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Children's Elementary School Entrance on Working Conditions of Employed Mothers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이 취업모의 근로조건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9.09.06
  • Accepted : 2019.11.13
  • Published : 2019.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hildren's elementary school entrance to working conditions of employed mothers. The data from 4th to 8th wave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were used for analysis. Specifically, we examined changes in wages, working hours and regular employment of employed mothers after their children entered elementary schools. We adopted Heck selection model for unbalanced panel data after controlling sample selection bias, and compare results of analysis for unbalanced and balanced panel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s elementary school entrance reduces employed mothers' wage, working hours and regular employ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other tend to leave regular job and could not entry into decent job when their children are in elementary school.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이 취업모의 근로조건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살펴보는 것이었다. 분석을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실시하는 한국아동패널 4-8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이 어머니의 임금, 근로시간, 상용직 취업확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의 내생성(endogeneity)를 통제하기 위해 균형패널 데이터를 대상으로 회귀불연속설계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와 불균형패널 데이터를 대상으로 Heckman 선택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은 어머니의 임금수준, 근로시간, 상용직 취업확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이 단순히 여성의 경력단절 문제뿐만 아니라 양질의 일자리에 진입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3037#quick_02, 2019.5.31.
  2. 정성미, "금융위기 이후 여성 노동시장의 변화와 특징," 월간 노동리뷰(2015년 5월호), 한국노동연구원, pp.35-51, 2015.
  3. 김대일, "기혼 여성의 고용 변화와 자녀의 효과," 경제학연구, 제66권, 제3호, pp.123-166, 2018. https://doi.org/10.22841/KJES.2018.66.3.005
  4. https://news.joins.com/article/22191786, 2019.5.31
  5. 김은설, 배윤진, 조숙인, 이예진, 송신영, 임준범, 박은영, 김신경, 김은정,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6(한국아동패널 II)," 육아정책연구소, 2016.
  6. 윤자영, "초등학교 교육지원활동과 모의 취업," 여성경제연구, 제13권, 제2호, pp.183-212, 2016.
  7. http://news.joins.com/article/19753959, 2019.5.31.
  8. R. Easterlin, "An economic framework for fertility analysis," Studies in Family Planning, Vol.6, No.3, pp.54-63, 1975. https://doi.org/10.2307/1964934
  9. M. Budig, J. Misra, and I. Boeckmann, "Work-Family Policy Trade-Offs for Mothers?," Work and Occupations, Vol.43, pp.119-177, 2016. https://doi.org/10.1177/0730888415615385
  10. B. Pettit and J. Hook, "The Structure of Women's Employment in Comparative Perspective," Social Forces, Vol.84, pp.779-801, 2005. https://doi.org/10.1353/sof.2006.0029
  11. 김현숙, 성명재, "자녀세액공제제도 도입이 기혼여성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 공공경제, 제12권, 제1호, pp.75-117, 2007.
  12. 최성은, "보육료지원과 기혼여성의 노동공급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제27권, 제2호, pp.85-105, 2011.
  13. 최효미, "기혼 여성의 노동시장참여 및 근로시간 결정시간 결정요인: 어린이집‧유치원 근접성을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 제7권, 제1호, pp.21-46, 2013.
  14. G. Borjas, Labor Economics (7th Ed.), McGraw-Hill Education, 2015.
  15. 박진희, "남편의 미취업이 여성배우자의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 노동정책연구, Vol.9, No.2, pp.43-65, 2009. https://doi.org/10.22914/JLP.2009.9.2.002
  16. J. Angrist and J. S. Pischke, Mostly Harmless Econometr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9.
  17. J. Angrist and J. S. Pischke, Mastering 'Metrics: The Path from Cause to Effec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18. J. Heckman, "The common structure of statistical models of truncation, sample selection and limited dependent variables and a simple estimator for such models," Annals of Economic and Social Measurement, Vol.5, No.4, pp.475-492, 1976.
  19. J. Heckman, "Sample selection bias as a specification error," Econometrica, Vol.47, No.1, pp.153-161, 1979. https://doi.org/10.2307/1912352
  20. 한치록, 계량경제학 강의, 서울: 박영사, 2016.
  21. 우석진, 경제분석을 위한 STATA, 서울: 지필미디어, 2016
  22. 한치록, 패널데이터 강의, 서울: 박영사, 2017.
  23. D. Gujarati, Econometrics by Example, Palgrave Macmillan, 2011.
  24. A. Cameron and P. Trivedi, Microeconomics using Stata, Revised Edition. Stata Press, 2010.
  25. 송헌재, 신우리, "가계부채와 기혼여성 노동공급의 관계 분석," 노동경제논집, 제40권, 제1호, pp.37-68, 2017.
  26. 관계부처 합동, 온종일돌봄체계 구축.운영 실행계획, 2018.
  27. 이재완, "기혼여성의 경력단절 여부와 시간선택제 일자리정책의 효과성 인식: 시간선택제 일자리 이용경험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21권, 제2호, pp.325-351, 2017.
  28. 장수정, 류선정, "여성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일.가정 양립을 위한 방안으로서의 제언," 젠더리뷰, 제39권, pp.4-12, 2015.
  29. 김유휘, 이승윤, "시간선택제 일자리 정책의 분석과 평가," 한국사회정책학회, 제21권, 제3호, pp.93-128, 2014.
  30. 김영옥, "시간선택제 근로 정책이 여성고용률을 높이려면," 젠더리뷰, 2014 봄호, pp.28-35, 2014.
  31. 김진석, 백선희, 정영모, 김소영, 온종일 돌봄체계 구축.운영을 위한 표준모델 개발 및 제도화 방안, 범정부공동추진단, 2017.
  32. J. Angrist and W. Evans, "Children and their Parents' Labor Supply: Evidence from Exogenous Variation in Family Size," American Economic Review, Vol.88, No.3, pp.450-477, 1998.
  33. OECD, employment outlook, 2018.
  34. ILO, Toolkit for mainstreaming employment and decent work, Geneva, 2008.
  35. 최희선, 시간제 근로 현황과 여성의 생애 근로모델, 산업연구원, 2015.
  36. 이주희, "정규직 시간제 일자리 도입의 전제조건과 정책과제," 월간노동리뷰, 2011년 3월호, 한국노동연구원, 2011.
  37. https://hankookilbo.com/News/Read/20170925191882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