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Jeju Buddhist art and Bok-sin Maitreyas

제주의 불교미술과 자복미륵

  • Lee, Kyung-Hwa (Cultural Heritage Appraisers Offic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 Received : 2018.06.30
  • Accepted : 2018.09.11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tribute to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Buddhist art in Jeju which has rarely been in the mainstream discussions about the Korean art by focusing on the statues of Jabok Mireuk, or Maitreya of Wealth and Fortune. The Buddhist art in Jeju reached its heyday during the late phase of the Goryeo period (918-1392). The imperial court of Yuan (1271-1368) established Beophwasa, one of its guardian temples which was also a "complementary temple" of Goryeo (918-1392). In 1296, the community of monks based in Myoryeonsa Temple published the Jeju edition of the Buddhist canon granted by the royal court of Goryeo, contributing to the foundation of the island's academic culture. Other items representing the heyday of the Buddhist art of Jeju include the Vajra Guardian carved on the greenschist pagoda of Sujeongsa Temple built during the late Goryeo period and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Bultapsa Temple made from the locally obtained basalt rock during the early $14^{th}$ century. The Buddhist art of Jeju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is represented by Jabok Mireuk, or Maitreya of Wealth and Fortune, a pair of stone statues of Maitreya Buddha carved to feature three aspects of the Maitreya worship spread among the local folks in the period. Each of the statues is in a peaked cap and official's robe and characterized by bulging eyes comparable to those of the Buddhist guardian deities such as the Vajra guardian who were designed to protect a sacred area against evil forces. The Maitreya statues provide valuable sources of knowledge about the types of Maitreya adopted by the worshippers of local folk religion in the Joseon period. The Jabok Mireuk statues in Jeju can be easily compared with the Two Rock-carved Standing Buddhas in Yongmi-ri, Paju (1471), and the two standing stone Buddhas in Daeseongsa Temple in Okcheon (ca 1491) and on the Sipsinsa Temple site in Gwangju in that they all wear peaked caps in the "treasure canopy" style which gained popularity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One may conclude then that these statues are related with the Neo-Confucian elites who wanted the Joseon dynasty they established to prosper under the auspices of the Buddha of the Future. Interestingly, the enshrinement of the stone Buddha of Daeseongsa Temple is presumed to have been participated by Yuk Han who had served as the Governor (Moksa) of Jeju, suggesting its connection with the Jabok Mireuk despite the regional difference in their style.

제주 불교미술에 대한 관심은 한국미술에서 조금 소외되어 있는 편이다. 이 글은 주요 제주 불교미술에 대한 서술과 자복미륵에 중점을 두어 분석하였다. 제주의 불교문화는 고려후기에 흥기하였다. 법화사는 원 황실의 원찰이자 고려의 비보사찰이었다. 묘련사에서는 1296년에 고려 조정에서 내린 불전을 받들어 제주도판을 다시 새겼고 이는 제주의 지식문화를 시사한다. 수정사 청석탑 부재에 새겨진 금강역사상은 고려 후기의 회화로 주목된다. 불탑사 오층석탑은 제주 현무암으로 만들어졌고 14세기 전반경의 체화된 제주불교미술이다. 제주의 조선시대 불교미술에서 자복미륵은 민간신앙화된 미륵의 세 유형을 합성하여 독특한 모습이다. 자복미륵은 원정모와 관복을 착용하였으며, 석인상형 미륵처럼 좌우에 놓여 지역을 살피고 지키며, 튀어나온 눈으로 호위하는 역사(力士)인 신장상형 미륵의 특징을 수용하였다. 따라서 자복미륵은 조선시대 세속화된 미륵의 유형을 분석하는 데에 의미 있는 형식이다. 자복미륵을 이해하는 데에 특기할 불상이 1471년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병립상, 1491년경 옥천 대성사 석불, 광주 십신사지 석불 등이다. 원정모형 보개를 지닌 불상은 조선전기에 집중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미륵을 조선으로 끌어들여, 조선을 건설한 신진사대부의 모습에 기인하여 변형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여 진다. 공교롭게 옥천 대성사 석불입상의 조성에 제주목사를 역임하는 육한이 참여한 것으로 추정된다. 자복미륵은 그러한 불상들의 지역에 따른 변형에도 불구하고 연결고리를 확인하여 주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명수, 2014, 몽골의 '복속' 인식과 蒙麗관계 한국사학보 5
  2. 고창석, 2017, 濟州歷史硏究, 도서출판 세림
  3. 김일우, 2000, 高麗時代 耽羅史 硏究, 신서원
  4. 김정선, 2008, 翁仲石 : 돌하르방에 대한 고찰 耽羅文化 33
  5. 남권희, 2001, 濟州道 刊行의 書籍과 記錄類 古印刷文化 8
  6. 문화재청.대한불교조계종, 2003, 한국의 사찰문화재-전라북도.제주도
  7. 문화재청.불교문화재연구소, 2011, 韓國의 寺址
  8. 배연이, 2015, 제주도의 불교와 불교미술 고찰, 경주대학교 석사논문
  9. 사찰문화연구원, 2006, 전통사찰총서-제주의 사찰과 불교문화 21
  10. 엄기표, 2017, 제주지역 佛敎 石造美術의 특징과 의의 탐라문화 54
  11. 윤봉택, 2006, 13세기 제주 묘련사판 금광명경문구의 사실 조명-순천송광사사고려판천순판불전을 중심으로 탐라문화 29
  12. 이경화, 2005, 坡州 龍尾里 磨崖二佛竝立像의 造成時期와 背景-成化7年造成說을 提起하며 불교미술사학 3
  13. 이형상, 이상규.오창명 역주, 2009, 남환박물, 푸른역사
  14. 정성권, 2017, 조선전기 석조불상 연구 불교미술사학 24
  15. 정헌성, 2016,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병립상의 조성 시기에 대한 소고-강희맹의 과혜음석불하기사 분석 坡州硏究 10, 파주문화원 부설 향 토문화연구소
  16. 조영록, 2011, 濟州 法華寺 三尊佛의 南京 移置와 滿空의 入明 傳法 明淸史硏究 35, 明淸史學會
  17. 제주특별자치도.제주문화원, 2016, 國譯 增補耽羅誌
  18. 최종성, 2007, 조선전기 종교혼합과 反혼합주의-유교, 불교, 무속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47
  19. 한기문, 2015, 고려시대 州縣 資福寺와 香徒의 역할 동국사학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