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actical Reading of Gilles Deleuze on Frame from Filmmaking Perspective

들뢰즈의 프레임: 영화제작 관점에서 읽기

  • 김정호 (경희대학교 연극영화학과) ;
  • 김재성 (경희대학교 연극영화학과)
  • Received : 2019.10.02
  • Accepted : 2019.11.21
  • Published : 2019.11.28

Abstract

For Deleuze, the frame is a closed system with numerous subsets of information. the frame can be defined by mathematics and physics. it is a geometric system of equilibrium and harmony with variables or coordinates. like paintings, Linear perspective represents a three-dimensional depth in a two-dimensional plane through vanishing points, horizontal lines in the frame. Linear perspective makes it possible to assume the infinity towards the vanishing point and the infinity towards the outside of the frame, the opposite of the vanishing point. Not only figures and lines in the drawing paper, but also the space between the figures and lines in the drawing paper was recognized. that is space, the 3rd dimension. with the centripetal force and centrifugal force of the frame, frame follow the physical rules of power and movement. de framing is against the dominant linear perspective and central tendency of the frame. The film contains four-dimensional time while reproducing three-dimensional space in two dimensions. It may be that the outside of the frame, or outside the field of view, contains thought, the fifth dimension.

질 들뢰즈는 프레임을 수많은 하위 세트의 정보를 지닌 닫힌 시스템으로 보았다. 인간과 세계의 관계에서 수학적 세계관과 물리적 세계관의 대립은 프레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수학적으로 보자면, 2차원의 프레임의 좌표나 변수들이 모여 있고 균형과 조화를 이루는 기하학적 시스템이다. 선형 원근법은 프레임에 소실점, 수평선 혹은 지평선을 통해서 2차원 평면에 3차원의 깊이감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엄격한 선원근법의 정착은 프레임 내 소실점을 향한, 즉 내부로 향하는 무한을 그리고 소실점의 반대 방향 즉 프레임의 바깥을 향하는 무한을 상정할 수 있게 해준다. 도화지 안에 있는 도형이나 선들의 관계뿐만 아니라, 도화지 속의 도형과 선사이의 공간이 인식된 것이다. 회화에서 원근법의 발전과 같이, 영화에서도 원근법의 적용과 탈 프레임화가 이뤄지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선원근법은 우리의 눈이 실제 관찰하는 광학적 특성과 어긋나는 점이 있다. 세계를 관성, 가속도, 작용과 반작용의 운동과 끊임없는 변화로 보는 물리적 세계관은 프레임의 중심경향성, 게스탈트적 속성에 주목하게 된다. 우주의 일부를 한정하는 프레임은 분명 프레임과 그 밖을 구분하지만, 결코 단절된 관계가 아니라, 프레임은 우주 안에 있으며 프레임 밖과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시야 바깥에 무한의 정신적인 세계가 있다. 영화는 3차원의 공간을 2차원에 재현하면서 4차원의 시간을 담고 있다. 프레임의 바깥 즉 시야 바깥이 5차원의 영역인 정신을 담고 있는지 모른다.

Keywords

References

  1. 파노프스키, 에르빈, 심철민 역, 상징형식으로서의 원근법, 도서출판 b, pp.12-16, 2014.
  2. 로버트 L. 솔소, 신현정, 유상욱 역, 시각 심리학, 시그마프레스, pp.174-186, 2003.
  3. 버치, 노엘, 영화의 실천, 아카넷, pp.97-98, 2013.
  4. 버치, 노엘, 영화의 실천, 아카넷, p.105, 2013.
  5. 질 들뢰즈, 주은우, 정원 역, 영화: 운동 이미지, 개정판, 새길, p.44, 2011.
  6. Serge Daney, "Theorize/Terrorize (godardian Pedagogy), Cahiers du Cinema 262-3, January 1976," Cahiers du cinema anthology, Vol.4, Routledge, New York, pp.116-123, 2000.
  7. S. M. Eisenstein, "The cinematic principle and the ideogram," Film Form, Harcourt, newyork, pp.40-41,1977.
  8. 에이젠슈테인, 이윤영 편역, "영화의 원리와 표의문자," 사유 속의 영화, 문학과 지성사, pp.39-40, 2011.
  9. 에이젠슈테인, 홍상우 편역, "프레임 너머에," 몽타주, 경상대학교 출판부, p.532, 2007.
  10. 질 들뢰즈, 주은우, 정원 역, 영화: 운동 이미지, 개정판, 새길, p.46, 2011.
  11. 움베르토 에코 외 편집, 윤병언 역, 경이로운 철학의 역사 1: 고대 중세 편, (주) 북이십일, p.62, 2018.
  12. 움베르토 에코 외 편집, 윤병언 역, 경이로운 철학의 역사 1: 고대 중세 편, (주) 북이십일, pp.214-215, 2018.
  13. 움베르토 에코 외 편집, 윤병언 역, 경이로운 철학의 역사 1: 고대 중세 편, (주) 북이십일, pp.239-246, 2018.
  14. 움베르토 에코 외 편집, 윤병언 역, 경이로운 철학의 역사 1: 고대 중세 편, (주) 북이십일, pp.260-261, 2018.
  15. 안소정, 배낭에서 꺼낸 수학, Humanist, pp.103-116, 2011.
  16. 에이젠슈테인, 이정하 편역, "작품의 구조에 대하여 1 유기성과 파토스," 몽타주 이론, 예건사, pp.394-408, 1990.
  17. 에르빈 파노프스키, 심철민 역, 상징형식으로서의 원근법, 도서출판 b, p.56, 2014.
  18. 에르빈 파노프스키, 심철민 역, 상징형식으로서의 원근법, 도서출판 b, pp.62-64, 2014.
  19. 박우찬, 미술, 과학을 탐하다, 소울, pp.54-59, 2011.
  20. 박우찬, 미술, 과학을 탐하다, 소울, pp.86-106, 2011.
  21. 박우찬, 미술, 과학을 탐하다, 소울, pp.104-111, 2011.
  22. 들뢰즈, 주은우, 정원 역, 영화: 운동 이미지, 개정판, 새길, p.48, 2011.
  23. 들뢰즈, 주은우, 정원 역, 영화: 운동 이미지, 개정판, 새길, p.142, 2011.
  24. Jean Mitry, The Aesthetics and Psychology of the Cinema, Indiana Univ. press, p.219, 1997.
  25. Jean Mitry, The Aesthetics and Psychology of the Cinema, Indiana Univ. press, p.186, 1997.
  26. https://www.youtube.com/watch?v=cqYPLSXP4mo, 2019.10.1.
  27. https://www.youtube.com/watch?v=Rr7qP5HDneM, 2019.10.1.
  28. 노엘 버치, 이윤영 역, 영화의 실천, 아카넷, p.43, 2013.
  29. 질 들뢰즈, 주은우, 정원 역, 영화: 운동 이미지, 개정판, 새길, p.49, 2011.
  30. 질 들뢰즈, 유진상 역, 시네마 1: 운동 이미지, 시각과 언어, p.35, 2002.
  31. 에르빈 파노프스키, 심철민 역, 상징형식으로서의 원근법, 도서출판 b, p.50, 2014.
  32. 질 들뢰즈, 주은우, 정원 역, 영화: 운동 이미지, 개정판, 새길, p.49, 2011.
  33. 질 들뢰즈, 유진상 역, 시네마 1: 운동 이미지, 시각과 언어, p.35, p.57, 2002.
  34. 파스칼 보니체, 홍지화 역, 영화와 회화: 탈배치, 동문선, p.99, 2003.
  35. 로버트 L. 솔소, 신현정, 유상욱 역, 시각 심리학, 시그마프레스, pp.139-168, 2003.
  36. 자끄 오몽, 오정민 역, 이마주: 영화 사진 회화, 동문선, p.214, 2006.
  37. 루돌프 아른하임, 김재은 역, 예술심리학, 6판, 이화여대 출판부, p.154, 1998.
  38. 돌프 아른하임, 김재은 역, 예술심리학, 6판, 이화여대 출판부, p.167, 1998.
  39. 파스칼 보니체, 홍지화 역, 영화와 회화: 탈배치, 동문선, pp.100-101, 2003.
  40. 자끄 오몽, 오정민 역, 이마주: 영화 사진 회화, 동문선, pp.212-213, 2006.
  41. 질 들뢰즈, 주은우, 정원 역, 영화: 운동 이미지, 개정판, 새길, p.49, 2011.
  42. 질 들뢰즈, 주은우, 정원 역, 영화: 운동 이미지, 개정판, 새길, pp.208-214, 2011.
  43. 질 들뢰즈, 주은우, 정원 역, 영화: 운동 이미지, 개정판, 새길, p.212, 2011.
  44. 앙드레 바쟁, 박상규 역, 영화란 무엇인가?, 시각과 언어, pp.243-245, 2001.
  45. Andre Bazin, What is Cinema?, Vol. 1, Univ. California Press, pp.164-166, 1967.
  46. 질 들뢰즈, 주은우, 정원 역, 영화: 운동 이미지, 개정판, 새길, p.50, 2011.
  47. https://www.youtube.com/watch?v=R_7yLivOxtA, 2019.10.1.
  48. 노엘 버치, 이윤영 역, 영화의 실천, 아카넷, p.43, 2013.
  49. 노엘 버치, 이윤영 역, 영화의 실천, 아카넷, p.45, 2013.
  50. 노엘 버치, 이윤영 역, 영화의 실천, 아카넷, p.53, 2013.
  51. 노엘 버치, 이윤영 역, 영화의 실천, 아카넷, p.55, 2013.
  52. 노엘 버치, 이윤영 역, 영화의 실천, 아카넷, p.59, 2013.
  53. 노엘 버치, 이윤영 역, 영화의 실천, 아카넷, p.60,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