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itics of Knowledge of Asbestos Activism in South Korea: Settled Dust Analysis and the Controversies over Asbestos Pollution Measurement

한국석면운동의 지식 정치: 먼지 분석법과 석면오염 측정 논란을 중심으로

  • 강연실 (가톨릭대학교 인문사회연구소)
  • Received : 2018.01.30
  • Accepted : 2018.03.13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asbestos activism in South Korea by focusing on the politics of knowledge between the asbestos activist group and regulatory agency on the risk of asbestos exposure. Asbestos activism has contributed to establishing asbestos pollution an important safety and public health agenda in South Korea. Asbestos pollution investigation is key to core argument of the activism that asbestos pollution is pervasive especially in urban environment and a serious environmental health problem with its worst consequences has not yet seen.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such asbestos investigation is the use of "settled dust analysis," non-standard, non-legislated analysis method. In this paper, literary technologies used in asbestos investigation report written by activists and controversies over asbestos pollution measurement in Samsung's head office building. Asbestos activists successfully concentrated media's attention on their argument and mobilize resources needed to make policy decisions, by using settled dust analysis data. Regulatory agency and expert group, however, neither saw settled dust analysis nor activists argument persuasive enough to make policy changes, base on their evaluation on the use of standards and evidentiary context for analyzing measured data. While its explanatory power is partially acquired, through the dispute between asbestos activists and regulatory agencies unspoken assumptions of regulatory science was revealed and became the matter of social debate. Settled dust analysis captures the characteristic of asbestos analysis which combined social movement and science to challenge the regulatory agency and expert group.

이 논문은 한국석면운동의 지식 정치적 측면을 검토한다. 2008년 본격적으로 시작된 석면운동은 석면오염을 한국 사회의 중요한 안전보건의제로 만드는 데 앞장서 왔다. 석면오염 측정은 특히 석면오염이 광범위하고 심각한 환경보건문제라는 주요 주장을 펼치는 데 매우 중요했다. 이 활동의 특징은 공정시험방법이 아닌 '먼지 분석법'을 활용했다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석면운동가들의 오염 조사 보고서와 삼성 본관 주변 석면오염 논란을 통해 먼지 분석법이 대항 지식으로서 권력을 획득하는 과정을 분석한다. 석면운동가들은 먼지 분석으로 얻은 측정 데이터를 활용해 그들의 주장에 언론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정책적 변화에 필요한 자원을 동원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규제기관을 중심으로 한 전문가 집단은 먼지 분석법이 신뢰할 수 있는 석면오염 측정방법이라는 석면운동가들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론을 내리는 데 측정 과정에서 표준적 방법의 사용 여부와 측정 데이터의 해석적 맥락이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하였다. 먼지 분석법의 권위는 부분적으로 획득되었다. 그러나 먼지 분석법은 규제과학이 내포하는 가정들을 드러내고 사회적 토론의 대상으로 전환시켰다는 점에서, 사회 운동과 과학을 결합하여 규제기관과 전문가 집단의 측정에 도전한 석면운동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동묵 (2009), 환경성 석면 노출의 건강영향, 한국환경보건학회지, 제35권 제2호, 71-77쪽. https://doi.org/10.5668/JEHS.2009.35.2.071
  2. 강연실.이영희 (2015), 환경 위험과 생물학적 시민권: 한국의 석면 피해자 보상운동을 중심으로, 시민사회와 NGO, 제13권 제1호, 125-162쪽.
  3. 김종영 (2011), 대항지식의 구성: 미 쇠고기 수입반대 촛불운동에서의 전문가들의 혼성적 연대와 대항논리의 형성, 한국사회학 제45집 제1호, 109-152쪽.
  4. 김종영.김희윤 (2013), '삼성백혈병'의 지식정치: 노동보건운동과 현장 중심의 과학, 한국사회학, 제47집 2호, 267-318쪽.
  5. 김주희 (2017), 전자파 위험 지형도의 상이한 구성: 지중 송전선로 논쟁과 표준,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남명숙.김창수.양기용 (2017), 석면위험과 석면정책변동, 지방정부연구, 제20권 제4호, 187-212쪽.
  7. 뉴스포스트 (2009.3.20.), 옛 삼성본관 석면 검출 논란, http://www.newspost.kr/news/articleView.html?idxno=2205
  8. 다카기 진자부로, 김원식 옮김 (2011), 시민과학자로 살다, 서울, 녹색평론사.
  9. 머니투데이 (2009.3.25.), 미 연구소, "삼성 옛본관 청석면 검출 없어", http://news.mt.co.kr/mtview.php?no=2009032511360742853&type=1&VR
  10. 문혜준 (2014), '생활 속 방사능'의 구성: 월계동 아스팔트 방사능 논쟁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미디어오늘 (2009.4.8.), 바닥에는 있지만 공기 중에는 없다?, 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78751
  12. 민주노총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동조합연맹 (2007.1.23), 지하철 이용시민 '죽음의 섬유' 석면에 무방비 노출.
  13. 박용숙 (2013), 석면과 국가의 기본권 보호 의무: 일본의 건설석면소송에서의 국가책임, 환경법과 정책, 제11권 1-33쪽.
  14. 박태현 (2009), 우리나라 석면 피해 구제를 둘러싼 법적 쟁점의 검토: 피해보상기금 조성문제와 석면노출의 증명책임 경감문제를 중심으로, 환경법과 정책, 제2집 113-140쪽.
  15. 부산지방법원 (2012), 판결문 (2008가합21566).
  16. 서울신문 (2009.3.26.), 서울 태평로 일대 '석면 공방'.
  17. 서울지방노동청.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9.4.6.), '삼성본관 석면 해체 제거공사' 현장 석면 조사결과 발표.
  18. 시민환경연구소 (2008.11.25.), 삼성본관 사무실 책상 위 먼지에서 청석면3% 검출!.
  19. 시민환경연구소 (2009),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초역, 방배역, 봉천역과 4호선 한성대입구역에서 석면 검출.
  20. 시민환경연구소.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직업환경건강교실.한국석면추방 네트워크 (2009a), 삼성본관 주변환경 석면오염 조사보고서(II).
  21. 시민환경연구소.서울대학교보건대학원 직업환경건강교실.한국석면추방 네트워크 (2009b), 노동부의 <'삼성본관 석면해체.제거공사 현장' 석면조사결과>에 대한 입장.
  22. 신동호 (2011.11.), 석면정책 사각지대는 바로 우리 생활주변, 주간경향, 제949호, 32-35쪽.
  23. 안종주 (2008), 침묵의 살인자 석면 , 서울, 한울.
  24. 안호기 외 (2015), 폐석면광산 주변 지역의 주택 침적먼지의 석면 검출과 석면폐증의 관련성, 한국환경보건학회지, 제41권 제6호, 369-379쪽. https://doi.org/10.5668/JEHS.2015.41.6.369
  25. 엄지원 (2016), 우리에게 과학자 친구가 있다면, 한겨레21, 제998호
  26. 윤충식 (2009), 석면과 건강에 대한 이슈, 한국환경보건학회지, 제35권 5호 426-432쪽. https://doi.org/10.5668/JEHS.2009.35.5.426
  27. 이기영 (2011), 석면피해구제법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킹돈의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이영희 (2014), 과학기술 시티즌십의 두 유형과 전문성의 정치: 과학기술 대중화 정책과 '차일드세이브'의 활동을 중심으로, 동향과전망, 통권92호, 174-211쪽.
  29. 이정 (2010), 아토피 질환의 '한국적' 탄생과 부상: 대중적 지식활동의 역할을 중심으로, 과학기술학연구, 제10권 제 1호, 107-152쪽.
  30. 임은경 (2016), 박상표 평전: 부조리에 대항한 시민과학자, 서울, 공존.
  31. 장재길 (2007), 석면분석 정도관리 방안, 안전보건 연구동향, 제2호, 20-21쪽, 산업안전보건연구원.
  32. 정남순 (2009), 국내외 석면피해 소송의 현황과 문제점, 환경법과 정책, 제2집, 61-80쪽.
  33. 조영우 (2015.1.30.) 공포의 물질 석면 안전한 분석의 기술, 환경데일리 http://www.ecoday.kr/news/newsview.php?ncode=1065578232973889
  34. 최예용 (2009), 환경성 석면노출과 건강문제, 환경법과 정책, 제2권 61-82쪽.
  35. 최예용 (2013), 아시아에서 석면산업의 국가간 이동,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6. 최예용 (2017.2.), 국제 석면추방 운동가 이정림을 아시나요, 주간경향, 제1212호, 58-60쪽.
  37. 한국석면추방네트워크 (2008), 출범선언문.
  38. 함태성.정민호 (2011), 석면피해구제에 대한 법적 검토, 환경법과 정책, 제6권, 179-216쪽.
  39. 환경보건시민센터 (2011), 조사보고서 2011-1 수정고드름? 석면고드름!.
  40. 환경보건시민센터 (2014), 재개발로 인한 석면노출 위험성 일깨운 석면추방운동가 최형식 선생 별세.
  41. 환경부 (2010), 환경부고시 제 2010-24호 실내공기질공정시험기준.
  42. 환경운동연합 (2017), 학교 석면 문제 공론화 시킨 두 엄마 이야기, 함께사는길, 통권 292호, http://www.hamgil.or.kr/
  43. 황예랑 (2016), 피해자에게 떳떳한 과학자, 한겨레21, 제1112호, 22-27쪽.
  44. CBS (2011.10.4.) 환경부가 제시한 석면함유기준 1%가 문제 되는 이유,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 http://www.nocutnews.co.kr/news/4218813
  45. Anderson, J. (2011), "Certainty vs. Finality: Constitutional Rights to Postconviction DNA Testing", in Sheila Jasanoff ed., Reframing Rights: Bio-Constitutionalism in the Genetic Age, pp. 125-146, Cambridge: MIT Press.
  46. Breysse, P.N. (1991) "Electron Microscopic Analysis of Airborne Asbestos Fibers" Critical Reviews in Analytical Chemistry Vol. 22 no.3-4, pp.201-227. https://doi.org/10.1080/10408349108055029
  47. Frickel, S. et al.(2010), "Undone Science: Charting Social Movement and Civil Society Chellenge to Research Agenda Setting", Science, Technology & Human Values, Vol. 35 issue 4, pp. 444-473 https://doi.org/10.1177/0162243909345836
  48. IARC (2012), "Asbestos (Chrysotile, Amosite, Crocidolite, Tremolite, Actinolite and Anthophyllite)", in IARC Monographs on the Evaluation of Carcnogenic Risks to Humans Volume 100C, pp. 219-309.
  49. Kang, D.M.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Asbestos Exposure and Malignant Mesothelioma in Busan, Korea,"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Asbestos Conference, Yokohama, Japan, pp. 237-254.
  50. Kang, Y. (2017), Asbestos Activism and Environmental Health Policy in South Korea: A Study of Knowledge Production about Hazard in the Compensation Regime, Ph. D. Dissertation, KAIST.
  51. Nash, L. (2007), Inescapable Ecologies: A History of Environment, Disease, and Knowledge, Berkeley and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2. Ottinger, G. (2009), "Epistemic Fencelines: Air Monitoring Instruments and Expert-Resident Boundaries", Spontaneous Generations, Vol. 3 no. 1, pp. 55-67.
  53. Ottinger, G. (2010), "Buckets of Resistance: Standard and the Effectiveness of Citizen Science", Science, Technology & Human Values, Vol. 35 no. 2, pp. 244-270. https://doi.org/10.1177/0162243909337121
  54. Rosner, D. and G. Markowitz (2005), Deadly Dust: Silicosis and the On-Going Struggle to Protect Workers' Health (New and Expanded Edition),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55. Timmermans, S. and S. Epstein (2010), "A World of Standards but not a Standard World: Toward a Sociology of Standards and Standardization", Annual Review of Sociology, Vol. 36, pp. 69-89. https://doi.org/10.1146/annurev.soc.012809.102629
  56. USEPA (2003), "World Trade Center Background Study Report - Interim Fi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