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경복궁(景福宮) 배수시설(排水施設)의 조성원리(造成原理)에 관한 연구 - 경복궁 발굴조사 자료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position Principle of the Gyeongbokgung Drainage Facility - Focused on the review of Gyeongbokgung excavation survey -

  • Kim, Tae Min (Gangwh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Nam, Ho Hyun (Gangwh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투고 : 2018.09.26
  • 심사 : 2018.11.12
  • 발행 : 2018.12.30

초록

본고의 목적은 유구의 발굴조사로 확인된 자료를 활용하여 경복궁의 배수시설을 파악해보는 데 있다. 궁궐의 원활한 배수를 위한 여러 노력은 창건기 경복궁에서부터 지속되었음을 사료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창건기 당시 경복궁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도형은 남아있지 않지만, 영조대 이후 제작된 도형을 통해 추정해 볼 수 있으며, 중건 이후의 모습은 "경복궁전도", "경복궁도", "북궐도형"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문화재청이 고종대 중건 경복궁을 복원 기준으로 삼고 있기에, 본고 역시 고종대의 경복궁 배수 시설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중 본고에서는 침전, 태원전, 건청궁, 소주방, 함화당 집경당 영훈당, 흥복전 등 여섯 권역의 집수정과 암거를 분석해 보았다. 경복궁은 중심전각과 주변행각으로 구성된 여러 개의 권역으로 구성되는데, 배수 역시 각각의 행각과 전각에서 시작하여 권역별 중심배수로로 합수되는 방식임이 확인되었다. 기본적으로 중심배수로는 개방형 어구로 연결되고 어구로 나온 물은 최종적으로는 수문으로 출수되는 형태가 확인되는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경복궁의 구지형을 이용한 자연배수와 인공배수를 조화하기 위한 배치로 보인다. 배수가 시작되는 집수정은 생활하수가 다수 발생하는 지역에 설치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행각과 행각, 행각과 담장이 접하는 모퉁이에 주로 설치되는 것이 확인 되었다. 이는 지붕의 낙수 처리와 생활하수 처리를 고려한 배치로 판단되며, 특히 생활하수의 처리를 위해 행각이 끝나는 부분에 주로 주(廚)칸을 설치하는 모습도 관찰되었다. 이러한 배수시설의 설치는 경복궁의 배수가 일련의 계획 하에 매우 치밀하게 구성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drainage facility of Gyeongbokgung Palace based on the traces of the relic found during the excavation survey. Historical records indicate that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for smooth drainage facility for the palace since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Although there are no drawings showing the image of early appearance of Gyeongbokgung Palace during the foundation, it is possible to estimate it through the drawings prepared after the King Yeongjo's reign. The image of the palace after reconstruction can be seen through the "Bukgwoldohyeong" and other relevant documents. At this present, since the survey intends to determine the image of Gyeongbokgung Palace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based on the standard restoration plan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is study also focused on the drainage facility of Gyeongbokgung Palace during King Gojong's reign, particularly on the collecting wells and culverts of six areas including "Chimjeon Hall", "Taewonjeon Hall", "Geoncheongung Hall", "Sojubang Hall", "Hamhwadang - Jipgyeongdang - Yeonghundang Hall", and "Heungbokjeon Hall". Gyeongbokgung Palace is divided into various zones composed of the central halls and surrounding corridors, and the drains also primarily start from each hall and later join the central drain of the zone. The central drain then leads to the "Eo-gu(御溝)" and the water led to the "Eo-gu" is finally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gate. It appears that this series of processes were basically devised to coordinate artificial drain with the natural drain using the natural geographical features of the palace. Research showed that the collecting well where the draining begin was installed in the area where a large amount of household sewage was generated but mostly in the corners where corridors met or corridors and wall met. This appears to be an arrangement to handle the water falling from the roof and household sewage. Also, "Ju(廚)" was installed mainly at the end of the corridor to handle household sewage. The installation of these drainage facilities shows the possibility that the drainage of Gyeongbokgung was very compact under a series of plans.

키워드

참고문헌

  1. 朝鮮王朝實錄, 국사편찬위원회 국역본 DB
  2. 新增東國輿地勝覽, 민족문화추진회 국역본 DB
  3. 宮闕志,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4. 北闕圖形,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
  5. 景福宮配置圖,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6. 景福宮全圖, 삼성출판박물관 소장
  7. 景福宮圖,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8. 都城圖,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9. 彰義門 (壯洞八景帖 中), 정선,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0. 濬川事實 舟橋指南,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1. 朝鮮總督府(景福宮)敷地平面圖, 국가기록원 소장
  12. 국립문화재연구소, 1995, 경복궁 침전지역 발굴조사 보고서
  13.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景福宮 發掘調査報告書 1 - 燒廚房址
  14.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景福宮 發掘調査報告書 2 - 興福殿址
  15.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景福宮 發掘調査報告書 3 - 咸和堂․ 緝敬堂 行閣址
  16.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景福宮 發掘調査 報告書 2 - 宮牆址
  17.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景福宮 發掘調査 報告書 4 - 協生門址, 營軍直所址, 哨官處所址
  18. 국립문화재연구소, 2014, 경복궁 발굴조사보고서 - 興福殿 周邊地域
  19.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 경복궁 발굴조사보고서 - 永薰堂址
  20. 국립중앙박물관, 1996, 경복궁 훈국군영직소지
  21. 명지대학교 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 2005, 경복궁 녹산지역 발굴조사보고서
  22. (재)한국문화재보호재단, 1998, 경복궁 태원전지 발굴조사보고서
  23. (재)중앙문화재연구원, 2003, 景福宮 건청궁 발굴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4. 남호현, 2016, 조선 궁궐의 주거공간, 민속원
  25. 문화재청, 2007, 景福宮 變遷史 : 경복궁 변천과정 및 지형분석 학술조사 연구용역. 上, 下, 문화재청
  26.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편집부, 2015, 서울 2천년사 13 : 조선시대 서울의 도시 경관, 서울특별시사 편찬위원회
  27. 박정해, 2013, 경복궁의 입지환경에 대한 풍수적 논의와 해석 향토서울 83호, 서울특별시 시사 편찬위원회
  28. 문다미.이재근, 2000, 궁궐 공간의 배수체계에 관한 연구 -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을 중심으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8권 2호, 한국전통조경학회
  29. 문다미, 2001, 전통 궁궐 공간의 수체계에 관한 연구 : 고문헌 및 지도 분석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최인화, 2008, 景福宮 建物址의 考古學的 硏究 : 특히 積心을 대상으로 하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31. 한동수, 2014,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경복궁도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4호, 한국건축역사학회
  32. 黃龍得, 1989, 傳統空間의 配水處理技法에 관한 硏究 - 宮闕과 寺刹을 中心으로 -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