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utual Influence of Indicators of the Real Estate Auction Market

부동산 경매시장 지표간의 상호 영향에 관한 연구

  • 정대석 (고려사이버대학교 부동산학과)
  • Received : 2019.09.24
  • Accepted : 2019.10.21
  • Published : 2019.12.28

Abstract

If the real estate auction market indicators are relevant and meaningful, they can be meaningful information to the real estate market in connection with general real est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ime-supply logic is applied in auction market by identifying time series correlations for the number of auctions, the auction rate, and the auction price rate, which are major indicators of real estate auction market. The real estate typ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residential real estate, land, and commercial real estate. The monthly time series of auctions in the metropolitan real estate were compiled for 96 months. Based on this data, the auction market model for each type was established and the mutual influences between the indicator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supply and demand indicators, the number of auctions and the auction rate, showed the nature of supply and demand according to the supply and demand logic of the market. However, the correlation was high for residential real estate and relatively low for commercial real estate. the auction rate has a long-term impact on price indicators, especially residential real estate, which is quantitatively explanatory and significant. The three auction-related indicators differ in degree, but there is a correlation, especially for residential real estate, which can be useful information for policy making.

부동산 경매시장 지표가 상관성이 있고 유의미하다면 일반 부동산과 연계되어 부동산 시장에 의미 있는 정보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부동산 경매시장의 주요 지표라고 할 수 있는 경매건수, 매각률(낙찰률), 매각가율(낙찰가율)에 대한 시계열적 상관성을 규명하여 시장 수급 논리가 경매시장에서도 적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부동산 유형은 주거용 부동산, 토지, 상업용 부동산 세 가지로 구분하여 96개월간 수도권 부동산 경매 관련 월별 시계열 자료를 집계하였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유형별 경매 시장 모형을 구축하고 지표 간 상호 영향 관계를 각각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급지표인 경매건수와 매각률은 시장의 수급 논리에 따른 공급 및 수요의 성격을 보였다. 다만 그 상관성은 주거용 부동산의 경우가 높았으며 상업용 부동산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유형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매각률은 가격 지표에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주거용 부동산 경매시장의 지표는 계량적으로 설명력이 높고 유의미하였다. 경매 관련 세 지표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상관성이 존재하고 특히 주거용 부동산의 경우는 의미 있는 정보로서 정책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전해정, "주택 매매시장과 경매시장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부동산연구, 제23권, 제2호, pp.117-132, 2013.
  2. 백석기, 정재호, "거시경제변수가 공매시장에 미치는 영향 연구," 부동산학보, 제62권, 제2호, pp.19-32, 2015.
  3. 장문덕, 박철형, "주택매매시장과 경매시장간 가격 및 변동성상호작용에 관한 동태적 분석," 부동산연구, 제26권, 제3호, pp.83-96, 2016.
  4. 강준, 김지우, 이현준, 오경주, "부동산 경매 낙찰가율 시계열의 Chaos 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제28권, 제2호, pp.371-381, 2017. https://doi.org/10.7465/jkdi.2017.28.2.371
  5. 전해정, "수도권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제72권, pp.32-43, 2018.
  6. 임재만, "주택거래량은 주택가격 변동을 설명할 수 있는가?," 국토연구, 제69권, pp.3-18, 2011. https://doi.org/10.15793/KSPR.2011.69..001
  7. 정주희, 김호철, "수도권의 주택가격과 거래량 간 인과성 및 동태적 관계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46권, 제6호, pp.131-148, 2011.
  8. 김리영, 안지아, "소비자의 주택가치 전망이 가격 및 거래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제48권, 제3호, pp.403-417, 2013.
  9. 윤종주, 아파트 거래량의 권역별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10. 김경환, 김종석 역, N.Gregory Mankiw 저, 맨큐의 경제학, 교보문고, 2006.
  11. 박완규, 홍성표 역, Damodar N. Gujarati, Dawn C. Porter 저, 계량경제학-제5판, 도서출판 지필, 2009.
  12. 김명직, 장국현, 금융시계열분석-제2판, 도서출판 경문사, 2013.
  13. 서성수, 정동준, "아파트 매매시장과 경매시장의 상호관계에 관한 실증 연구," 주택연구, 제21권, 제1호, pp.37-57, 2013.
  14. 이재욱, 방두완, "경매특성 및 거시경제변수가 낙찰가율에 미치는 영향분석," 부동산연구, 제25권, 제2호, pp.71-83, 2015.
  15. 이택수, 이주형, "부동산 개발사업의 유형별 투자결정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호, pp.456-466,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1.456
  16. 임의택, 이호병, "수도권 아파트의 경매낙찰가율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부동산학보, 제69권, pp.116-130, 2017.
  17. 전해정, 박헌수, "주택시장과 거시경제변수 요인들간의 동태적 상관관계 분석," 주택연구, 제20권, 제2호, pp.125-147, 2012.
  18. 정대석, "주택 유형별 거래량의 동태적 상관관계 분석," GRI연구논총, 제17권, 제3호, pp.111-135, 2015.
  19. 조재경, 이대종, 안재홍, 이명훈, "도시성장관리 지표설정에 관한 연구-경기도 31개 시 군을 평가 대상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754-775,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754
  20. 허윤경, 장경석, 김성진, 김형민, "주택 거래량과 가격 간의 그랜저 인과관계 분석 : 서울 아파트 시장을 중심으로," 주택연구, 제16권, 제4호, pp.49-70,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