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3037#quick_02, 2019.5.31.
- 정성미, "금융위기 이후 여성 노동시장의 변화와 특징," 월간 노동리뷰(2015년 5월호), 한국노동연구원, pp.35-51, 2015.
- 김대일, "기혼 여성의 고용 변화와 자녀의 효과," 경제학연구, 제66권, 제3호, pp.123-166, 2018. https://doi.org/10.22841/KJES.2018.66.3.005
- https://news.joins.com/article/22191786, 2019.5.31
- 김은설, 배윤진, 조숙인, 이예진, 송신영, 임준범, 박은영, 김신경, 김은정,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6(한국아동패널 II)," 육아정책연구소, 2016.
- 윤자영, "초등학교 교육지원활동과 모의 취업," 여성경제연구, 제13권, 제2호, pp.183-212, 2016.
- http://news.joins.com/article/19753959, 2019.5.31.
- R. Easterlin, "An economic framework for fertility analysis," Studies in Family Planning, Vol.6, No.3, pp.54-63, 1975. https://doi.org/10.2307/1964934
- M. Budig, J. Misra, and I. Boeckmann, "Work-Family Policy Trade-Offs for Mothers?," Work and Occupations, Vol.43, pp.119-177, 2016. https://doi.org/10.1177/0730888415615385
- B. Pettit and J. Hook, "The Structure of Women's Employment in Comparative Perspective," Social Forces, Vol.84, pp.779-801, 2005. https://doi.org/10.1353/sof.2006.0029
- 김현숙, 성명재, "자녀세액공제제도 도입이 기혼여성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 공공경제, 제12권, 제1호, pp.75-117, 2007.
- 최성은, "보육료지원과 기혼여성의 노동공급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제27권, 제2호, pp.85-105, 2011.
- 최효미, "기혼 여성의 노동시장참여 및 근로시간 결정시간 결정요인: 어린이집‧유치원 근접성을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 제7권, 제1호, pp.21-46, 2013.
- G. Borjas, Labor Economics (7th Ed.), McGraw-Hill Education, 2015.
- 박진희, "남편의 미취업이 여성배우자의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 노동정책연구, Vol.9, No.2, pp.43-65, 2009. https://doi.org/10.22914/JLP.2009.9.2.002
- J. Angrist and J. S. Pischke, Mostly Harmless Econometr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9.
- J. Angrist and J. S. Pischke, Mastering 'Metrics: The Path from Cause to Effec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 J. Heckman, "The common structure of statistical models of truncation, sample selection and limited dependent variables and a simple estimator for such models," Annals of Economic and Social Measurement, Vol.5, No.4, pp.475-492, 1976.
- J. Heckman, "Sample selection bias as a specification error," Econometrica, Vol.47, No.1, pp.153-161, 1979. https://doi.org/10.2307/1912352
- 한치록, 계량경제학 강의, 서울: 박영사, 2016.
- 우석진, 경제분석을 위한 STATA, 서울: 지필미디어, 2016
- 한치록, 패널데이터 강의, 서울: 박영사, 2017.
- D. Gujarati, Econometrics by Example, Palgrave Macmillan, 2011.
- A. Cameron and P. Trivedi, Microeconomics using Stata, Revised Edition. Stata Press, 2010.
- 송헌재, 신우리, "가계부채와 기혼여성 노동공급의 관계 분석," 노동경제논집, 제40권, 제1호, pp.37-68, 2017.
- 관계부처 합동, 온종일돌봄체계 구축.운영 실행계획, 2018.
- 이재완, "기혼여성의 경력단절 여부와 시간선택제 일자리정책의 효과성 인식: 시간선택제 일자리 이용경험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21권, 제2호, pp.325-351, 2017.
- 장수정, 류선정, "여성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일.가정 양립을 위한 방안으로서의 제언," 젠더리뷰, 제39권, pp.4-12, 2015.
- 김유휘, 이승윤, "시간선택제 일자리 정책의 분석과 평가," 한국사회정책학회, 제21권, 제3호, pp.93-128, 2014.
- 김영옥, "시간선택제 근로 정책이 여성고용률을 높이려면," 젠더리뷰, 2014 봄호, pp.28-35, 2014.
- 김진석, 백선희, 정영모, 김소영, 온종일 돌봄체계 구축.운영을 위한 표준모델 개발 및 제도화 방안, 범정부공동추진단, 2017.
- J. Angrist and W. Evans, "Children and their Parents' Labor Supply: Evidence from Exogenous Variation in Family Size," American Economic Review, Vol.88, No.3, pp.450-477, 1998.
- OECD, employment outlook, 2018.
- ILO, Toolkit for mainstreaming employment and decent work, Geneva, 2008.
- 최희선, 시간제 근로 현황과 여성의 생애 근로모델, 산업연구원, 2015.
- 이주희, "정규직 시간제 일자리 도입의 전제조건과 정책과제," 월간노동리뷰, 2011년 3월호, 한국노동연구원, 2011.
- https://hankookilbo.com/News/Read/20170925191882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