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the Appearance of 'Robot Actor' on the Features of the Theater

'로봇배우'의 등장이 연극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 박연주 (순천향대학교 공연영상미디어학과) ;
  • 오세곤 (순천향대학교 공연영상미디어학과)
  • Received : 2019.09.06
  • Accepted : 2019.10.24
  • Published : 2019.11.28

Abstract

The positive effects of 'robot actor' born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ater (comprehensive, liveness, duality, planning) is due to the collaboration with 'robot' engineers, which increases the comprehensive. It is possible to respond to it, so that various reaction are maintained in every performance, and enhanced illusion can be provided in 'robot' material works in which 'robot actor' plays the role of 'robot'. However, the power focused on the director can reduce the comprehensiceness, the synthesis is reduced, and the 'robot actor' cannot perform the sweat or breath of 'human actor'. In itself, duality is incomplete. In addition, there is a high risk that the improvisation within the scope of planning is likely to occur as a sudden reaction, which may limit the postponement of the 'human actor'. Based on these findings, 'philosophy', 'science' and 'art' can predict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side by sid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study to redefine the direction and identity of arts and theater that should be moved forward.

인공지능 시대에 탄생한 '로봇배우'가 연극의 특성(종합성, 현장성, 이중성, 계획성)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로봇'기술자들과의 협업이 이뤄지므로 종합성이 확대되며, 인공지능에 의한 반응이 가능하므로 매 공연에 다른 현장성이 유지되고, '로봇배우'가 '로봇'의 역할을 맡는 '로봇' 소재 작품에서는 한층 강화된 일루전 제공이 가능하다. 하지만 연출자의 독단으로 종합성이 축소되고, '인간배우'가 흘리는 땀이나 숨결까지 '로봇배우'가 해낼 수는 없기에 현장성의 질이 다르며, '로봇배우'에 대한 관객의 입장에서나 '로봇배우' 자체의 입장에서나 이중성은 불완전할 수밖에 없다. 또한 계획성의 범위 내에서 이뤄지는 즉흥이 돌발적 반응으로 전개될 위험성이 크고 그로 인해 '인간배우'의 연기가 제한되는 한계에 봉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철학''과학' '예술'이 나란히 인공지능의 발전을 예측하여, 앞으로 나아가야 할 예술·연극의 방향과 정체성을 재정립하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newsweekkorea.com/?p=2082, 2018.03.24.
  2.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18&aid=0003856921, 2018.03.24.
  3.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22&aid=0003203303, 2018.03.24.
  4. http://m.news-pap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676, 2018.04.06.
  5. 국지연, "인공지능 시대, 예술과 과학의 미래. 로봇, 인간의 예술을 훔치다," 객석, Vol.6, p.388, 2016.
  6. 남영희, "4.0 시대와 문화 예술," 예술문화비평, 제22호, p.138, 2017.
  7. 김대현, 오세곤, 오은진, 백인식, 고등학교 연극의 이해, 서울특별시교육청, p.21, 2018.
  8.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Result.do?pageSize=10&searchKeyword=%EC%97%B0%EA%B7%B9, 2019.07.10.
  9. 이동욱, "소셜로봇의 도전과제," 로봇공학학회지, 제14권, 제4호, p.38, 2017.
  10. 히라타 오리자, 이홍이, "로봇연극의 개념과 의의," 한국예술연구, 제16호, p.79, p.81, pp.86-87, 2017.
  11. 안호석, 이동욱, 최동운, 이덕연, 허만홍, 이호길, "공연 로봇을 위한 로봇의 동작 구성 프로그램," 2012 제27회 ICROS 학술대회, pp.27-28, 2012.
  12. http://www.whitepap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394, 2019.10.16.
  13. http://www.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5405, 2018.03.27.
  14. http://www.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3165, 2019.10.13.
  15.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802271546001&code=620100, 2019.10.16.
  16. 김영학, "로봇연극에 나타난 언캐니 연구," 드라마연구, 제16호, pp.86-87, 2017.
  17. 이유선, 김동언 "로봇배우를 활용한 공연예술 활성화 방안연구:'에버' 중심으로," 공연문화연구, 제22집, pp.382-383, p.390, 2011.
  18. https://www.yna.co.kr/view/AKR20180227160700053, 2019.10.13.
  19. 정하니, 유주연, "4차 산업혁명 시대, 배우예술의 영역과 그 경계," 연기예술연구, 제13권, p.100, 2018.
  20. 김영아, "인형의 역할과 가능성에 대한 연구," 한국연극학, 제60호, p.308, 2016.
  21.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Result.do?pageSize=10&searchKeyword=%EB%B0%B0%EC%9A%B0, 2019.06.18.
  22. 파트리스 파비스 지음, 신현숙, 윤학로 옮김, 연극학사전, 현대미학사, p.411, pp.449-451, 1999.
  23. 이동욱, 이호길, 김홍석, 박현섭, "연극공연을 위한 휴머노이드 로봇의 HRI 기술,"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9호, p.102, 2009.
  24. 정문열, "인간과 기계의 창의력," 월간미술, 제385호, pp.78-79, 2017.
  25. 고대성, 형현준, 윤한걸, 이동욱, "무대에서 상대의 위치 및 상황을 고려한 인간형 로봇의 반응동작 구현," 한국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제28호, p.458, 2018.
  26. 김성빈, "미래연극의 성향," 새국어교육, 제77호, p.655, 2007.
  27. 마가렛 크로이든 지음, 송혜숙 옮김, 20세기 실험극, 현대미학사, p.123, pp.163-166,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