 낮아 소상공인의 사업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소상공인의 창업 성공에 대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소상공인의 성공 및 성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 연구는 대부분 정량적 분석이며, 실제 사례연구 등의 정성적 분석은 학술논문에서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소상공인의 창업 성공에 대한 광범위한 사례를 분석한 후, 유형 별로 대응방안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소상공인이 창업하는 준비 과정에서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실용적 교훈을 제시하였다.

Though start-ups by small businessmen are increasing year by year, the success rate of start-ups have been low.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look at various ways to improve the success rate of start-ups by small businessmen. Most previous studies on the issue have focused on identifying influential factors that lead to the success and growth of start-ups by them, mostly based upon quantitative perspectives. Few has approaced with qualitative perspective such as actual case studies in academic papers. In this study, after analyzing a wide range of successful cases of start-ups by small businessmen, we will develop countermeasures by business types and suggest practical lessons that can be appropriately utilized in starting a new small business.

키워드

참고문헌

  1. 이강현, 이호택, "정부의 창업지원사업이 창업가정신과 창업기업역량,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영컨설팅연구, 제19권 제1호, pp.43-55, 2019.
  2. 정갑수, 설병문, "소상공인 지원제도가 경남지역 소상공인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제11권 제2호, pp.221-232, 2016.
  3. 성옥석, 박승락, "소상공인 창업자특성이 경영마인드 개선과 역량제고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제28권 제2호, pp.581-599, 2015.
  4. 남윤형, "소상공인 회전문창업 실태와 해법," 중소기업포커스, 중소기업연구원, 16-3호, 2016.
  5. 성창용, 정호연, "예비창업자를 위한 창업성공요인 분석," 한국창업학회지, 제11권, 제1호, pp.149-167, 2016. https://doi.org/10.24878/TKES.2016.11.1.149
  6. 나상균, "소상공인 창업자의 특성, 창업성공요인 및 창업성과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경영과 정보연구, 제35권, 제4호, pp.251-268, 2016.
  7. G. T. Lumpkin and G. G. Dess, "Clarifying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Construct and Linking it to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1, No.1, pp.135-172, 1996. https://doi.org/10.5465/AMR.1996.9602161568
  8. 중소기업청, 전국소상공인 실태조사 보고서, 2013.
  9. 박동수, "소상공경영의 연구명제 탐색," 창업.중소기업경영지원센터, 2000.
  10. 정종희, 조지윤, "소상공인 성공창업요인 분석에 관한연구," 창업학회지, 제9권, 제2호, pp.137-159, 2014.
  11. 김남표, 권영주, "소상공인의 창업준비성, 사회적지 지, 정부의 창업컨설팅지원과 창업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창업학회지, 제13권, 제3호, pp.94-118, 2018. https://doi.org/10.24878/TKES.2018.13.3.94
  12. D. R. Gnyawali and D. S. Fogel, "Environments for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제18권, 제4호 pp.43-62, 1994.
  13. 윤종덕, 창업기업의 성공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 서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4. 신유섭, 창업지원사업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5. 이병권, 창업동기 요인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16. 오재우 외, "창업준비성이 창업 초기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벤처창업연구, 제10권, 제4호, pp.67-80, 2015.
  17. 박재환, 안태욱, "기업가정신과 창업준비가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벤처창업연구, 제11권, 제1호, pp.39-47, 2016. https://doi.org/10.16972/APJBVE.11.1.201602.39
  18. 박성희, 소상공인의 성격특성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19. 이강현, 이호택, "정부의 창업지원사업이 창업가정신과 창업기업역량,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영컨설팅연구, 제19권, 제1호, pp.43-55, 2019.
  20. 유래현, 중소기업 경영자의 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21. 윤기선, 박정섭, "소상인사업자 경영교육에 따른 기업가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물류학회지, 제27권, 제3호, pp.67-77, 2017.
  22. 소상공인진흥원, 소상공人 2010년 겨울 호, 2010.
  23. 문정훈, 배미정, "SNS 통해 고객과 마음 소통 네트워크 '모색자 전략'으로 고비용 리스크 이겨내," 동아비즈니스리뷰, 281호, 2016.
  24. 장지남, 지역 소상공인의 SNS 마케팅 사례연구,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5. 백필규 외, "소상공인 협업화 활성화 방안 연구," 중소기업연구원, 2012.12호, 2012.
  26. 소상공인 정책토론회, "소상공인 정책기관의 조직과 역할," 자료집, 2017년 5월29일.
  27. 이민정, 김양중, "할인마트의 거리, 규모, 상품유사도가 소상공인 이윤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개발학회학술대회, Vol.2018 No.11, pp.187-202,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