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학교관리자의 진로직업교육에 관한 역량모델 개발

The Development of a Competence Model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Middle School principles

  • 투고 : 2018.08.13
  • 심사 : 2018.09.18
  • 발행 : 2018.09.30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에서 진로직업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학교관리자에게 필요한 역량 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는 학교관리자의 수준을 파악하는 지표로 활용되어 학교관리자 스스로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진단하고 필요한 역량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 연구를 통한 이론 고찰, 기초연구, 델파이 조사, 계층화 분석(AHP), 설문조사 순으로 진행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중학교 학교관리자 진로직업교육 역량모델은 역량군 3개, 역량요소 9개, 행동지표 67개 항목으로 구성 되었다. 첫째, 중학교 학교관리자 진로직업교육 역량은 학교 진로직업교육 시스템 구축 역량, 학교 진로직업교육 지원 역량, 학교 진로직업교육 환경 조성 역량 3개 역량군으로 도출되었다. 역량 중에서 학교 진로직업교육 지원 역량이 AHP 분석결과 가장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중학교 학교관리자 진로직업교육 역량요소는 목표관리, 성과관리, 교육문화 조성, 교원 교육활동 지원, 학교 교육과정 지원, 학생지원, 인사관리, 자원관리, 지역사회관리로 9개 영역으로 델파이 조사로 확인되었다. 또한 AHP 중요도에 있어서 학교 진로직업교육 지원 역량군의 학교 교육과정 지원 역량요소가 9개 역량요소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중학교 학교관리자 진로직업교육 행동지표는 성향 18개 항목, 지식 18개 항목, 수행 31개 항목 3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도출하였다. 학교 진로직업교육 시스템 구축 역량군 행동지표는 23개 항목, 학교 진로직업교육 지원 역량군 행동지표 23개 항목, 학교 진로직업교육 환경 조성 역량군 행동지표 21개 항목으로 총 67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mpetence model for school principals that provides effectiv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CVE) at middle schools. This model can be used as an indicator for identifying the expertise levels of principals in CVE and to help them develop the necessary skills. Research methods included literature review, basic research, the Delphi techniqu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d survey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ompetence model for CVE for middle school principals consisted of three competence groups, nine competence elements, and 67-item behavior indicators. First, the three competence groups included the competence to build a school system for CVE, the competence to support CVE at school, and the competence to create a school environment for CVE. Competence to support CVE at school turned out to be most important in the AHP analysis. Second, competence elements included goal management, performance management, the creation of educational culture, support for educational activities, support for school curriculum, support for students, human resources management, resource management and community management. According to the AHP analysis, support for school curriculum was the most significant among the nine competence elements. Third, the behavior indicators were identified items in three areas: 18 items for individual propensity, 18 items for knowledge, and 31 items for performanc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윤진(2014). 감성역량 모델 및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2. 국립국어원(2017). 역량. http://stdweb2.korean.go.kr/search/View.jspidx=457713#top 에서 검색함(2017.1.12.).
  3. 김경근, 변수용(2006). 한국사회에서의 상급학교 진학 선택 결정요인. 교육사회학연구, 16(4), 1-27.
  4. 김경식, 이현철(2008). 청소년의 교육에 대한 사적 가치 기대 변화. 교육사회학연구, 18(4), 1-27.
  5. 김기선(2014). 중학교 교장의 도덕적 지도성, 교사효능감, 교사공동체성, 직무만족 간의 구조 관계.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6. 김동원(2012). 중등 학교장의 핵심 역량 지표 개발 및 역량 수준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7. 김봉환 외(2010). 진로상담이론. 서울: 학지사.
  8. 김준호(2011). 교사의 핵심역량이 학생의 학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9. 김항중, 송선희(2011).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교장평가를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23(2), 355-383.
  10. 남현주(2014). 기업상담자 역량모형 개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1. 류방란(2006). 교육격차: 가정 배경과 학교교육의 영향력 분석.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2. 박경선(2012). 보건교사의 역량모형 개발.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3. 박경애, 김승수(2007). 중학생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진로성숙 의사결정확신 및 고등학교 선택에 미치는 효과. 진로교육연구, 20(1),
  14. 박영순(2011). 교장의 경영능력 평가준거 개발.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5. 박영호(2011). 학교장의 리더십 역량모델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6. 방하남, 김기헌(2002). 기회와 불평등: 고등교육 기회에 있어서 사회계층간 불평등의 분석. 한국사회학, 36(4), 193-222.
  17. 성낙돈(2008). 초등학교장의 핵심 역량에 대한 교사 인식 조사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5(3), 325-348.
  18. 심명순(2015). 학교장의 리더십과 조직성과와의 관계: 교사의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9. 유재환(2014). 학교장 직무 역량 설정과 승진 구조와의 연계성 분석. 교육문제연구, 20(1), 101-123.
  20. 이동희(2006). 역량모델링을 통한 직무역량개발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21. 이무근(2003). 직업교육학 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22. 이승구(2007). 청소년의 진로지도를 위한 미래 직업탐색 방안 모색. 직업과 고용서비스 연구, 2(1), 1-18.
  23. 이은상(2015). 기술 교사의 공학 교수역량 모델 개발.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24. 이종성(2001). 델파이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25. 정일화(2007). 교장의 직무표준 개발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26. 정철영 외(2015). 우리나라 진로교육 현황 및 발전 방향 연구. 진로교육연구, 28(3), 155-171.
  27. 조대연, 박용호, 김벼리, 김희영(2010). 학교장의 직무역량에 대한 교구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7(4), 293-315.
  28. 한국진로교육학회(2011). 선진 패러다임을 위한 진로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9. 한국학중앙연구원(2017). 직업교육.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61949&cid=46615&categoryId=46615 에서 검색함(2017.4.18.)
  30. 홍순희(2012).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 경영적 지도성, 수업지도성,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31. 황여정, 김경식(2006). 일반계 고등학생의 학교만족도 결정요인. 교육사회학 연구, 16(2), 181-203.
  32. Lawshe, C. H. (1975). Aquantitative appro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
  33. Krejcie, R. V., & Morgan, D. W. (1970). Determining sample size for research activitie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30, 607-610 https://doi.org/10.1177/001316447003000308
  34. Lee, Y. (2009). Competencies needed by Korean HRD master's graduates: A comparison between the ASTD WLP competency model and the Korean study.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20(1), 107-133. https://doi.org/10.1002/hrdq.20010
  35. McClelland, D. C.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14. https://doi.org/10.1037/h0034092
  36. Spencer, L. M., & Spencer, S. M. (1993). Model for superior performance. NY : John Wiley & Sons.
  37. Williams, P., & Webb, C. (1994). The Delphi technique: A methodological discuss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 180-86. https://doi.org/10.1111/j.1365-2648.1994.tb01066.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