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Recently, user participatory workshops have been applied as a way to plan landscape spaces that reflects the needs and demands of the users. It is also requi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FECC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Children), which is growing rapid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duct the design elements (forest play activities and space), the basic needs, and the demands of users in making the FECC a preschooler participatory workshop. For this, materials for preschooler participation were selected, and a step-by-step workshop was conducted to satisfy the demands of the preschooler's development. First, in the pre-workshops phase, design elements standards were deducted through the preschooler participatory results (41 children aged 6 and 7, Kindergarten). Second, in the main workshop phase, the design elements to be introduced on the site (Songsan-mulbit FECC) were deducted through the participating preschooler's selection and those results were analyzed. The materials used at the preschooler participatory process were 'drawing a picture' in the pre-workshop phase, and the design elements and the standard types charts were the forest play activity pictogram chart, and the forest play space general images chart in the main workshop. As for results, frst, there are 38 standard types of forest play activities that have been deducted. It consists of 27 cognitive activities (functional 16, constructive 4, symbolic 4, game on rule 3), 9 games (sensory 5, other 4), and two social play activities (solo, group). There are 21 standard types of forest play spaces. They consist of 8 play facility spaces (5 facility, 3 natural), 2 water spaces, and 11 spaces of 5 types. Secon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results to the site, the forest play activities to be introduced on the site were selected, and the functional play was most selected. Additionally, climbing and water play were most selected as the unit activities. Also, functional, constructive, symbolic, games based on rules were selected, even in the preschooler's development play. In the case of the forest play spaces to be introduced in the site, the preschooler's selection results by sex and age tended to be similar to the preschooler's comprehensive selection results, but the boys preferred function and adventure spaces more than the girls, while the girls preferred rest spaces more than the boys. This result is similar to the previous study results, which directly observed the preschooler's forest play behavior, and analysis that the preschooler recognized the site and selected the design elements introduced on the site. Therefore, the participatory workshop process and the materials process in this study are analyzed and applied to the purpose of the study. It is valuable as a case to be applied in design of the FECC from this point forward.
최근 사용자의 필요와 요구가 반영된 조경공간계획을 위한 방법으로 사용자 참여 워크숍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유아숲체험원의 조성에 대한 질적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숲체험원을 조성함에 있어 사용자의 기본적인 필요와 요구를 담은 계획요소(숲놀이 활동과 공간)를 유아참여 워크숍을 통해 도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유아발달상의 요구가 충족된 유아 참여디자인 주요 도구를 선정하고, 단계별 워크숍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 사전 워크숍단계에서 유아참여(K유치원 6, 7세 통합반 41명) 결과를 통해 계획요소의 표준유형을 도출하였다. 두 번째, 본 워크숍단계에서 대상지(송산물빛유아숲체험원)에 도입할 계획요소를 참여유아(사전워크숍 참여유아)들의 선택을 통해 도출하고, 그 과정과 결과를 분석하였다. 유아 참여과정에서 사용된 도구는 사전워크숍에서 '그림그리기', 본 워크숍에서 계획요소 표준유형 차트(숲놀이활동 픽토그램 차트, 숲놀이공간 실사이미지 차트)이다. 그 결과, 첫 번째 도출된 숲놀이 활동의 표준유형은 38개이다. 인지놀이 27개(기능 16, 구성 4, 상징 4, 규칙 있는 게임 3), 기타 놀이 9개(감각(탐색) 5, 기타 4), 사회놀이 2개(혼자, 집단) 유형으로 구성된다. 숲놀이 공간의 표준유형은 21개이다. 놀이시설 공간 8개(시설 5개, 자연 3개), 수공간 2개 외 5 공간 11개로 구성된다. 두 번째, 대상지에 적용한 결과, 대상지 내 도입할 숲놀이 활동은 전체적으로는 기능놀이가, 단위활동으로는 오르기와 물놀이가 가장 많이 선택되었다. 또한 유아발달놀이 측면에서는 기능, 구성, 상징, 규칙 있는 게임, 기타 놀이가 고르게 선택되었다. 대상지 내 도입할 숲놀이 공간의 경우, 유아의 성별 나이별 선택결과는 유아의 전체 선택 결과와 비슷한 경향을 보이나, 남아는 여아보다 신체, 모험 등의 기능놀이공간을, 여아는 남아보다 쉼터공간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는 유아의 숲놀이 행태에 대하여 직접 관찰한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하였으며, 유아들이 대상지를 인지하고, 대상지 내에 도입할 계획요소를 선택한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참여디자인 워크숍 과정과 과정별 도구들은 연구의 목적에 맞게 구축 적용된 것으로 파악되며, 향후 유아숲체험원 조성계획 시 적용할 수 있는 사례로서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