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urrent State and Future Tasks of Medical Interpreter Policy for International Patient in Korea

외국인환자를 위한 의료통역사 정책의 현황과 과제

  • Received : 2019.09.11
  • Accepted : 2019.10.14
  • Published : 2019.11.28

Abstract

The healthcare industry, a high-value-added business, continues to grow with the aging of the pop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medical technology. In particular,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is being pushed by advanced countries. Korea is also actively supporting projects to attract international patients. However, there is a lack of prior research on Korea's medical interpreter policy.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medical interpreter policy for international patients, and presents the task. Problems include insufficient policy control towers, lack of links with local governments, lack of expertise of medical interpreters, poor quality of medical interpreting services, and poor treatment of medical interpreters. As improvement measures, it is proposed to establish a policy control tower, strengthen the link with local governments, switch to a medical interpreter system, diversify the language of medical interpreting qualification test, improve the quality of medical interpreting service, internalize the training process for medical interpreter, give preferential treatment to medical interpreters, utilize the nurse, and train multicultural medical personnel. I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고부가가치사업인 헬스케어 산업은 인구의 고령화, 융·복합 의료기술의 발달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의료관광 산업은 의료선진국들이 정책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한국도 외국인환자 유치 사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다만 한국 의료통역사 정책에 대한 선행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외국인환자를 위한 의료통역사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문제점은 정책 컨트롤 타워의 미흡과 지방자치단체와의 연계 부족, 의료통역사의 전문성 결여, 의료통역 서비스의 품질 저하, 의료통역사의 열악한 처우 등이다. 개선방안으로써 정책 컨트롤 타워의 구축과 지방자치단체와의 연계 강화, 의료통역사 자격사 제도 전환과 의료통역능력검정시험 응시언어의 다양화, 의료통역 서비스의 품질 향상과 의료통역사 연수 과정의 내실화, 의료통역사의 채용 우대와 간호인력의 활용 및 다문화 의료인력의 양성이 제시된다. 본 연구가 의료관광 산업 발전에 이바지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관계부처 합동, 의료 해외진출 및 외국인환자 유치 지원 종합계획, pp.1-9, 2016.
  2. 김대현, 의료관광 전문인력의 직무특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수도권 상급종합병원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2-5, 2015.
  3. 보건복지부, 2018 보건복지백서, pp.818-836, 2019.
  4. 신태섭, "한국 의료기관의 블라디보스톡 자유항 진출에 관한 연구," 의료법학회논문지, 제17권, 제2호, pp.236-237, 2016.
  5.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8년 외국인환자 유치 현황 보도자료, pp.1-11, 2019.
  6. 곽중철, "2009년 한국 제1기 의료통역사 교육 사례 연구," 번역학연구논문지, 제11권, 제1호, pp.38-39, 2010.
  7. 이지은, 장애리, 최문선, 허지운, "한국내 외국인을 위한 통역 서비스 현황에 대한 소고," 통번역학연구논문지, 제18권, 제4호, pp.177-178, 2014.
  8. 이지은, "커뮤니티 통역사의 역할에 관한 논의," 통역과 번역논문지, 제17권, 제1호, pp.96-97, 2015.
  9. 이황, 이원재, 최광일, "외국인환자의 국내 병원 서비스 이용 만족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324-331, 2013.
  10.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8년도 외국인환자 만족도 결과 보고서 , pp.16-18, 2019.
  11. 전미 의료통역사 협의회, 미국 의료통역사 윤리강령, pp.22-23, 2004.
  12. 김상현, 박형욱, "국내 판례분석을 통한 의료사고 예방대책 연구: 외국인환자 의료사고 예방을 중심으로," 한국의료법학회논문지, 제20권, 제1호, pp.110-111, 2012.
  13. 동아일보, "외면당하는 의료통역사,"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00201/25856857/2, 2019.10.09.
  14. 황지연, "한국형 의료통역에 관한 소고," 통번역학연구논문지, 제19권, 제1호, pp.121-122, 2015.
  15. 이승재, "의료관광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 의료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제12권, 제3호, pp.396-397, 2014.
  16. 정철자, "의료통역 교재내용 구성을 위한 의료담화 사례연구," 번역학연구논문지, 제16권, 제2호, pp.288-289, 2015.
  17. Guidelines for Community Interpreting(ISO 13611 : 2014),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tation, 2014.
  18. 김나제스다, "의료대화와 의료통역: 대화의 비대칭성에 따른 환자의 저항반응 관행 비교," 통번역학연구논문지, 제16권, 제3호, pp.65-66, 2012.
  19. 김기영, "외국인환자의 진료와 의료책임에 대한 고찰: 의료수준에 대한 문화적 차이와 언어적 위험에 따른 특수성을 중심으로," 인권과정의논문지, 통권396호, pp.52-53, 2009.
  20. 신수진, 박영우, 김미정, 김정현, 이인영, "신규간호사 교육체계에 대한 실태조사: 프리셉터십 운영을 중심으로," 의학교육논단논문지, 제21권, 제2호, pp.112-113, 2019.
  21. 곽순례, "아랍어 의료통역사와 아랍 해외환자 간의 갈등 연구: 의사 소통과 문화적 차이를 중심으로," 아랍어와아랍문학논문지, 제20권, 제3호, pp.130-131,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