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우리나라는 '산림복지'를 정식으로 정책 대상에 포함시키거나 학술용어로 활용하고 있으며, 산림청은 출생부터 사망까지 각 생애주기에 적합한 산림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국민들도 산림복지서비스 및 정책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다. 수목장을 비롯한 자연장에 대한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국유수목장림의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목장림의 선호도가 높아짐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국립 수목장림은 1개소에 불과하다. 자연휴양림 등 다른 산림복지시설들은 지정 또는 조성계획 승인 전에 관련법에 따른 타당성 평가를 거치지만, 수목장림은 타당성 평가 등의 제도는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수목장림에 대한 사회적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본 연구는 수목장림 적정입지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서 GIS를 활용해 법적 제한지역을 분석하고, 국유림 내 수목장림 입지 가능지역 규모를 파악하였다.
In Korea, 'forest welfare' is officially included as a policy object and used as an academic term. The Korea Forest Service strives to provide a forest welfare services suitable for each life cycle from birth to death, and the public is highly aware of the need for these policies. The demand for National Woodland Burial Grounds is expected to increase as the interest in natural burials including woodland burial is increasing. As the demand for the Woodland Burial Grounds is increasing, there is only one National Woodland Burial Grounds currently available. Although other forest welfare facilities, such as natural recreation forests, must have undergone feasibility assessment according to relevant laws before approval of the designation, there are no institutions performing Woodland Burial Grounds feasibility assessments at the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olicies to cope with the increased demand. This study used GIS to prepare the basic data to be used in the process of selecting suitable forest locations. The area that cannot be used according to related laws was analyzed and the size of the possible areas in the state forests was assessed.