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onesia 2017: Return of Pancasila on the Eve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인도네시아 2017: 빤짜실라의 귀환과 대선 국면의 도래

  • Received : 2018.01.18
  • Accepted : 2018.02.14
  • Published : 2018.05.31

Abstract

Basuki Tjahaja Purnama, Jakarta's Ex-Governor, lost his re-election bid in 2017 and then was jailed on a charge of blasphemy. After his defeat, the rhetorics of Indonesian politics was divided into two opposing sides: anti-Communism and 'pribumi' of the radical Islamic movements and Pancasila of the Jokowi administration. Although Islamic political parties are now preoccupied with their own coalitional politics and survivals, rather than solidarity of Islamic forces, the rising Islamic sentiments confirmed by the Jakarta election indicate that religion will continue to be a key variable in Indonesian politics. Meanwhile, ex-military generals who declared themselves as candidates in the 2018 regional election and the 2019 presidential election, as well as a few measures used by the Jokowi administration against extra-parliamentary political opponents, remind us of Suharto's New Order. Steady growth continues in economy. The raise of minimum wage enlarged middle classes and led to a decline of the poverty rate. Jokowi's commitment to building infrastructure has made tangible achievements. Under these circumstances, enhanced cooperation between Indonesia and South Korea is laudable, though any such cooperation must fully incorporate local sociocultural contexts, such as the strengthened halal certification system.

기독교도이자 화인인 바수키 자카르타 주지사는 그간 구가하던 인기에도 불구하고 2017년 선거에서 재선에 실패하고 종교모독죄로 수감되었다. 그의 패배 이후 인도네시아 정치의 레토릭은 급진 이슬람 정치운동의 '반공' 및 '프리부미(토착민)'와 조코위 정부의 '빤짜실라'가 대결하는 양상이었다. 비록 제도권 이슬람 정당들은 이슬람의 결집보다는 각자의 연합 정치와 정당의 생존에 몰두하고 있지만, 자카르타 주지사 선거에서 확인된 이슬람 감수성의 고양은 향후에도 종교가 인도네시아 정치의 핵심 변수가 될 것임을 보여 준다. 또한 2018년 지방자치단체장 선거와 2019년 대선을 앞두고 등장한 장성 출신의 후보들, 그리고 조코위 대통령이 제도권 외부의 정적을 향해 사용한 일부 조치들은 수하르토의 신질서를 떠올리게 한다. 한편 인도네시아의 경제는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최저임금 인상으로 중산층이 확대되고 빈곤율이 감소했으며, 조코위 정부의 공약이었던 인프라 건설도 성과를 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협력 증진은 고무적인 일이지만, 협력은 할랄인증제의 확대 실시 등 현지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강원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