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 Code
장애수용이 정책신뢰도를 매개로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장애유형별 집단 비교
The Effect of Disability Acceptance Mediated with Policy Trust on the Life Satisfaction: Group Comparison of Disability Type
- 최윤정 (경남정보대학교 사회복지과)
- Choi, Youn Jeong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Kyungnam College of Information & Technology)
- 투고 : 2018.07.31
- 심사 : 2018.09.27
- 발행 : 2018.09.30
초록
본 연구는 장애수용이 정책신뢰도를 매개로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 관계가 장애유형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이 2017년 실시한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웨이브 2차년도 원자료를 활용하였다. 응답자 중 신체외부장애인 2,378명과 정신적장애인 571명의 자료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매개효과 검증 및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의 장애수용은 정책신뢰도를 매개로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둘째, 신체외부장애인과 정신적장애인 두 집단 모두 장애수용과 정책신뢰도가 삶의 만족 예측요인이었다. 셋째, 신체외부장애인과 정신적장애인 두 집단 간의 경로계수에 차이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의 삶의 만족 향상을 위한 실천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disability acceptance mediated with policy trust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group difference of disability type. For this purpose, the raw data(2nd wave, 2st survey) of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conducted by the Korea Employment for the Disabled were used. Among the respondents, the data of 2,378 of the external physical disabled and 571 of mental disabled were analyzed. For the analysi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 of mediation and group difference.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isability acceptance of the disabled people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by policy trust, and this was verified with partial mediated model. Second, In both groups, the external physical disabled and metal health disabled, disability acceptance and policy trust were the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Third, the difference in path coefficients between the two groups of external physical disabled and mental disabled was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ction plans were discussed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