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of Job Crafting: Focused on Empirical Studies in South Korea

잡 크래프팅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국내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 김민지 (인천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
  • 박용호 (인천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창의인재개발학과)
  • Received : 2019.10.10
  • Accepted : 2019.10.29
  • Published : 2019.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studying on job crafting in Korea and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studying on job craft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KCI indexed 61 empirical studies which are published by end of August 2019. Through the analyzing on these 61 empirical articles on job crafting, this study tried to show the trends about Korean translation of 'job crafting', measurement scale, dimensions, and related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mostly empirical studies on job crafting have been conducted after 2015. The academic field of those studies are mainly in psychology, human resource develop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tourism. The study results identified also there are various translated Korean terminology for 'job crafting' in Korean empirical studies. Regarding the measurement scale, the fact that Job Crafting Questionnaire and Job Crafting Scale has been mostly used was fou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job crafting has been used equally as independent, dependent, and mediator variables. Finally, the empirical studies on job crafting in Korea have identified 48 predictors and 29 research variables that were predicted by job crafting. Among those variables, several ones have been used as a predictor and a variable which is affected by job crafting based on study settings.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for future studies.

본 연구는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와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통합적 문헌 고찰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9년 8월까지 KCI 등재지 혹은 등재후보지에 발표된 논문 중 양적연구 61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용어번역, 측정도구와 하위요인 구성, 변인 활용, 선행변인, 결과변인 등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는 2015년에 들어서면서 본격적으로 양적인 확대가 이루어졌으며, 심리학, 인적자원개발학, 경영학, 관광학 등의 분야에서 발표되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또한 'job crafting'에 대한 매우 다양한 용어번역이 활용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측정도구와 관련하여서는 Job Crafting Questionnaire, Job Crafting Scale 등이 가장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또한 잡 크래프팅은 국내의 양적연구에서 독립변인, 종속변인, 매개변인 등으로 고르게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끝으로 국내 연구에서는 총 48개의 선행변인과 29개의 결과변인이 잡 크래프팅과 유의미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부 변인은 연구에 따라 선행요인과 결과변인 모두로 활용될 수 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시사점과 실천적 시사점 및 향후 연구의 제언도 본 연구는 포함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D. T. Hall, Careers in and out of organizations , Thousand Oaks, CA: Sage, 1976.
  2. M. B. Arthur and D. M. Rousseau, The boundaryless career: A new employment principle for a new organizational era.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3. L. A. Mainiero and S. E. Sullivan, "Kaleidoscope careers: An alternate explanation for the "opt-out" revolution,"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Vol.19, No.1, pp.106-123, 2005.
  4. K. L. Newman, "Sustainable careers: Lifecycle engagement in work," Organizational Dynamics, Vol.40, No.2, pp.136-143, 2011. https://doi.org/10.1016/j.orgdyn.2011.01.008
  5. A. Wrzesniewski and J. E. Dutton, "Crafting a job: Revisioning employees as active crafters of their work,"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6, No.2, pp.179-201, 2001. https://doi.org/10.2307/259118
  6. C. W. Rudolph, I. M. Katz, K. N. Lavigne, and H. Zacher, "Job crafting: A meta-analysis of relationships with individual differences, job characteristics, and work outcom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102, pp.112-138, 2017. https://doi.org/10.1016/j.jvb.2017.05.008
  7. J. M. Berg, J. E. Dutton, and A. Wrzesniewski, "Job crafting and meaningful work," In B. J. Dik, Z. S. Byrne and M. F. Steger (Eds.), Purpose and meaning in the workplace, pp.81-104, 2013.
  8. B. E. Ghitulescu, Shaping tasks and relationships at work: Examining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ployee job crafting, University of Pittsburg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2006.
  9. M. Tims and A. B. Bakker, "Job crafting: Towards a new model of individual job redesign," South African Journal of Industrial Psychology, Vol.36, No.2, pp.1-9, 2010.
  10. C. Leana, E. Appelbaum, and I. Shevchuk, "Work process and quality of car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ole of job crafting,"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52, No.6, pp.1169-1192, 2009. https://doi.org/10.5465/AMJ.2009.47084651
  11. 강나율, 김민영, 박성민, "공무원의 직업가치인식이 잡 크래프팅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현대사회와 행정, 제29권, 제1호, pp.197-234, 2019.
  12. 김영중, 정윤조, "조리 및 식음료 종사원이 인지하는 직무 자율성이 잡크래프팅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외식경영연구, 제22권, 제3호, pp.87-105, 2019.
  13. G. R. Slemp and D. A. Vella-Brodrick, "The job crafting questionnaire: A new scale to measure the extent to which employees engage in job craf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Wellbeing, Vol.3, No.2, pp.126-146, 2013.
  14. C. Niessen, D. Weseler, and P. Kostova, "When and why do individuals craft their jobs? The role of individual motivation and work characteristics for job crafting," Human Relations, Vol.69, No.6, pp.1287-1313, 2016. https://doi.org/10.1177/0018726715610642
  15. W. B. Schaufeli and A. B. Bakker,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A multi-sample stud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5, No.3, pp.293-315, 2004. https://doi.org/10.1002/job.248
  16. M. Tims, A. B. Bakker, and D. Derk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job crafting scal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80, pp.173-186, 2012. https://doi.org/10.1016/j.jvb.2011.05.009
  17. K. Nielsen and J. S. Abildgaard,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job crafting measure for use with blue-collar workers," Work and Stress, Vol.26, No.4, pp.365-384, 2012. https://doi.org/10.1080/02678373.2012.733543
  18. P. Petrou, E. Demerouti, M. C. Peeters, W. B. Schaufeli, and J. Hetland, "Crafting a job on a daily basis: Contextual correlates and the link to work engagemen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33, No.8, pp.1120-1141, 2012. https://doi.org/10.1002/job.1783
  19. 배을규, 박세규, 이민영, "제약회사 영업사원의 셀프리더십과 변화 몰입의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의 매개효과," 평생교육.HRD 연구, 제15권, 제2호, pp.125-151, 2019.
  20. 이정미, 강희경, 최수형, "일과 생활의 균형(WLB) 지각이 잡 크래프팅(job crafting)에 미치는 영향: 적응적 행동의 매개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5권, 제5호, pp.81-101, 2018.
  21. 정희영, 정윤, "핵심역량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동향: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제32권, 제3호, pp.357-386, 2015. https://doi.org/10.24211/TJKTE.2015.32.3.357
  22. 채연주, "직무 빚어내기를 통한 혐오노동의 정상화: 청소노동자의 정체성 형성," 인사조직연구, 제23권, 제3호, pp.7-41, 2015.
  23. 임수원, 최애경, "비서직 종사자의 잡 크래프팅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비서.사무경영연구, 제28권, 제2호, pp.117-145, 2019.
  24. 임명기, 하유진, 오동준, 손영우, "한국판 잡 크래프팅 척도(JCQ-K)의 타당화 연구," 기업경영연구, 제21권, 제4호, pp.181-206, 2014.
  25. 조주연, 김명소, "직무의미창조(Job Crafting)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생애학회지, 제5권, 제3호, pp.29-46, 2015.
  26. 이승윤, 고성훈, "공유된 긍정 정서(Shared Positive Affect)의 기제, 선행요인과 결과에 대한 고찰 및 긍정 조직학(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에의 적용," 인사조직연구, 제25권, 제3호, pp.159-192, 2017.
  27. 장경원, 고수일, "프로젝트학습에서 학생들의 잡크래프팅 전략,"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8권, 제23호, pp.989-1012, 2018.
  28. 홍아정, 조윤성, "임파워링 리더십, 잡 크래프팅, 조직몰입, 직무배태성 간 구조적 관계," HRD연구, 제20권, 제2호, pp.51-85, 2018.
  29. 강혜선, 서배배, 구자숙, "잡 크래프팅의 선행요인과 일 관련 결과에 대하여: 자발적 직무변화의 통합적 모형," 노동정책연구, 제15권, 제3호, pp.29-61, 2015. https://doi.org/10.22914/JLP.2015.15.3.002
  30. 나기현, "잡크래프팅, 성과몰입, 직무성과 간의 영향 관계: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 전문경영인연구, 제21권, 제4호, pp.439-460, 2018.
  31. 조성인, 송해덕, "HRD담당자의 직무특성과 업무몰입의 관계에서 직무재창조(Job Crafting)의 매개효과," 기업교육과인재연구, 제18권, 제1호, pp.327-352, 2016.
  32. 민희경, 이지혜, 오상진, "기업의 CSV활동 진정성이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직무 재창조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와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영교육연구, 제33권, 제4호, pp.239-269, 2018.
  33. 김준환, 이항, "영업사원의 잡 크래프팅과 적응적 판매행동이 직무만족 및 영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상업교육연구, 제31권, 제2호, pp.135-158, 2017. https://doi.org/10.34274/KRABE.2017.31.2.006
  34. 최수형, 이정미, "잡 크래프팅(Job Crafting)이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주도적 행동의 매개효과," 경영과 정보연구, 제38권, 제2호, pp.47-66, 2019.
  35. 유민희, 임두헌, 김우철, 조대연,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engagement between job expectations, job crafting, and intention to stay," 역량개발학습연구, 제13권, 제4호, pp.1-29, 2018.
  36. 김명소, 이민주, "상사에 대한 정서노동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의미창조(Job Crafting)의 조절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8권, 제9호, pp.167-176, 2017. https://doi.org/10.5762/KAIS.2017.18.9.167
  37. 권나영, 김민수, 오인수, "직무 자율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무개선과 일 열의의 개인내-개인간 다수준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29권, 제4호, pp.573-590, 2016. https://doi.org/10.24230/KSIOP.29.4.201611.573
  38. 신인용 "개인, 직무, 관계 측면에서의 결정요인이 직무 크래프팅에 미치는 주효과 및 상호작용효과," 기업경영연구, 제22권, 제5호, pp.107-125, 2015.
  39. E. W. Morrison and C. C. Phelps, "Taking charge at work: Extrarole efforts to initiate workplace chang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2, No.4, pp.403-419, 1999. https://doi.org/10.2307/257011
  40. 강혜선, 최금용, 구자숙, "잡 크래프팅과 성과 간 관계에 대한 매개효과: 일에 대한 심리적 태도를 중심으로," 직업능력개발연구, 제20권, 제1호, pp.1-26, 2017. https://doi.org/10.36907/KRIVET.2017.20.1.1
  41. 이현응, "한국판 잡 크래프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0호, pp.611-623, 2017. https://doi.org/10.5762/KAIS.2017.18.1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