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onditions of Fringe Benefits and Retirement Planning among Paid Workers

임금 근로자의 복리후생 조건과 은퇴계획 수립의 관련성

  • 권오휘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 홍진혁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학통계교실) ;
  • 김지연 (을지대학교 바이오융합대학 의료경영학과) ;
  • 노영민 (을지대학교 바이오융합대학 의료경영학과) ;
  • 김진석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
  • 노진원 (단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건행정학과)
  • Received : 2019.07.08
  • Accepted : 2019.10.07
  • Published : 2019.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association between company's fringe benefits and retirement planning. The study analyzed the 2016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and a total of 1,740 participants was includ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the company's employee fringe benefit and the retirement plann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As a result, we found multiple variables affecting the retirement planning including not only the number of the fringe benefits, but also the age, marital status, residence, private health insurance statu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Successful retirement planning for wage workers benefits not only the individuals or government, but companies also gain benefits such as improved productivity of workers and a better corporate image, so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and the role of government to support this.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이 제공하는 복리후생의 조건이 예비은퇴자의 은퇴계획 수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6년 고령화 연구를 이용하였으며, 총 1,4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업의 복리후생 개수와 은퇴계획 수립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변수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복리 후생 수혜 개수뿐만 아니라 연령, 혼인 상태, 거주지, 민간의료보험 가입 여부, 주관적 건강상태가 은퇴계획 수립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임금근로자의 성공적인 은퇴계획 수립은 개인과 정부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이를 통해 기업 또한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 및 기업 이미지 제고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으므로 제도의 효과적인 시행 및 이를 위해 필요한 정부의 역할 등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Statistics Korea,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Statistics Korea, 2018.
  2. Statistics Korea,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Statistics Korea, 2017.
  3. OECD, Pensions at a Glance 2017: OECD and G20 Indicators, OECD Publishing, 2017.
  4. J. W. Rowe and R. L. Kahn, "Successful Aging," Gerontologist, Vol.37, No.4, pp.433-440, 1997. https://doi.org/10.1093/geront/37.4.433
  5. 김지경, 송현주, "중고령 은퇴자들의 은퇴 후 경과기간별 은퇴생활적응의 영향요인,"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제48권, 제6호, pp.83-101, 2010.
  6. 홍성희, 곽인숙, "중년기 남녀 봉급생활자의 은퇴계획 비교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4권, 제1호, pp.193-207, 2006.
  7. K. McGarry, "Health and Retirement Do Changes in Health Affect Retirement Expectations?," Journal of Human Resources, Vol.39, No.3, pp.624-648, 2004. https://doi.org/10.2307/3558990
  8. 김종모, 박상범, "은퇴준비인식이 경제적 은퇴준비상황에 미치는 영향-재무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리스크 관리연구, 제24권, 제2호, pp.143-181, 2013.
  9. 박창제, "은퇴결정 형태와 노후준비가 은퇴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노인복지연구, 제59권, pp.115-138, 2013.
  10. G. Dessler, A Framework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7th edition , Pearson Education India press, 2012.
  11. 김정은, 강경주, 이영면, "연령별 이직의사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노동정책연구, 제17권, 제1호, pp.55-84, 2017. https://doi.org/10.22914/JLP.2017.17.1.003
  12. 왕홍성, "명예퇴직제도에 관한 연구(K지방은행을 중심으로)," 중노연논총, 제5권, pp.215-250, 1996.
  13. G. Hall, "Retirement Planning-Suggestions for Management," Aging and Work, Vol.3, No.3, pp.203-209, 1980.
  14. 전승훈, "생애 연금급여가 은퇴시기결정 및 은퇴자의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 재정정책논집, Vol.12, No.1, pp.3-32, 2010.
  15. D. I. Bogage, Dynamics of The Early Retirement Decision: A Third Type of Employee Withdrawal . Wayne State University, 1983.
  16. D. Morse, A. B. Dutka, and S. H. Gray, Life after Early Retirement: The Experiences of Lower-level Workers. Rowman & Littlefield Pub Inc, 1983.
  17. G. O. Hagestad, "Aging and The Life Course," Handbook of Aging and The Social Science, Vol.2, pp.35-61, 1985.
  18. 안종범, 전승훈, "은퇴결정과 은퇴 전.후 소비의 상호 작용," 노동경제논집, 제7권, 제3호, pp.1-23, 2004.
  19. J. F. Quinn, R. V. Burkhauser, and D. A. Myers, Passing the Torch: The Influence of Economic Incentives on Work and Retirement, W. E. Upjohn Institute for Employment Research press, 1990.
  20. R. L. Clark, R. G. Hammond, and C. Khalaf, "Planning for Retirement? The Importance of Time Preferences," Journal of Labor Research, pp.1-24, 2017.
  21. S. B. Carter and R. Sutch, "Myth of the Industrial Scrap Heap: A Revisionist View of Turn-of-the-Century American Retirement," The Journal of Economic History, Vol.56, No.1, pp.5-38, 1996. https://doi.org/10.1017/S0022050700016004
  22. S. H. Jeon, "The Effects of the Lifetime Pension Wealth on the Retirement Decision and the Labor Supply after Retirement," Public Finance, Vol.12, No.1, pp.3-32, 2010.
  23. 백은영, "베이비부머의 은퇴 준비와 준비 유형 결정요인 분석," 사회보장연구, 제27권, 제2호, pp.357-383, 2011.
  24. F. J. Sammartino, "The Effect of Health on Retirement," Social Security Bulletin, Vol.37, No.4, pp.433-440, 1987.
  25. J. Bound, M. Schoenbaum, and T. Waidmann, "Race and Education Differences in Disability Status and Labor Force Attachment," Journal of Human Resources, Vol.30, No.5, pp.227-267, 1995.
  26. 이지영, 최현자, "우리나라 은퇴자의 은퇴자금 충분성과 영향요인: 객관적 충분성과 주관적 인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29권, 제1호, pp.215-223, 2009.
  27. 손종칠, "중고령자 은퇴 및 은퇴 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노동정책연구, 제10권, 제2호, pp.125-153, 2010. https://doi.org/10.22914/JLP.2010.10.2.005
  28. 이재창, 인적자원관리의 심리학, 학지사, 2011.
  29. 홍성희, 곽인숙, "은퇴태도와 은퇴계획 수준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5권, 제2호, pp.89-104, 2007.
  30. B. Artz, "Fringe Benefits and Job Satisf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anpower, Vol.31, No.6, pp.626-644, 2010. https://doi.org/10.1108/01437721011073346
  31. J. C. Son, "Determinants of Retirement and Retirement Satisfaction in Korea," Quarterly Journal of Labor Policy, Vol.10, No.2, pp.125-153, 2010. https://doi.org/10.22914/JLP.2010.10.2.005
  32. 임이랑, 우리나라 중소 IT기업의 복리후생관리의 현황과 과제, 한양대학교 기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3. 김유선, "비정규직 규모와 실태 : 통계청, '경제활동 인구조사 부가조사'(2016.8) 결과," 노동사회, 제192권, pp.66-106, 2016.
  34. 김원규, 김진웅, "한국에서의 중소기업 비율과 경제적 성과 간 관계 분석," 중소기업연구, 제36권, 제3호, pp.1-16, 2014.
  35. 이형종, 이한덕, "중소기업 근로자의 은퇴준비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9호, pp.449-465,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9.449
  36. 이덕로, 박재석, "중소기업의 노사파트너십이 기업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연구, 제32권, 제3호, pp.129-154, 2010.
  37. A. Lusardi and O. S. Mitchell, Financial Literacy and Planning: Implications for Retirement Wellbeing,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38. G. J. Bazzoli, "The Early Retirement Decision: New Empirical Evidence on the Influence of Health," Journal of Human Resources, Vol.20, No.2, pp.214-234, 1985. https://doi.org/10.2307/146009
  39. G. Pang and M. Warshawsky, "Optimizing the Equity-Bond-Annuity Portfolio in Retirement: The Impact of Uncertain Health Expenses," Insurance: Mathematics and Economics, Vol.46, No.1, pp.198-209, 2010. https://doi.org/10.1016/j.insmatheco.2009.08.009
  40. 윤희숙, 권형준, "민간의료보험 가입과 의료이용의 현황," KDI 정책포럼, p.204, 2008.
  41. 정형준, "민간의료보험 실태와 문제점," 월간 복지동향, 제244권, pp.5-13, 2019.
  42. 전귀연, 배문조, "성인기의 노후준비의식과 노후준비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8권, 제1호, pp.13-24, 2010.
  43. S. E. Cha, "Preferred Timing for Full-Retirement: Who Wants to Retire Early?,"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ol.35, No.2, pp.133-157,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