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Instruction Method on Self-Leadership and Learning Motivation of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플립 러닝을 활용한 수업이 예비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 Sim, Yun Hee (Department of Child Educare Welfare, Hanyang Women's University)
  • 심윤희 (한양여자대학교 아동보육복지과)
  • Received : 2018.08.07
  • Accepted : 2018.10.23
  • Published : 2018.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for early child care instruction on self-leadership and learning motivation of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The subjects were 54 under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early child care education related field. Twenty-eight participated in a course, 'Guidance for Young Children', where flipped learning instruction was applied, and the comparison group(28 participants) attended a traditional lecture for one semester. Survey on self-leadership and learning motivation was conducted during the 1st and the 15th week and an in-depth interview with 8 subject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who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was conducted. T-test and open coding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lipped learning instru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re-service teachers' self-leadership. Second, flipped learning instruction showed positive effect on pre-service teachers' learning motivation. Among the sub scales, there were positive effects on attention, relativeness, and satisfaction. Third, pre-service teachers could actively participate in learning and also focus on learning through process-based flipped instruction strategy. The flipped class experience motivated the teachers to hold initiative in improving work capacity and also helped regulate their thoughts and behaviors. In conclusion, flipped learning instruction applied course provided pre-service teachers with learning motivation and reinforced their competence as self-leaders.

Keywords

References

  1. 김남익, 전보애, 최정임(2014). 대학에서의 거꾸로 학습(Flipped Learning)사례 설계 및 효과성 연구: 학습동기와 자아효능감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30(3), 467-492.
  2. 김도희, 강명희, 강민정(2017). 대학에서 활용된 플립드 러닝의 학습효과 분석. 교육방법연구, 29(4), 597-625.
  3. 김동일, 오헌석, 송영숙, 고은영, 박상민, 정은혜(2009). 대학교수가 바라본 고등교육에서의 대학생 핵심역량. 아시아교육연구, 10 (2), 195-214.
  4. 김보영(2018). 아동보육과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을 위한 플립 러닝 교수학습모형개발 및 적용. 열린부모교육연구, 10(2), 37-60.
  5. 김영학(2016). 대학 <사고와 표현> 교과에 대한 플립 러닝 적용 사례 연구. 한민족 문학, 72, 149-181.
  6. 김은진(2007). ARCS 동기모델을 적용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이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7. 김현(2017). 보건교육 수업에서 플립드 러닝을 적용한 사례 연구. 교육문화연구, 23(5), 135-148.
  8. 박완성, 김효원(2016). 플립드 러닝 수업 적용 사례 연구: 대학생의 학습 및 비학습 경험과 수업참여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2), 525-546.
  9. 박은희(2018). 대학 수업에서의 플립드 러닝의 교육성과 효과 탐색. 성인계속교육연구, 9 (1), 49-66.
  10. 박종향(2018). 대학교수자의 플립드 러닝 수용의도 및 실천에 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1. 방하진, 이지현(2014).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의 교육적 의미와 수업 설계에서의 시사점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31(4), 299-319.
  12. 서미옥(2016). 혼합연구를 통해 본 플립드러닝의 영향과 인식. 교육공학연구, 32(3), 535-570.
  13. 석말숙(2016). 사회복지교육에서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수업의 효과성: 자기주도적 학습력, 학습동기, 자아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 35, 1-29.
  14. 손은주(2017).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수업이 예비보육교사의 학습동기와 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효과. 육아지원연구, 12(1), 93-116.
  15. 손은주, 박정혜, 임인철, 임용, 홍석우(2015). 대학수업에 적용된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이 대학생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인지발달중재학회지, 6(2), 97-117.
  16. 신용국, 김명소, 한영석(2009). 셀프리더십 척도 타당화 연구: 우리나라 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6(3), 313-340.
  17. 신원우(2018). 사회복지학 교과목에 대한 플립러닝 적용 사례 연구: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수업 적용을 중심으로.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3), 33-42.
  18. 오정숙(2015). 플립드 수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경험과 인식. 한국교육문제연구, 33(4), 1-23.
  19. 유혜숙, 김남영(2017). 플립드 러닝을 적용한 학습이 간호대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1), 491-510.
  20. 이미화, 백성혜(2005). Keller의 ARCS전략을 적용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동기 향상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24(4), 380-390.
  21. 이용숙, 김영천(2002). 교육에서의 질적연구: 방법과 적용. 서울 교육과학사.
  22. 이유정(2012).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대학생활 만족도, 자기주도적 학습력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3. 이정순(2013). 유아교사의 핵심역량에 기반한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분석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4. 이종찬(2013).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고용가능성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5. 이지연, 김영환, 김영배(2014). 학습자 중심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수업의 적용 사례. 교육공학연구, 30(2), 163-191.
  26. 이진화(2011).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6(1), 127-144.
  27. 임상훈, 김수민, 이신우, 유영만(2016). 대학생들은 플립드 러닝 수업을 통해 어떤 경험을 하는가?.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2(4), 777-803.
  28. 전영주, 윤마병(2016). 플립 러닝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과학교육론 수업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3), 499-507.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3.0499
  29. 전은영(2017). 대학 전공 수업에서의 '플립러닝' 적용 사례연구: 학습 동기와 수업 만족도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1), 1-21.
  30. 정남진(1999). 연구개발 조직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 슈퍼리더십과 셀프리더십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1. 정태희(2005). 셀프리더십 교육이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자존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 32(1), 223-248.
  32. 조보람, 이정민(2018). 국내 플립 러닝의 학습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논문지, 16(3), 59-73.
  33. 조부경, 서윤희(2012).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셀프리더십 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 열린유아교육연구, 17(6), 219-247.
  34. 채영란(2017). 플립드 러닝을 적용한 유아미술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미술교수효능감과 인지적 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21(1), 215-236.
  35. 최석봉, 임명서(2011).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학업만족도 및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6, 27-46.
  36. 최유나(2016). 플립드 러닝을 적용한 수업이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학습동기,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7. 최지연(2016. 05).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편, 2016년 춘계 종합 학술대회 논문집, 융합콘텐츠(pp. 381-382). 전북: 군산대학교.
  38. 한영석, 김명소(2010). 셀프리더십의 성별차이 및 대학생활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15(2), 215-233.
  39. 한정선, 김진희(2018). 대학 플립드 러닝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수실재감, 인지된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관계.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4(1), 177-199.
  40. 한태인(2017). 소프트웨어교육에서 플립 러닝이 학습동기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1(6), 665-673.
  41. 한형종, 임철일, 한송이, 박진우(2015). 대학 역전학습 온, 오프라인 연계 설계전략에 관한 연구. 교육공학연구, 31(1), 1-38.
  42. 허갑수, 변상우(2012). 셀프리더십이 목표몰입에 미치는 영항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경영정보연구, 31(1), 23-44.
  43. 홍기칠(2016).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의 실행에 대한 비평적 분석. 교육방법연구, 28(1), 125-149.
  44. Davies, R. S., Dean, D. L., & Ball, N. (2013). Flipped the classroom and instructional technology integration in a college-level information systems spreadsheet course.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6, 563-580.
  45. Delozier, S. J., & Rhodes, M. G. (2016). Flipped classrooms: A review of key ideas and recommendations for practice.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January, 1-11.
  46. Houghton, J. D., & Neck, C. P. (2002).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Testing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for self-leadership.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17(8), 672-691. https://doi.org/10.1108/02683940210450484
  47. Keller, 송상호 (1999). 매력적인 수업설계: 주의 집중.관련성.자신감 그리고 만족감. 서울: 교육과학사.
  48. Manz, C. C., & Sims, H. P. (1991). Superleadership: Beyond the myth of heroic leadership. Organizational Dynamics, 19, 18-35. https://doi.org/10.1016/0090-2616(91)90051-A
  49. Neck, C. P., Stewart, G. W., & Manz, C. C. (1995). Thought Self-Leadership as a Framework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Performance Appraisers.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31(3), 278-302. https://doi.org/10.1177/0021886395313004
  50. Prussia, G. E., Anderson, J. S., & Manz, C. C. (1998). Self-leadership and performance outcomes: The mediating influence of self-efficac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9(5), 523-538. https://doi.org/10.1002/(SICI)1099-1379(199809)19:5<523::AID-JOB860>3.0.CO;2-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