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Words Carved on Seongdeokdaewang-Shinjong (Divine Bell of King Seongdeok) with a New Viewpoint

신라성덕대왕신종(新羅聖德大王神鍾)의 명문(銘文) 연구(硏究) -'사상성(思想性)' 탐색을 겸하여-

  • 최영성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무형유산학과)
  • Received : 2018.01.06
  • Accepted : 2017.02.07
  • Published : 2018.02.15

Abstract

Seongdeokdaewang-Shinjong, the 29th National Treasure, is highly valuable as a study material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the histories of ideology, Buddhism, politics, art-craft, Chinese character study, calligraphy, epigraphy and so on of the mid-time of Shinra. Compared with the people's interest in the Shinjong, however, the studies on the words carved on it have not been yet deepened. Such studies have not been yet overcoming the phase of decoding and translation of the words. Today, it is required to analyze and study the words systematically. This article starts with such critical mind. That is why the subtitle of this article is Research on the Background of Thoughts considering that this study must be followed by its 2nd study. This study has totally reviewed the decoding and annotation works that have been done so far. Byeonryeomun (騈儷文: a writing style of Chinese character) has been also studied on its written patterns. As a result, approximately 20 problems have been found and corrected. Especially, such key phrases as '工匠?模' and '日月?暉' have been translated in a new way to spotlight the importance of translation of the carved words. The words carved on the Shinjong are highly valuable to study in the aspect of ideology history. The words fully show not only Buddhist thoughts, Confucian thoughts and Taoist thoughts but also Korea's own unique thoughts, which are all melted in the words without any obstacle to each other. In general, they are highly philosophical words. The words are unique especially in the aspect: They give a meaning to the Shinjong based on the keyword Won-Gong (圓空: circle and empty) and suggest the key point of Buddhist thoughts and governing philosophy altogether. That is, they imply that King Seongdeok's political ideology and governing principle are connected to Pungryudo (風流道), Korea's own unique philosophy. This implication is key evidence that makes it possible to trace the context of transmission of Pungryudo. You should not miss also the phrases implying that there was a big argument between reform group based on Confucian thoughts and conservative group based on Korea's own unique thoughts.

국보 제29호인 성덕대왕신종은 신라 중대(中代)의 사상사, 불교사, 정치사, 공예사, 한문학사, 서예사, 금석학사 등 여러 면에서 연구 자료로서의 가치가 높다. 그러나 신종에 대한 일반의 관심도에 비추어 명문(銘文)에 대한 연구는 아직 활발하지 않다. 명문에 대한 판독과 번역의 단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체계적인 분석과 연구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 글은 이런 문제의식에서 기초한다. 부제(副題)를 '사상성의 탐색'으로 한것은 제2차 연구를 염두에 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종래의 판독과 역주(譯註)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하였다. 변려문(騈儷文)의 문체적 특성에 대한 연구도 병행하였다. 그 결과 약 20건 정도의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특히 '工匠?模', '日月?暉' 등 중요한 문구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 것은, 명문 해석의 중요성을 부각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신종의 명문은 사상사의 측면에서 연구할 가치가 높다. 명문에는 불교사상, 유교사상, 도가사상은 물론 우리나라 고유사상 등이 서로 걸림이 없이 무르녹아 있다. 전반적으로 철학성이 높은 글이다. '원공(圓空)'을 주제어로 신종의 의미를 부여하면서, 아울러 불교사상의 핵심과 통치철학을 제시한 것이 돋보인다. 한편 성덕왕의 정치이념, 통치원리가 우리 고유의 풍류도(風流道)에 연결되어 있음을 시사한 것은, 풍류도 전승의 맥락을 추적하게 하는 중요한 단서다. 혜공왕 대에 유교사상에 입각한 개혁파와 민족 고유사상에 기반을 둔 보수파와의 대결을 시사한 대목도 함께 보아야 할 대목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