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a Drainage Facility of the Western Shore in Wolji Pond

월지(月池) 서측 호안의 출수시설(出水施設)에 관한 고찰

  • Oh, Jun-Young (Department of Heritag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오준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Received : 2018.06.29
  • Accepted : 2018.08.20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This study highlights a drainage gate and a ditch, which existed around the whole area of the western shore of Wolji Pond(月池) and focuses on a possible connection between the drainage facility on the western shore and the historical drainage system of Wolji Pond. Specifically, it primarily considered locations and the form of a drainage 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western ditch of Wolji Pond and the drainage gate, and the establishment period and the character of the drainage facility on the western shore. The drainage gate found in excavation in 1975 is determined as the same facility as Surakgu(水落口) recorded on an actual measurement drawing, 1922. Therefore,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re were already the drainage facility in the western shore of Wolji Pond before the 1920s. The drainage gate constructed by processing rectangular stones has four drainage holes for controlling water level. The way of the drainage through the drainage holes is the same as that of the northern shore of Wolji Pond. From a cadastral map drawn in 1913, it is found that the ditch existed in northwest of Wolji Pond. The ditch was proximate to the drainage gate and shared the same axes. Hence, the ditch and the drainage gate are determined as a organic facility connected to the drainage system of Wolji Pond. In particular, the ditch existed in northwest of Wolji Pond is the basis for judging that the drainage facility in the western shore were established before the 1910s. Water flowed in through drainage holes of the drainage gate is drained into the northwest of Wolji Pond, through the ditch. The establishment period and the intention of the drainage facility on the western shore can be interpreted in two aspects. First, they might be 'a agricultural irrigation facility in the Joseon era', given that Wolji Pond was recorded as a agricultural reservoir, and that the whole northwestern area of Wolji Pond was used as farm land areas. Second, they might be 'a drainage facility for controlling the water level in creating Wolji Pond', given that the drainage gate was annexed to the lower shore forming the waterline of Wolji Pond, and that the hight of drainage holes on top of the drainage gate was similar to the full water level of Wolji Pond. Considering the related grounds and circumstance, the latter possibility is high.

본 연구는 월지의 서측 호안 일대에 존재했던 출수구(出水口)와 구거(溝渠)를 재조명하고, 서측 호안의 출수시설이 월지의 역사적 배수체계와 연관되었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세부적으로는 출수구의 위치와 형태, 월지 북서측 구거와 서측 호안 출수구의 관계성, 서측 호안 출수시설의 조성시기와 성격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1975년 발굴조사로 확인된 서측 호안의 출수구는 1922년 실측도면에 기록된 수낙구(水落口)와 동일시설로 판단된다. 따라서 1920년대 이전부터 월지의 서측 호안에는 별도의 출수시설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다. 서측 호안 출수구는 장방형 석재를 가공한 시설이며, 수위조절을 위한 4개의 배수공(排水孔)이 설치되어 있었다. 배수공을 통한 출수방식은 월지 북측 호안에서 조사된 출수시설과 동일하다. 1913년 제작된 지적도에서는 월지의 북서측 외곽으로 구거가 확인된다. 구거와 출수구는 근거리에 위치하며, 동일한 축선을 형성하고 있었다. 따라서 구거와 출수구는 월지의 배수체계와 연관된 유기적 시설로 판단된다. 특히 월지 북서측 구거는 서측 호안 출수시설의 조성시기를 1910년대 이전으로 소급할 수 있는 단초다. 출수구의 배수공을 통해 유입된 물은 구거를 통해 월지의 북서측 일대로 배출되었다. 서측 호안 출수시설의 조성시기와 성격은 두 가지 측면에서 해석된다. 첫 번째는 월지가 농업용 저수지로 기록되었다는 점, 월지의 북서측 일대가 농경지로 이용되었다는 점에 근거한 '조선시대의 농업용 관개시설'이다. 두 번째는 출수구가 월지의 수제선(水際線)을 형성하는 하층 호안석축에 설치되었다는 점, 최상단 배수공의 높이가 월지의 만수위(滿水位)와 유사하다는 점에 근거한 '월지 조영 당시의 수위조절용 출수시설'이다. 관련 근거와 정황을 고려하면 후자의 가능성이 더욱 높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석근, 2017, '안압지'의 이름과 '안압부평(雁鴨浮萍)'의 의미 연구 -안압지(雁鴨池) 제영시(題詠詩)를 중심으로-, 동양고전연구 Vol.68, p.151
  2. 고경희, 1989, 안압지, 대원사, p.18, 36, 38
  3. 김현희.최기엽. 1990, 韓國 傳統灌漑施設의 類型과 立地特性, 응용지리 No.13, p.78, 83
  4. 문화재관리국, 1978, 안압지 발굴조사보고서, p.56, 384
  5. 문화재관리국, 1993, 안압지 발굴조사보고서-도판편-, p.67, 80, 103, 322, 364
  6. 안계복, 2015, 신라 동궁과 월지의 경관변화 추정에 관한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3 No.1, p14, 15, 20
  7. 이송, 1984, 한국고대정원과 일본고대정원과의 비교연구 -안압지와 동원지를 통하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1 No.3, p.271
  8. 정재훈, 1978, 新羅 東宮의 苑囿에 對한 考察, 미술사학연구 No.138.139, p.186
  9. 조유전, 1981, 雁鴨池 發掘調査와 復元,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Vol.2 No.1, p.234
  10. 한국전통조경학회, 2011, 동양조경문화사, 대가, pp.71-73
  11. 홍광표, 2016, 월지 조성 목적의 중의성(重意性)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4 No.3, pp.68-76
  12. 황상일, 2007, 고대 경주 지역의 홍수 가능성과 인간 활동, 대한지리학회지 Vol.42 No.6, p.894
  13. 原凞, 1932, 朝鮮新羅臨海殿庭園(-), 園芸学会雑誌 Vol.3 No.2, p.19
  14. 매월당집(梅月堂集)
  15. 여지도서(輿地圖書)
  16. 지적원도(地籍原圖), 1913, 국가기록원 소장
  17. 국가기록원 소장문서, 1974, 경주월성지구안압지준설조사 -안압지 준설공사-, 문화재관리국, 관리번호 BA0119551
  18. 국가기록원 소장문서, 1979, 안압지조경공사설계변경, 문화재관리국, 관리번호 BA0004390
  19. 국토지리정보원 http://www.ngii.go.kr/
  20. Daum지도 http://map.daum.net/

Cited by

  1. 통일신라시대 월지(月池) 입·출수 체계의 원형과 구조 vol.52, pp.4, 2019, https://doi.org/10.22755/kjchs.2019.52.4.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