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Korea Folktale of Sign Language Place Names

전국 수어(手語)지명의 유래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9.08.23
  • Accepted : 2019.11.10
  • Published : 2019.11.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Korean sign Language of the linguistic form and the etymological forms about the origins of the Korean national sign languages. The general sign language has been shown through previous research all of place names from Chinese character except Seoul and Lmsil. And then, Sign language's form and origins which are current using in order to examine what kind of feature were analysed through interviews and publications in Korean association of the deaf people. As a result, it was analysed that was composed majority. indigenous sign language Korean place names were made and used by deaf than loan word character of Chinese characters, Hangul and loanword. When we consider that place names were correspond to a precious cultural heritage, representing the history with the culture and identity of the relevant area, we can worth of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to the abundant iconicity in the name of Sui. On the other hand the indigenous sign language korea place manes can worth deaf culture or korean sign language. Even lf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area have been changed or local product was disappeared in this situation by The origin of sign language reach in modern time local specialty by geographical form lt continued over generation. This can be regarded as the Korean sign language of the form in the way of visual. lt will be very valuable heritage in the preservation deaf culture.

이 연구는 전국 수어지명의 유래에 대한 것으로 수어지명에서 나타나는 한국수어 형태론적 특성과 어원론적 형태를 통해 유래를 알아보고자 전국의 한국농아인협회 각 시·군 지회를 통한 간행자료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어지명에서는 한자, 한글, 외래어 등에서의 차용성보다 토박이 수어지명 즉, 농인에 의해 만들어지고, 사용된 수어지명이 대다수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명은 해당 지역의 문화, 정체성 등과 함께 역사를 나타내는 소중한 문화유산에 해당한다고 볼 때에 수어지명에 나타난 풍부한 도상성, 토박이 수어지명은 농문화 혹은 한국수어에 있어 보존, 전승의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수어지명의 유래가 해당 지역의 특산품, 지리적 특성 등에 의한 수어지명이 현대에 이르러 그 지역의 지리적 특성이 변화되었거나, 특산품 자체가 사라진 상황에서도 지속적으로 여러 세대를 거쳐 이어져 오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수어지명에서 볼 수 있는 농인의 시각중심적인 한국수어의 특성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으며, 농문화사적인 자료보존 차원에서 매우 값진 유산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천소영, "지명.지명어의 의의," 畿甸語文學, Vol.14-15, pp.313-330, 2003.
  2. 윤홍기, "한국지명의 문화적 특징에 대한 예비토론," 한국문화역사지리, Vol.24, No.3, pp.1-15, 2012.
  3. 최명환, "영월군 지명에 투영된 지역의식 연구," 江原民俗學, Vol.22, pp.253-275, 2008.
  4. 장진권, 한국수화의 어원적 의미,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5. 전정례, "한국수화의 언어학적 접근," 한국어교육학회 학술저널, Vol.83-93, pp.299-316, 2002.
  6. 강창욱, "교과관련 수화에 대한 형태론적 분석," 특수교육연구, 제38호, 제1권, pp.1-21, 2003(6).
  7. 이율하, "강원도 수어지명의 언어학적 연구," 한겨레어문연구, 제4집, pp.713-739, 2009.
  8. 강병기, 장은미, 박경, "지명의 관습법적 효력과 명명권에 관한 연구," 법학총논, Vol.25, No.1, pp.141-175, 2012.
  9. 변선영, 진주지역의 지명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0. 이희승, 청주시 새 도로명의 형태론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1. 손진희, 홍천군 지명에 대한 형태론적 연구, 강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2. 박소현, 양산시 지명연구 형태, 음운론적 고찰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3. 정욱찬, 충청북도 수화지명 유래에 관한 연구,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4. 윤병천, 김칠관, 한국수화로 본 수화어원론입문, 열린책장, 2017.
  15. 조명한, 이정모, 김정오, 신현정, 이광오, 도결수, 이양, 이현진, 김영진, 김소영, 고성룡, 정혜, 언어심리학, 서울: 학지사, 2003.
  16. 윤병천, 정욱찬, 고인경, "조선손말 형태론적 분석,"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17권, 제4호, pp.137-156, 2016.
  17. 윤병천, 한국 청각장애자의 사용수화 어휘 빈도 조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18. 이주애, 한국수어의 비우세손에 관한 언어학적 특성연구, 강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9. 이율하, 한국수어의 동시적 결합구조에 대한 통사론적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20. 김칠관, 윤병천, 수화통역학개론, 양서원, 2011.
  21. 윤병천, 한국수화의 비수지시호에 대한 언어학적 특성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22.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금성출판사, 1999.
  23. 서울시청, http://www.seoul.go.kr/main/index.jsp, 2019.09.20.
  24. 인천광역시청, http://www.incheon.go.kr/index.do, 2019.09.20.
  25. 한국농아인협회, http://www.deafkorea.com/ver/, 2019.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