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장외영향평가 F-N curve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F-N curve to OCA

  • 투고 : 2018.08.29
  • 심사 : 2018.09.18
  • 발행 : 2018.10.31

초록

최근 화학공장의 중대산업사고로 인한 인명피해가 발생하면서 화학공장의 안전성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한정된 자원과 공간 속에서 생산량의 증가와 원단위의 감소를 위해 설비는 점점 고도화와 대형화되는 추세임으로 이러한 중대산업사고의 위험성은 높아질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상황속에 장외영향평가 도입으로 정량적위험성평가가 활성화되면서 화학공장에 대한 객관적인 위험성을 평가할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하였다. 하지만 현재 장외영향평가는 화재/폭발/누출에 대한 영향범위가 사업장 밖까지 도달하는지를 평가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런 경우 중대산업사고가 인근지역에 미치는 영향은 분석할 수 있지만 사고발생빈도와 사업장 주변 인구밀도에 따른 실제 위험성을 평가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중대산업사고에 대해 끝점만 분석하는 경우와 F-N curve를 적용하는 경우를 비교하는 사례연구를 통해 장외영향평가 F-N curve를 적용하는 것에 대한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The distrust about chemical plant safety have been increased by occurring the major industrial accidents. Chemical plants have become more and more enlarged and sophisticated to increase production amount and decrease cost. So hazard of industrial accidents also have been increased. In this situation,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is activated by introducing OCA(Off-site Consequence Analysis). So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objective hazard of chemical plant. Currently OCA focus on the end point of hazardous area by fire/explosion/dispersion. But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industrial accident effect to near the chemical plant but hard to consider the actual hazard by frequency and population density. This study analyzes the validity about application of F-N curve to OCA by compare end point with F-N curve about accident.

키워드

참고문헌

  1. " P-102-2012 사고 피해예측 기법에 관한 기술지침", KOSHA guide, 2012
  2. "P-107-2016 최악 및 대안의 누출 시나리오 선정에 관한 지침", KOSHA guide, 2016
  3. "화학물질안전원 지침 제2014-1호 사고시나리오 선정에 관한 기술지침", 화학물질안전원, 2014
  4. "Chemical Process Safety fundamentals with applications, 3th, PRENICE HALL, 2011
  5. Y.D. Jo, B.J. Ahn, "Analysis of hazard areas associated with high - pressure natural -gas pipelines", Journal of Loss Prevention in the Process Industries, 15(3), 179-188 https://doi.org/10.1016/S0950-4230(02)00007-4
  6. "Methods of approximation and determination of human vulnerability for offshore major accident hazard assessment", HSE, (2017)
  7. Anderson J, Brito "A multicriteria model for risk sorting of natural gas pipelines based on ELECTRE TRI integrating Utility Theory",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200), 812-821, (2010)
  8. "Guidelines for chemical process quantitative risk analysis, Center for Chemical Process Safety", 2th, AICHE/CCPS, (2000)
  9. "G-P-PRS 002 Safety, Health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SHE) at Planning and Construction of Process Plants", rev1, BASF,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